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유엔 올해 첫 대북제재 면제 승인…타미플루 대북지원은?
입력 2019.01.23 (19:33) 수정 2019.01.23 (19:50) 뉴스 7
[앵커]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가 올해 들어 처음으로 대북지원단체 4곳의 제재 면제를 승인했습니다.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에 대한 유화 제스처로 읽히는데요,
우리 정부의 타미플루 대북지원 길도 열릴지 주목됩니다.
허효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가 올들어 처음으로 대북 물품 반입을 승인한 인도주의단체는 모두 4곳입니다.
유니세프의 경우 결핵 병원에서 쓸 구급차 9대와 컴퓨터, 텔레비전 등 5억9천만 원 상당의 장비 반입을 승인했습니다.
북한의 중증결핵환자를 지원하는 유진벨재단의 경우 스피커와 마이크, 책상 등을 북한에 들여갈 수 있게 됐습니다.
새로 면제 승인을 받은 캐나다 단체 '퍼스트 스텝스'는 두유를 담을 스테인리스 캔을, 미국 구호단체 CFK는 결핵과 간염환자를 위한 물품을 지원합니다.
스티브 비건 미 국무부 특별대표가 지난해 방한해 인도적 지원 정책 재검토를 언급한 뒤로는 첫 번째 면제 조치입니다.
[스티브 비건/美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지난해 12월 19일 : "새해 초 미국 지원 단체들과 만나서 특히 이번 겨울 동안 어떻게 하면 적절한 지원을 할 수 있을지 논의할 겁니다."]
특히 북미고위급회담과 한차례 실무협상까지 마친 시점에서 유엔이 이런 조치를 내놓은 것은 북한의 가시적 비핵화 조치가 있을 경우 제재 완화의 폭도 더 커질 수 있다는 뜻을 밝힌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주 초로 예상됐던 우리 정부의 타미플루 대북지원 일정은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습니다.
[백태현/통일부 대변인 : "(타미플루 지원) 사업 추진 과정에서 대북 제재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국제사회, 유관국과 긴밀히 협의해 나가고 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운송 차량이 북한에 들어갔다 되돌아오는 게 대북제재에 저촉되는지 여부를 놓고 한미 간 논의가 진행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KBS 뉴스 허효진입니다.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가 올해 들어 처음으로 대북지원단체 4곳의 제재 면제를 승인했습니다.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에 대한 유화 제스처로 읽히는데요,
우리 정부의 타미플루 대북지원 길도 열릴지 주목됩니다.
허효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가 올들어 처음으로 대북 물품 반입을 승인한 인도주의단체는 모두 4곳입니다.
유니세프의 경우 결핵 병원에서 쓸 구급차 9대와 컴퓨터, 텔레비전 등 5억9천만 원 상당의 장비 반입을 승인했습니다.
북한의 중증결핵환자를 지원하는 유진벨재단의 경우 스피커와 마이크, 책상 등을 북한에 들여갈 수 있게 됐습니다.
새로 면제 승인을 받은 캐나다 단체 '퍼스트 스텝스'는 두유를 담을 스테인리스 캔을, 미국 구호단체 CFK는 결핵과 간염환자를 위한 물품을 지원합니다.
스티브 비건 미 국무부 특별대표가 지난해 방한해 인도적 지원 정책 재검토를 언급한 뒤로는 첫 번째 면제 조치입니다.
[스티브 비건/美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지난해 12월 19일 : "새해 초 미국 지원 단체들과 만나서 특히 이번 겨울 동안 어떻게 하면 적절한 지원을 할 수 있을지 논의할 겁니다."]
특히 북미고위급회담과 한차례 실무협상까지 마친 시점에서 유엔이 이런 조치를 내놓은 것은 북한의 가시적 비핵화 조치가 있을 경우 제재 완화의 폭도 더 커질 수 있다는 뜻을 밝힌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주 초로 예상됐던 우리 정부의 타미플루 대북지원 일정은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습니다.
[백태현/통일부 대변인 : "(타미플루 지원) 사업 추진 과정에서 대북 제재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국제사회, 유관국과 긴밀히 협의해 나가고 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운송 차량이 북한에 들어갔다 되돌아오는 게 대북제재에 저촉되는지 여부를 놓고 한미 간 논의가 진행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KBS 뉴스 허효진입니다.
- 유엔 올해 첫 대북제재 면제 승인…타미플루 대북지원은?
-
- 입력 2019-01-23 19:41:15
- 수정2019-01-23 19:50:45

[앵커]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가 올해 들어 처음으로 대북지원단체 4곳의 제재 면제를 승인했습니다.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에 대한 유화 제스처로 읽히는데요,
우리 정부의 타미플루 대북지원 길도 열릴지 주목됩니다.
허효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가 올들어 처음으로 대북 물품 반입을 승인한 인도주의단체는 모두 4곳입니다.
유니세프의 경우 결핵 병원에서 쓸 구급차 9대와 컴퓨터, 텔레비전 등 5억9천만 원 상당의 장비 반입을 승인했습니다.
북한의 중증결핵환자를 지원하는 유진벨재단의 경우 스피커와 마이크, 책상 등을 북한에 들여갈 수 있게 됐습니다.
새로 면제 승인을 받은 캐나다 단체 '퍼스트 스텝스'는 두유를 담을 스테인리스 캔을, 미국 구호단체 CFK는 결핵과 간염환자를 위한 물품을 지원합니다.
스티브 비건 미 국무부 특별대표가 지난해 방한해 인도적 지원 정책 재검토를 언급한 뒤로는 첫 번째 면제 조치입니다.
[스티브 비건/美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지난해 12월 19일 : "새해 초 미국 지원 단체들과 만나서 특히 이번 겨울 동안 어떻게 하면 적절한 지원을 할 수 있을지 논의할 겁니다."]
특히 북미고위급회담과 한차례 실무협상까지 마친 시점에서 유엔이 이런 조치를 내놓은 것은 북한의 가시적 비핵화 조치가 있을 경우 제재 완화의 폭도 더 커질 수 있다는 뜻을 밝힌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주 초로 예상됐던 우리 정부의 타미플루 대북지원 일정은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습니다.
[백태현/통일부 대변인 : "(타미플루 지원) 사업 추진 과정에서 대북 제재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국제사회, 유관국과 긴밀히 협의해 나가고 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운송 차량이 북한에 들어갔다 되돌아오는 게 대북제재에 저촉되는지 여부를 놓고 한미 간 논의가 진행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KBS 뉴스 허효진입니다.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가 올해 들어 처음으로 대북지원단체 4곳의 제재 면제를 승인했습니다.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에 대한 유화 제스처로 읽히는데요,
우리 정부의 타미플루 대북지원 길도 열릴지 주목됩니다.
허효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가 올들어 처음으로 대북 물품 반입을 승인한 인도주의단체는 모두 4곳입니다.
유니세프의 경우 결핵 병원에서 쓸 구급차 9대와 컴퓨터, 텔레비전 등 5억9천만 원 상당의 장비 반입을 승인했습니다.
북한의 중증결핵환자를 지원하는 유진벨재단의 경우 스피커와 마이크, 책상 등을 북한에 들여갈 수 있게 됐습니다.
새로 면제 승인을 받은 캐나다 단체 '퍼스트 스텝스'는 두유를 담을 스테인리스 캔을, 미국 구호단체 CFK는 결핵과 간염환자를 위한 물품을 지원합니다.
스티브 비건 미 국무부 특별대표가 지난해 방한해 인도적 지원 정책 재검토를 언급한 뒤로는 첫 번째 면제 조치입니다.
[스티브 비건/美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지난해 12월 19일 : "새해 초 미국 지원 단체들과 만나서 특히 이번 겨울 동안 어떻게 하면 적절한 지원을 할 수 있을지 논의할 겁니다."]
특히 북미고위급회담과 한차례 실무협상까지 마친 시점에서 유엔이 이런 조치를 내놓은 것은 북한의 가시적 비핵화 조치가 있을 경우 제재 완화의 폭도 더 커질 수 있다는 뜻을 밝힌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주 초로 예상됐던 우리 정부의 타미플루 대북지원 일정은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습니다.
[백태현/통일부 대변인 : "(타미플루 지원) 사업 추진 과정에서 대북 제재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국제사회, 유관국과 긴밀히 협의해 나가고 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운송 차량이 북한에 들어갔다 되돌아오는 게 대북제재에 저촉되는지 여부를 놓고 한미 간 논의가 진행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KBS 뉴스 허효진입니다.
뉴스 7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허효진 기자 her@kbs.co.kr
허효진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