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징계 법령 찾으라”…‘의견 거부’ 윤석열 징계 나서나
입력 2020.01.11 (06:08)
수정 2020.01.11 (06: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윤석열 검찰총장이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검찰 인사 관련 의견 청취 요청을 거부한 것과 관련해 이낙연 총리가 필요한 대응을 지시했었죠.
바로 그 이후 추 장관이 자신의 정책 보좌관에게 징계 관련 법령을 찾으라는 내용의 메시지를 보내는 장면이 언론사 카메라에 포착됐습니다.
윤 총장에 대한 징계 검토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는데, 현실화 된다면 검찰총장에 대한 역대 두 번째 감찰 지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최형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휘 감독권의 적절한 행사를 위해 징계 관련 법령을 찾으라.'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지난 9일 국회 본회의 도중 자신의 정책 보좌관에게 보낸 메시지입니다.
그 위엔 '총리의 하명 사안이 된 만큼 그냥 둘 수는 없다'는 내용으로 추정되는 메시지도 보입니다.
앞서 이낙연 총리는 법무부 장관의 인사 관련 의견 제시 요청을 검찰총장이 거부한 것에 유감을 표시했습니다.
그러면서 필요한 대응을 검토하고 실행하라고 지시했는데 추 장관의 메시지는 이에 따른 조치로 해석됩니다.
검찰총장에 대한 징계절차는 먼저 감찰을 통해 징계 사유가 될 만한 행위가 있었는지를 밝혀야 합니다.
이 경우 '인사 의견을 내달라'는 추 장관의 지시 또는 요청을 윤 총장이 거부한 것과 당시 대검의 대응 입장문 발표 등이, 징계 사유가 되느냐부터 따질 것으로 보입니다.
검사징계법에는 직무상 의무 위반·태만, 품위 손상 등을 징계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윤 총장의 의견 제시 거부는 '직무상 의무 위반'에 해당할 여지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됩니다.
다만, 의견 제시 거부가 장관 인사권 침해로 이어진 것은 아닌 만큼 이 조항을 적용하기 어렵다는 반론도 있습니다.
감찰이 현실화되면 검찰총장에 대한 직무 감찰 지시는 역대 두번째가 됩니다.
지난 2013년, 황교안 당시 법무부 장관은 국정원의 대선개입 사건을 수사하던 채동욱 전 총장에 대한 감찰을 지시한 바 있습니다.
채동욱 전 총장의 혼외자 의혹이 불거져 품위가 손상됐다는 게 이유였습니다.
채 전 총장은 감찰을 앞두고 결국 옷을 벗었습니다.
KBS 뉴스 최형원입니다.
윤석열 검찰총장이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검찰 인사 관련 의견 청취 요청을 거부한 것과 관련해 이낙연 총리가 필요한 대응을 지시했었죠.
바로 그 이후 추 장관이 자신의 정책 보좌관에게 징계 관련 법령을 찾으라는 내용의 메시지를 보내는 장면이 언론사 카메라에 포착됐습니다.
윤 총장에 대한 징계 검토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는데, 현실화 된다면 검찰총장에 대한 역대 두 번째 감찰 지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최형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휘 감독권의 적절한 행사를 위해 징계 관련 법령을 찾으라.'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지난 9일 국회 본회의 도중 자신의 정책 보좌관에게 보낸 메시지입니다.
그 위엔 '총리의 하명 사안이 된 만큼 그냥 둘 수는 없다'는 내용으로 추정되는 메시지도 보입니다.
앞서 이낙연 총리는 법무부 장관의 인사 관련 의견 제시 요청을 검찰총장이 거부한 것에 유감을 표시했습니다.
그러면서 필요한 대응을 검토하고 실행하라고 지시했는데 추 장관의 메시지는 이에 따른 조치로 해석됩니다.
검찰총장에 대한 징계절차는 먼저 감찰을 통해 징계 사유가 될 만한 행위가 있었는지를 밝혀야 합니다.
이 경우 '인사 의견을 내달라'는 추 장관의 지시 또는 요청을 윤 총장이 거부한 것과 당시 대검의 대응 입장문 발표 등이, 징계 사유가 되느냐부터 따질 것으로 보입니다.
검사징계법에는 직무상 의무 위반·태만, 품위 손상 등을 징계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윤 총장의 의견 제시 거부는 '직무상 의무 위반'에 해당할 여지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됩니다.
다만, 의견 제시 거부가 장관 인사권 침해로 이어진 것은 아닌 만큼 이 조항을 적용하기 어렵다는 반론도 있습니다.
감찰이 현실화되면 검찰총장에 대한 직무 감찰 지시는 역대 두번째가 됩니다.
지난 2013년, 황교안 당시 법무부 장관은 국정원의 대선개입 사건을 수사하던 채동욱 전 총장에 대한 감찰을 지시한 바 있습니다.
채동욱 전 총장의 혼외자 의혹이 불거져 품위가 손상됐다는 게 이유였습니다.
채 전 총장은 감찰을 앞두고 결국 옷을 벗었습니다.
KBS 뉴스 최형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추미애 “징계 법령 찾으라”…‘의견 거부’ 윤석열 징계 나서나
-
- 입력 2020-01-11 06:10:58
- 수정2020-01-11 06:39:44
[앵커]
윤석열 검찰총장이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검찰 인사 관련 의견 청취 요청을 거부한 것과 관련해 이낙연 총리가 필요한 대응을 지시했었죠.
바로 그 이후 추 장관이 자신의 정책 보좌관에게 징계 관련 법령을 찾으라는 내용의 메시지를 보내는 장면이 언론사 카메라에 포착됐습니다.
윤 총장에 대한 징계 검토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는데, 현실화 된다면 검찰총장에 대한 역대 두 번째 감찰 지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최형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휘 감독권의 적절한 행사를 위해 징계 관련 법령을 찾으라.'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지난 9일 국회 본회의 도중 자신의 정책 보좌관에게 보낸 메시지입니다.
그 위엔 '총리의 하명 사안이 된 만큼 그냥 둘 수는 없다'는 내용으로 추정되는 메시지도 보입니다.
앞서 이낙연 총리는 법무부 장관의 인사 관련 의견 제시 요청을 검찰총장이 거부한 것에 유감을 표시했습니다.
그러면서 필요한 대응을 검토하고 실행하라고 지시했는데 추 장관의 메시지는 이에 따른 조치로 해석됩니다.
검찰총장에 대한 징계절차는 먼저 감찰을 통해 징계 사유가 될 만한 행위가 있었는지를 밝혀야 합니다.
이 경우 '인사 의견을 내달라'는 추 장관의 지시 또는 요청을 윤 총장이 거부한 것과 당시 대검의 대응 입장문 발표 등이, 징계 사유가 되느냐부터 따질 것으로 보입니다.
검사징계법에는 직무상 의무 위반·태만, 품위 손상 등을 징계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윤 총장의 의견 제시 거부는 '직무상 의무 위반'에 해당할 여지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됩니다.
다만, 의견 제시 거부가 장관 인사권 침해로 이어진 것은 아닌 만큼 이 조항을 적용하기 어렵다는 반론도 있습니다.
감찰이 현실화되면 검찰총장에 대한 직무 감찰 지시는 역대 두번째가 됩니다.
지난 2013년, 황교안 당시 법무부 장관은 국정원의 대선개입 사건을 수사하던 채동욱 전 총장에 대한 감찰을 지시한 바 있습니다.
채동욱 전 총장의 혼외자 의혹이 불거져 품위가 손상됐다는 게 이유였습니다.
채 전 총장은 감찰을 앞두고 결국 옷을 벗었습니다.
KBS 뉴스 최형원입니다.
윤석열 검찰총장이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검찰 인사 관련 의견 청취 요청을 거부한 것과 관련해 이낙연 총리가 필요한 대응을 지시했었죠.
바로 그 이후 추 장관이 자신의 정책 보좌관에게 징계 관련 법령을 찾으라는 내용의 메시지를 보내는 장면이 언론사 카메라에 포착됐습니다.
윤 총장에 대한 징계 검토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는데, 현실화 된다면 검찰총장에 대한 역대 두 번째 감찰 지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최형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휘 감독권의 적절한 행사를 위해 징계 관련 법령을 찾으라.'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지난 9일 국회 본회의 도중 자신의 정책 보좌관에게 보낸 메시지입니다.
그 위엔 '총리의 하명 사안이 된 만큼 그냥 둘 수는 없다'는 내용으로 추정되는 메시지도 보입니다.
앞서 이낙연 총리는 법무부 장관의 인사 관련 의견 제시 요청을 검찰총장이 거부한 것에 유감을 표시했습니다.
그러면서 필요한 대응을 검토하고 실행하라고 지시했는데 추 장관의 메시지는 이에 따른 조치로 해석됩니다.
검찰총장에 대한 징계절차는 먼저 감찰을 통해 징계 사유가 될 만한 행위가 있었는지를 밝혀야 합니다.
이 경우 '인사 의견을 내달라'는 추 장관의 지시 또는 요청을 윤 총장이 거부한 것과 당시 대검의 대응 입장문 발표 등이, 징계 사유가 되느냐부터 따질 것으로 보입니다.
검사징계법에는 직무상 의무 위반·태만, 품위 손상 등을 징계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윤 총장의 의견 제시 거부는 '직무상 의무 위반'에 해당할 여지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됩니다.
다만, 의견 제시 거부가 장관 인사권 침해로 이어진 것은 아닌 만큼 이 조항을 적용하기 어렵다는 반론도 있습니다.
감찰이 현실화되면 검찰총장에 대한 직무 감찰 지시는 역대 두번째가 됩니다.
지난 2013년, 황교안 당시 법무부 장관은 국정원의 대선개입 사건을 수사하던 채동욱 전 총장에 대한 감찰을 지시한 바 있습니다.
채동욱 전 총장의 혼외자 의혹이 불거져 품위가 손상됐다는 게 이유였습니다.
채 전 총장은 감찰을 앞두고 결국 옷을 벗었습니다.
KBS 뉴스 최형원입니다.
-
-
최형원 기자 roediec@kbs.co.kr
최형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