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고독사 위기 할아버지…이웃 관심으로 구사일생
입력 2020.02.20 (07:39) 수정 2020.02.20 (08:12) 뉴스광장
[앵커]
홀로 사시다 뇌출혈로 쓰러진 70대 할아버지가 주민들의 신고로 목숨을 구했습니다.
평소 운동을 즐기던 할아버지가 나타나지 않자 이웃들이 나선 것입니다.
김애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백발의 노인과 어르신 두 분이 목포의 한 파출소 안으로 들어옵니다.
세사람은 휴대전화를 뒤적이며 경찰관에게 뭔가를 설명합니다.
경찰관이 곧바로 향한 곳은 홀로 사시는 75살 강연규 할아버지의 집.
문을 두드려도 인기척이 없어 들어가보니 할아버지는 쓰러져 있었습니다.
["119랑 함께 문을 강제개방을 한 다음에 현장에 진입했을 때는 할아버지께서 안방에 미동도 못 한채 이렇게 딱 사지가 풀려있는 좀 위급한 상태셨고요."]
신고한 이들은 강 할아버지와 함께 복지관에서 탁구 모임을 하던 이웃들.
매일같이 탁구를 치러 나오던 할아버지가 보이지 않자 경찰서에 실종신고를 한 것입니다.
["그분은 매일 1시부터 5시까지 이 탁구장에서 운동하는 사람인데요. 갑자기 연락이 안되어가지고 특히 불안한것은 혼자 살고 있는 사람이라서 걱정 되어가지고 급히 파출소에 연락했습니다."]
처음에는 거의 움직임이 없었던 강할아버지는 병원에 옮겨진 지금 상당히 호전됐습니다.
평소 같이 운동을 하던 친구들이 생명의 은인이 됐습니다.
["얼마나 고맙지. 그것 만큼 고마운 게 없어. 내가 살았잖아. 시간을 더 넘 겼으면 죽을 수도 있었는데"]
이웃에 대한 작은 관심과 경찰의 적극적인 초동 대처가 할아버지의 생명을 구했습니다.
KBS 뉴스 김애린입니다.
홀로 사시다 뇌출혈로 쓰러진 70대 할아버지가 주민들의 신고로 목숨을 구했습니다.
평소 운동을 즐기던 할아버지가 나타나지 않자 이웃들이 나선 것입니다.
김애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백발의 노인과 어르신 두 분이 목포의 한 파출소 안으로 들어옵니다.
세사람은 휴대전화를 뒤적이며 경찰관에게 뭔가를 설명합니다.
경찰관이 곧바로 향한 곳은 홀로 사시는 75살 강연규 할아버지의 집.
문을 두드려도 인기척이 없어 들어가보니 할아버지는 쓰러져 있었습니다.
["119랑 함께 문을 강제개방을 한 다음에 현장에 진입했을 때는 할아버지께서 안방에 미동도 못 한채 이렇게 딱 사지가 풀려있는 좀 위급한 상태셨고요."]
신고한 이들은 강 할아버지와 함께 복지관에서 탁구 모임을 하던 이웃들.
매일같이 탁구를 치러 나오던 할아버지가 보이지 않자 경찰서에 실종신고를 한 것입니다.
["그분은 매일 1시부터 5시까지 이 탁구장에서 운동하는 사람인데요. 갑자기 연락이 안되어가지고 특히 불안한것은 혼자 살고 있는 사람이라서 걱정 되어가지고 급히 파출소에 연락했습니다."]
처음에는 거의 움직임이 없었던 강할아버지는 병원에 옮겨진 지금 상당히 호전됐습니다.
평소 같이 운동을 하던 친구들이 생명의 은인이 됐습니다.
["얼마나 고맙지. 그것 만큼 고마운 게 없어. 내가 살았잖아. 시간을 더 넘 겼으면 죽을 수도 있었는데"]
이웃에 대한 작은 관심과 경찰의 적극적인 초동 대처가 할아버지의 생명을 구했습니다.
KBS 뉴스 김애린입니다.
- 고독사 위기 할아버지…이웃 관심으로 구사일생
-
- 입력 2020-02-20 07:41:18
- 수정2020-02-20 08:12:03

[앵커]
홀로 사시다 뇌출혈로 쓰러진 70대 할아버지가 주민들의 신고로 목숨을 구했습니다.
평소 운동을 즐기던 할아버지가 나타나지 않자 이웃들이 나선 것입니다.
김애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백발의 노인과 어르신 두 분이 목포의 한 파출소 안으로 들어옵니다.
세사람은 휴대전화를 뒤적이며 경찰관에게 뭔가를 설명합니다.
경찰관이 곧바로 향한 곳은 홀로 사시는 75살 강연규 할아버지의 집.
문을 두드려도 인기척이 없어 들어가보니 할아버지는 쓰러져 있었습니다.
["119랑 함께 문을 강제개방을 한 다음에 현장에 진입했을 때는 할아버지께서 안방에 미동도 못 한채 이렇게 딱 사지가 풀려있는 좀 위급한 상태셨고요."]
신고한 이들은 강 할아버지와 함께 복지관에서 탁구 모임을 하던 이웃들.
매일같이 탁구를 치러 나오던 할아버지가 보이지 않자 경찰서에 실종신고를 한 것입니다.
["그분은 매일 1시부터 5시까지 이 탁구장에서 운동하는 사람인데요. 갑자기 연락이 안되어가지고 특히 불안한것은 혼자 살고 있는 사람이라서 걱정 되어가지고 급히 파출소에 연락했습니다."]
처음에는 거의 움직임이 없었던 강할아버지는 병원에 옮겨진 지금 상당히 호전됐습니다.
평소 같이 운동을 하던 친구들이 생명의 은인이 됐습니다.
["얼마나 고맙지. 그것 만큼 고마운 게 없어. 내가 살았잖아. 시간을 더 넘 겼으면 죽을 수도 있었는데"]
이웃에 대한 작은 관심과 경찰의 적극적인 초동 대처가 할아버지의 생명을 구했습니다.
KBS 뉴스 김애린입니다.
홀로 사시다 뇌출혈로 쓰러진 70대 할아버지가 주민들의 신고로 목숨을 구했습니다.
평소 운동을 즐기던 할아버지가 나타나지 않자 이웃들이 나선 것입니다.
김애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백발의 노인과 어르신 두 분이 목포의 한 파출소 안으로 들어옵니다.
세사람은 휴대전화를 뒤적이며 경찰관에게 뭔가를 설명합니다.
경찰관이 곧바로 향한 곳은 홀로 사시는 75살 강연규 할아버지의 집.
문을 두드려도 인기척이 없어 들어가보니 할아버지는 쓰러져 있었습니다.
["119랑 함께 문을 강제개방을 한 다음에 현장에 진입했을 때는 할아버지께서 안방에 미동도 못 한채 이렇게 딱 사지가 풀려있는 좀 위급한 상태셨고요."]
신고한 이들은 강 할아버지와 함께 복지관에서 탁구 모임을 하던 이웃들.
매일같이 탁구를 치러 나오던 할아버지가 보이지 않자 경찰서에 실종신고를 한 것입니다.
["그분은 매일 1시부터 5시까지 이 탁구장에서 운동하는 사람인데요. 갑자기 연락이 안되어가지고 특히 불안한것은 혼자 살고 있는 사람이라서 걱정 되어가지고 급히 파출소에 연락했습니다."]
처음에는 거의 움직임이 없었던 강할아버지는 병원에 옮겨진 지금 상당히 호전됐습니다.
평소 같이 운동을 하던 친구들이 생명의 은인이 됐습니다.
["얼마나 고맙지. 그것 만큼 고마운 게 없어. 내가 살았잖아. 시간을 더 넘 겼으면 죽을 수도 있었는데"]
이웃에 대한 작은 관심과 경찰의 적극적인 초동 대처가 할아버지의 생명을 구했습니다.
KBS 뉴스 김애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광장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애린 기자 thirsty@kbs.co.kr
김애린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