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대란 원인, 낮은 운송료.다단계 알선

입력 2003.05.07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파업사태는 낮은 운송료와 다단계 알선 등이 근본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주경애 기자입니다.
⊙기자: 화물연대 파업사태의 근본원인은 낮은 운송료와 다단계 알선 등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경유값은 지난 92년보다 1.6배나 올랐지만 운송료는 10년이 넘게 동결돼 있습니다.
특히 지난해부터는 포스코가 전자입찰을 실시하면서 운송료 덤핑현상까지 빚어졌습니다.
⊙김지나(화물연대 의장): 사이버입찰제를 유도를 해서 전체적으로 보면 참 좋게 보이겠지만 실질적으로는 운송료를 완전 최저가로, 최저가 입찰제로 지금 유도를 하고 있습니다.
⊙기자: 또 다른 문제는 다단계 알선입니다.
포스코 등 철강업체의 화물을 받은 대형 운송사는 소형 운송업체에 하청을 하고 이 과정에서 운송료의 25%를 수수료로 챙깁니다.
⊙박철수(화물트럭 운전자): 포항제철은 1만 3650원인데 저희들이 동방에서 직접 받는 요율이 8250원입니다.
그러면 거기서 25% 이상 빠지죠.
⊙기자: 이렇게 몇 단계를 거치면 수수료를 뗀 운송료는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이처럼 왜곡된 운송체계 때문에 운송료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차주들의 불만이 파업사태로 치닫게 된 것입니다.
이들 차주들은 문제해결을 위해 지난 1일부터 상경투쟁 등을 벌여왔으며 지난달 27일 차주 한 사람이 목숨을 끊으면서 농성이 시작됐습니다.
KBS뉴스 주경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물류대란 원인, 낮은 운송료.다단계 알선
    • 입력 2003-05-07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이번 파업사태는 낮은 운송료와 다단계 알선 등이 근본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주경애 기자입니다. ⊙기자: 화물연대 파업사태의 근본원인은 낮은 운송료와 다단계 알선 등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경유값은 지난 92년보다 1.6배나 올랐지만 운송료는 10년이 넘게 동결돼 있습니다. 특히 지난해부터는 포스코가 전자입찰을 실시하면서 운송료 덤핑현상까지 빚어졌습니다. ⊙김지나(화물연대 의장): 사이버입찰제를 유도를 해서 전체적으로 보면 참 좋게 보이겠지만 실질적으로는 운송료를 완전 최저가로, 최저가 입찰제로 지금 유도를 하고 있습니다. ⊙기자: 또 다른 문제는 다단계 알선입니다. 포스코 등 철강업체의 화물을 받은 대형 운송사는 소형 운송업체에 하청을 하고 이 과정에서 운송료의 25%를 수수료로 챙깁니다. ⊙박철수(화물트럭 운전자): 포항제철은 1만 3650원인데 저희들이 동방에서 직접 받는 요율이 8250원입니다. 그러면 거기서 25% 이상 빠지죠. ⊙기자: 이렇게 몇 단계를 거치면 수수료를 뗀 운송료는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이처럼 왜곡된 운송체계 때문에 운송료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차주들의 불만이 파업사태로 치닫게 된 것입니다. 이들 차주들은 문제해결을 위해 지난 1일부터 상경투쟁 등을 벌여왔으며 지난달 27일 차주 한 사람이 목숨을 끊으면서 농성이 시작됐습니다. KBS뉴스 주경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