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미세먼지 차단 위한 ‘인공강우 실험’…효과는?
입력 2019.01.23 (21:39) 수정 2019.01.23 (21:47) 뉴스 9
[앵커]
계절을 가리지 않고 찾아오는 미세먼지로, 이제는 재난 수준의 대처가 필요할 정도인데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인공강우를 만드는 실험이 이뤄집니다.
과연 효과가 있을까요?
이정훈 기상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시행된 중국의 인공강우 모습입니다.
대포로 구름 씨앗을 쏴 비의 양을 늘려 미세먼지를 씻어내는 시도입니다.
국내에서도 인공강우가 이뤄집니다.
내륙에서는 몇 차례 실험이 있었지만, 이번엔 중국발 먼지의 차단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는 서해 상공이 실험 무대입니다.
먼저 기상 항공기에서 구름 씨앗인 요오드화은을 구름 속에 뿌린 뒤 강우량 변화를 측정합니다.
동시에 선박과 지상 관측망을 통해 미세먼지 감소 효과를 분석합니다.
[주상원/국립기상과학원장 : "국민적 관심이 미세먼지와 인공증우에 많이 있기 때문에 그걸 고려해서 환경부와 협업을 통해 인공강우 물질을 살포해서 강수 입자 변화와 미세먼지 저감 효과 분석까지도 같이…"]
비가 많이 내리면 미세먼지가 줄어든다는 사실은 익히 알려졌습니다.
문제는 비의 양입니다.
기존 연구 결과 비가 시간당 10mm 이상 강도로 2시간 넘게 내려야 미세먼지를 씻어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중국과 미국 등 각국의 인공강우 기술로는 내리는 비가 많아야 시간당 1mm 정도에 불과합니다.
오히려 습도만 높여 미세먼지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장윤석/국립환경과학원장 : "비의 양이 적으면 일단 에어로졸이 증가하면서 미세먼지가 그 안에서 커질 수가 있습니다."]
일회성 이벤트라는 지적에도 정부는 이번 실험이 기술 축적을 위한 출발점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계절을 가리지 않고 찾아오는 미세먼지로, 이제는 재난 수준의 대처가 필요할 정도인데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인공강우를 만드는 실험이 이뤄집니다.
과연 효과가 있을까요?
이정훈 기상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시행된 중국의 인공강우 모습입니다.
대포로 구름 씨앗을 쏴 비의 양을 늘려 미세먼지를 씻어내는 시도입니다.
국내에서도 인공강우가 이뤄집니다.
내륙에서는 몇 차례 실험이 있었지만, 이번엔 중국발 먼지의 차단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는 서해 상공이 실험 무대입니다.
먼저 기상 항공기에서 구름 씨앗인 요오드화은을 구름 속에 뿌린 뒤 강우량 변화를 측정합니다.
동시에 선박과 지상 관측망을 통해 미세먼지 감소 효과를 분석합니다.
[주상원/국립기상과학원장 : "국민적 관심이 미세먼지와 인공증우에 많이 있기 때문에 그걸 고려해서 환경부와 협업을 통해 인공강우 물질을 살포해서 강수 입자 변화와 미세먼지 저감 효과 분석까지도 같이…"]
비가 많이 내리면 미세먼지가 줄어든다는 사실은 익히 알려졌습니다.
문제는 비의 양입니다.
기존 연구 결과 비가 시간당 10mm 이상 강도로 2시간 넘게 내려야 미세먼지를 씻어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중국과 미국 등 각국의 인공강우 기술로는 내리는 비가 많아야 시간당 1mm 정도에 불과합니다.
오히려 습도만 높여 미세먼지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장윤석/국립환경과학원장 : "비의 양이 적으면 일단 에어로졸이 증가하면서 미세먼지가 그 안에서 커질 수가 있습니다."]
일회성 이벤트라는 지적에도 정부는 이번 실험이 기술 축적을 위한 출발점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 미세먼지 차단 위한 ‘인공강우 실험’…효과는?
-
- 입력 2019-01-23 21:41:42
- 수정2019-01-23 21:47:49

[앵커]
계절을 가리지 않고 찾아오는 미세먼지로, 이제는 재난 수준의 대처가 필요할 정도인데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인공강우를 만드는 실험이 이뤄집니다.
과연 효과가 있을까요?
이정훈 기상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시행된 중국의 인공강우 모습입니다.
대포로 구름 씨앗을 쏴 비의 양을 늘려 미세먼지를 씻어내는 시도입니다.
국내에서도 인공강우가 이뤄집니다.
내륙에서는 몇 차례 실험이 있었지만, 이번엔 중국발 먼지의 차단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는 서해 상공이 실험 무대입니다.
먼저 기상 항공기에서 구름 씨앗인 요오드화은을 구름 속에 뿌린 뒤 강우량 변화를 측정합니다.
동시에 선박과 지상 관측망을 통해 미세먼지 감소 효과를 분석합니다.
[주상원/국립기상과학원장 : "국민적 관심이 미세먼지와 인공증우에 많이 있기 때문에 그걸 고려해서 환경부와 협업을 통해 인공강우 물질을 살포해서 강수 입자 변화와 미세먼지 저감 효과 분석까지도 같이…"]
비가 많이 내리면 미세먼지가 줄어든다는 사실은 익히 알려졌습니다.
문제는 비의 양입니다.
기존 연구 결과 비가 시간당 10mm 이상 강도로 2시간 넘게 내려야 미세먼지를 씻어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중국과 미국 등 각국의 인공강우 기술로는 내리는 비가 많아야 시간당 1mm 정도에 불과합니다.
오히려 습도만 높여 미세먼지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장윤석/국립환경과학원장 : "비의 양이 적으면 일단 에어로졸이 증가하면서 미세먼지가 그 안에서 커질 수가 있습니다."]
일회성 이벤트라는 지적에도 정부는 이번 실험이 기술 축적을 위한 출발점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계절을 가리지 않고 찾아오는 미세먼지로, 이제는 재난 수준의 대처가 필요할 정도인데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인공강우를 만드는 실험이 이뤄집니다.
과연 효과가 있을까요?
이정훈 기상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시행된 중국의 인공강우 모습입니다.
대포로 구름 씨앗을 쏴 비의 양을 늘려 미세먼지를 씻어내는 시도입니다.
국내에서도 인공강우가 이뤄집니다.
내륙에서는 몇 차례 실험이 있었지만, 이번엔 중국발 먼지의 차단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는 서해 상공이 실험 무대입니다.
먼저 기상 항공기에서 구름 씨앗인 요오드화은을 구름 속에 뿌린 뒤 강우량 변화를 측정합니다.
동시에 선박과 지상 관측망을 통해 미세먼지 감소 효과를 분석합니다.
[주상원/국립기상과학원장 : "국민적 관심이 미세먼지와 인공증우에 많이 있기 때문에 그걸 고려해서 환경부와 협업을 통해 인공강우 물질을 살포해서 강수 입자 변화와 미세먼지 저감 효과 분석까지도 같이…"]
비가 많이 내리면 미세먼지가 줄어든다는 사실은 익히 알려졌습니다.
문제는 비의 양입니다.
기존 연구 결과 비가 시간당 10mm 이상 강도로 2시간 넘게 내려야 미세먼지를 씻어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중국과 미국 등 각국의 인공강우 기술로는 내리는 비가 많아야 시간당 1mm 정도에 불과합니다.
오히려 습도만 높여 미세먼지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장윤석/국립환경과학원장 : "비의 양이 적으면 일단 에어로졸이 증가하면서 미세먼지가 그 안에서 커질 수가 있습니다."]
일회성 이벤트라는 지적에도 정부는 이번 실험이 기술 축적을 위한 출발점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이정훈 기자 skyclear@kbs.co.kr
이정훈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