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식품의약품안전처 “조개젓 외 젓갈류에 A형 간염바이러스 유전자 없다”
입력 2019.11.20 (12:15) 수정 2019.11.20 (12:20) 뉴스 12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A형 간염의 유행 원인으로 조개젓이 지목된 가운데 정부가 조개젓 외 주요 젓갈류를 검사한 결과 A형 간염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오늘 새우젓과 오징어젓 등 검사를 실시한 젓갈류 제품 125종에서 해당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지난 9월 식약처는 국내 유통 중인 조개젓 136종에 대한 조사를 실시해 A형 간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된 44종을 회수해 폐기한 바 있습니다.
식약처는 제품의 출처가 명확하지 않거나 안전성을 확인하기 어려운 젓갈은 먹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오늘 새우젓과 오징어젓 등 검사를 실시한 젓갈류 제품 125종에서 해당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지난 9월 식약처는 국내 유통 중인 조개젓 136종에 대한 조사를 실시해 A형 간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된 44종을 회수해 폐기한 바 있습니다.
식약처는 제품의 출처가 명확하지 않거나 안전성을 확인하기 어려운 젓갈은 먹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조개젓 외 젓갈류에 A형 간염바이러스 유전자 없다”
-
- 입력 2019-11-20 12:16:34
- 수정2019-11-20 12:20:50

A형 간염의 유행 원인으로 조개젓이 지목된 가운데 정부가 조개젓 외 주요 젓갈류를 검사한 결과 A형 간염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오늘 새우젓과 오징어젓 등 검사를 실시한 젓갈류 제품 125종에서 해당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지난 9월 식약처는 국내 유통 중인 조개젓 136종에 대한 조사를 실시해 A형 간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된 44종을 회수해 폐기한 바 있습니다.
식약처는 제품의 출처가 명확하지 않거나 안전성을 확인하기 어려운 젓갈은 먹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오늘 새우젓과 오징어젓 등 검사를 실시한 젓갈류 제품 125종에서 해당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지난 9월 식약처는 국내 유통 중인 조개젓 136종에 대한 조사를 실시해 A형 간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된 44종을 회수해 폐기한 바 있습니다.
식약처는 제품의 출처가 명확하지 않거나 안전성을 확인하기 어려운 젓갈은 먹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뉴스 12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KBS
KBS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