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룻밤만 잠을 제대로 못자도 알츠하이머 치매와 연관이 있는 뇌 신경세포의 단백질이 급증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스웨덴의 한 의대 연구팀이 평소 하루 7~9시간을 자는 사람들에게 밤을 꼬박 새우게 했더니, 치매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는 단백질 타우가 17%나 급증한다는 사실을 규명한 것입니다.
단 하룻밤으로도 이렇게 큰 차이가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이 놀랍네요. 밤새는 일이 없기를 바랍니다.
오늘 글로벌24 여기까집니다. 고맙습니다.
스웨덴의 한 의대 연구팀이 평소 하루 7~9시간을 자는 사람들에게 밤을 꼬박 새우게 했더니, 치매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는 단백질 타우가 17%나 급증한다는 사실을 규명한 것입니다.
단 하룻밤으로도 이렇게 큰 차이가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이 놀랍네요. 밤새는 일이 없기를 바랍니다.
오늘 글로벌24 여기까집니다. 고맙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글로벌24 클로징]
-
- 입력 2020-01-09 20:48:55
- 수정2020-01-09 20:51:58

하룻밤만 잠을 제대로 못자도 알츠하이머 치매와 연관이 있는 뇌 신경세포의 단백질이 급증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스웨덴의 한 의대 연구팀이 평소 하루 7~9시간을 자는 사람들에게 밤을 꼬박 새우게 했더니, 치매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는 단백질 타우가 17%나 급증한다는 사실을 규명한 것입니다.
단 하룻밤으로도 이렇게 큰 차이가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이 놀랍네요. 밤새는 일이 없기를 바랍니다.
오늘 글로벌24 여기까집니다. 고맙습니다.
스웨덴의 한 의대 연구팀이 평소 하루 7~9시간을 자는 사람들에게 밤을 꼬박 새우게 했더니, 치매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는 단백질 타우가 17%나 급증한다는 사실을 규명한 것입니다.
단 하룻밤으로도 이렇게 큰 차이가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이 놀랍네요. 밤새는 일이 없기를 바랍니다.
오늘 글로벌24 여기까집니다. 고맙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