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 '가격거품' 마신다
입력 2003.04.19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고급양주는 값이 비쌀수록 더 잘 팔립니다.
그러나 알고 보니까 가격거품이 원가의 10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계속해서 박상용 기자입니다.
⊙기자: 국내 위스키 제조사에서 내놓은 최고급 위스키의 공장 출고가격은 500밀리리터 기준으로 2만 8000원대입니다.
그러나 이 가운데 2종류는 고품격 위스키를 내세워 공장출고가를 4만 원대로 책정해 시중에 팔다 지난해 말과 올해 초 40% 가까이 가격을 내렸습니다.
고무줄 같은 가격에 소비자들의 불신만 커지고 있습니다.
⊙이상오(경북 영양군): 소비자로서는 아주 안 됐죠.
예를 들어서 자기가 돈을 주더라도 썩 기분이 내키는 편은 아니죠.
⊙기자: 이처럼 위스키 가격이 들쭉날쭉한 것은 우리나라 위스키 소비시장 구조와 밀접하게 관련돼 있습니다.
위스키의 90%가 유흥업소에서 소비되는 만큼 출고가 1, 2만 원 차이는 10만 원, 20만 원씩으로 정해지는 업소 술값에는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
다만 출고가격은 브랜드 이미지를 관리하는 데 지나지 않습니다.
때문에 한 업체는 아예 신제품 100%를 업소에만 공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김유철(페르노리카 코리아 마케팅 팀장): 가정용과 유흥용이 혼재됨으로써 오는 가격구조의 어떤 불명확성을 타파하고 그리고 도매시장의 안정적인 마진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자: 특히 위스키 업체들이 수입 원액의 차이라는 명목으로 원가구조를 철저하게 비밀에 부치고 있어 소비자들은 거품가격을 그대로 지불할 수밖에 없습니다.
KBS뉴스 박상용입니다.
그러나 알고 보니까 가격거품이 원가의 10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계속해서 박상용 기자입니다.
⊙기자: 국내 위스키 제조사에서 내놓은 최고급 위스키의 공장 출고가격은 500밀리리터 기준으로 2만 8000원대입니다.
그러나 이 가운데 2종류는 고품격 위스키를 내세워 공장출고가를 4만 원대로 책정해 시중에 팔다 지난해 말과 올해 초 40% 가까이 가격을 내렸습니다.
고무줄 같은 가격에 소비자들의 불신만 커지고 있습니다.
⊙이상오(경북 영양군): 소비자로서는 아주 안 됐죠.
예를 들어서 자기가 돈을 주더라도 썩 기분이 내키는 편은 아니죠.
⊙기자: 이처럼 위스키 가격이 들쭉날쭉한 것은 우리나라 위스키 소비시장 구조와 밀접하게 관련돼 있습니다.
위스키의 90%가 유흥업소에서 소비되는 만큼 출고가 1, 2만 원 차이는 10만 원, 20만 원씩으로 정해지는 업소 술값에는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
다만 출고가격은 브랜드 이미지를 관리하는 데 지나지 않습니다.
때문에 한 업체는 아예 신제품 100%를 업소에만 공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김유철(페르노리카 코리아 마케팅 팀장): 가정용과 유흥용이 혼재됨으로써 오는 가격구조의 어떤 불명확성을 타파하고 그리고 도매시장의 안정적인 마진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자: 특히 위스키 업체들이 수입 원액의 차이라는 명목으로 원가구조를 철저하게 비밀에 부치고 있어 소비자들은 거품가격을 그대로 지불할 수밖에 없습니다.
KBS뉴스 박상용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비자들 '가격거품' 마신다
-
- 입력 2003-04-19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고급양주는 값이 비쌀수록 더 잘 팔립니다.
그러나 알고 보니까 가격거품이 원가의 10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계속해서 박상용 기자입니다.
⊙기자: 국내 위스키 제조사에서 내놓은 최고급 위스키의 공장 출고가격은 500밀리리터 기준으로 2만 8000원대입니다.
그러나 이 가운데 2종류는 고품격 위스키를 내세워 공장출고가를 4만 원대로 책정해 시중에 팔다 지난해 말과 올해 초 40% 가까이 가격을 내렸습니다.
고무줄 같은 가격에 소비자들의 불신만 커지고 있습니다.
⊙이상오(경북 영양군): 소비자로서는 아주 안 됐죠.
예를 들어서 자기가 돈을 주더라도 썩 기분이 내키는 편은 아니죠.
⊙기자: 이처럼 위스키 가격이 들쭉날쭉한 것은 우리나라 위스키 소비시장 구조와 밀접하게 관련돼 있습니다.
위스키의 90%가 유흥업소에서 소비되는 만큼 출고가 1, 2만 원 차이는 10만 원, 20만 원씩으로 정해지는 업소 술값에는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
다만 출고가격은 브랜드 이미지를 관리하는 데 지나지 않습니다.
때문에 한 업체는 아예 신제품 100%를 업소에만 공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김유철(페르노리카 코리아 마케팅 팀장): 가정용과 유흥용이 혼재됨으로써 오는 가격구조의 어떤 불명확성을 타파하고 그리고 도매시장의 안정적인 마진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자: 특히 위스키 업체들이 수입 원액의 차이라는 명목으로 원가구조를 철저하게 비밀에 부치고 있어 소비자들은 거품가격을 그대로 지불할 수밖에 없습니다.
KBS뉴스 박상용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