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공항 운항 정상화…중국 정부 무력개입 임박 관측

입력 2019.08.13 (12:00) 수정 2019.08.13 (20: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홍콩 시민들의 농성으로 어제 오후부터 밤사이 폐쇄됐던 홍콩 공항이 아침부터 정상화됐습니다.

중국 정부의 무력개입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홍콩 시민들의 자유를 존중하라는 미국을 비롯한 서방세계의 압박도 강해지고 있습니다.

베이징 안양봉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어젯밤 홍콩으로 출발했던 항공기가 현지시간 오전 6시 이후 속속 도착하면서 홍콩 공항이 정상화됐습니다.

홍콩 항공당국은 활동가들이 다시 공항 집결을 촉구하고 있어 오후부턴 승객 외에는 공항 출입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두달을 넘긴 홍콩 사태가 갈수록 악화되면서 홍콩 당국과 중국 정부에 대한 서방세계의 압박도 커지고 있습니다.

캐나다 트뤼도 총리는 "홍콩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면서 중국 정부의 신중한 접근을 주문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홍콩에 캐나다 국민 30만 명이 거주한다고 전했습니다.

미 상원 공화당 원내대표 매코널 의원도 트위터에 "폭력적인 진압은 용납할 수 없다"며 "세계가 지켜보고 있다"고 중국정부를 압박했습니다.

반면 중국 정부는 발언 수위를 높여가며 무력개입 명분 쌓기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습니다.

중국 국무원 홍콩 마카오 사무국은 2주사이 벌써 세번째 기자회견을 열어 시위대를 비난했습니다.

[양광/중국 국무원 홍콩마카오 사무국 대변인 : "홍콩은 중요한 고비에 있습니다. 홍콩 앞날에 관심있는 사람은 단호히 나서야 합니다."]

중국 관영매체도 무장경찰 부대 이동 영상을 올리며 무력 진압 가능성을 흘리고 있습니다.

베이징 외교가는 송환법 반대에서 반중국, 민주화 시위로....

그리고 서방세계와 중국의 자존심 싸움으로 확산된 홍콩 사태가 이후 어떻게 전개될 지는 곧 끝나는 중국 최고 지도부의 베이다이허 회의에 달려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안양봉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홍콩공항 운항 정상화…중국 정부 무력개입 임박 관측
    • 입력 2019-08-13 12:03:21
    • 수정2019-08-13 20:01:22
    뉴스 12
[앵커]

홍콩 시민들의 농성으로 어제 오후부터 밤사이 폐쇄됐던 홍콩 공항이 아침부터 정상화됐습니다.

중국 정부의 무력개입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홍콩 시민들의 자유를 존중하라는 미국을 비롯한 서방세계의 압박도 강해지고 있습니다.

베이징 안양봉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어젯밤 홍콩으로 출발했던 항공기가 현지시간 오전 6시 이후 속속 도착하면서 홍콩 공항이 정상화됐습니다.

홍콩 항공당국은 활동가들이 다시 공항 집결을 촉구하고 있어 오후부턴 승객 외에는 공항 출입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두달을 넘긴 홍콩 사태가 갈수록 악화되면서 홍콩 당국과 중국 정부에 대한 서방세계의 압박도 커지고 있습니다.

캐나다 트뤼도 총리는 "홍콩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면서 중국 정부의 신중한 접근을 주문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홍콩에 캐나다 국민 30만 명이 거주한다고 전했습니다.

미 상원 공화당 원내대표 매코널 의원도 트위터에 "폭력적인 진압은 용납할 수 없다"며 "세계가 지켜보고 있다"고 중국정부를 압박했습니다.

반면 중국 정부는 발언 수위를 높여가며 무력개입 명분 쌓기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습니다.

중국 국무원 홍콩 마카오 사무국은 2주사이 벌써 세번째 기자회견을 열어 시위대를 비난했습니다.

[양광/중국 국무원 홍콩마카오 사무국 대변인 : "홍콩은 중요한 고비에 있습니다. 홍콩 앞날에 관심있는 사람은 단호히 나서야 합니다."]

중국 관영매체도 무장경찰 부대 이동 영상을 올리며 무력 진압 가능성을 흘리고 있습니다.

베이징 외교가는 송환법 반대에서 반중국, 민주화 시위로....

그리고 서방세계와 중국의 자존심 싸움으로 확산된 홍콩 사태가 이후 어떻게 전개될 지는 곧 끝나는 중국 최고 지도부의 베이다이허 회의에 달려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안양봉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