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 구호자금 100조…재난소득 “선별 지원” 무게
입력 2020.03.25 (07:19)
수정 2020.03.25 (07: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코로나19 여파로 위기에 처한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총 100조 원 규모의 긴급 자금을 풀기로 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대책을 발표하면서, 우리 기업이 도산하는 일을 반드시 막고, 국민들 일자리도 지키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현금성 지원' 긴급재난소득과 관련해선, 다음주 3차 회의때 결론 내릴 수 있게 준비하라고 지시했습니다.
김지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2차 비상경제회의에서 나온 대책의 핵심은 '기업 살리기'입니다.
100조 원 규모의 '기업구호 긴급자금'을 풀어 자금난을 겪고 있는 기업의 숨통을 틔우기로 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기업이 도산하는 일은 반드시 막겠습니다.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 때문에 문을 닫는 일은 결코 없을 것입니다."]
기업을 살리고 일자리도 지키겠다는 건데, 이를 위해 고용 유지 지원금을 확대하고 특히 4대 보험료와 전기료 유예, 면제는 다음 달부터 바로 시행해달라고 주문했습니다.
현금성 지원, '긴급재난소득' 추진도 공식화했습니다.
다음주 열리는 3차 회의 때 결론내겠다는 겁니다.
[문재인 대통령 : "3차 회의에선 실효성 있는 생계 지원 방안에 대해 재정 소요를 종합 고려하여 신속한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준비해 주기 바랍니다."]
문 대통령 지시에 따라 청와대는 단일안을 만들기 위한 논의에 착수했습니다.
일단 '현금성 지원'을 한시적으로 지급하는 '긴급 지원금'으로 규정했는데, 전 국민에게 줄 거냐, 선별해서 줄 거냐를 놓고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현재로선 선별 지급하되 기간 내에 반드시 쓸 수 있도록 선불카드, 지역화폐 등으로 지급하는 방안에 무게가 실렸는데, 전 국민 지급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아직 방향이 결정된 건 없고 대통령 지시에 따라 논의를 해봐야 한다" 면서 "결국 최종 결정은 대통령이 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오늘(25일) 국회에서 열리는 고위 당정청 회의에서도 이 문제가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지선입니다.
정부가 코로나19 여파로 위기에 처한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총 100조 원 규모의 긴급 자금을 풀기로 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대책을 발표하면서, 우리 기업이 도산하는 일을 반드시 막고, 국민들 일자리도 지키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현금성 지원' 긴급재난소득과 관련해선, 다음주 3차 회의때 결론 내릴 수 있게 준비하라고 지시했습니다.
김지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2차 비상경제회의에서 나온 대책의 핵심은 '기업 살리기'입니다.
100조 원 규모의 '기업구호 긴급자금'을 풀어 자금난을 겪고 있는 기업의 숨통을 틔우기로 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기업이 도산하는 일은 반드시 막겠습니다.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 때문에 문을 닫는 일은 결코 없을 것입니다."]
기업을 살리고 일자리도 지키겠다는 건데, 이를 위해 고용 유지 지원금을 확대하고 특히 4대 보험료와 전기료 유예, 면제는 다음 달부터 바로 시행해달라고 주문했습니다.
현금성 지원, '긴급재난소득' 추진도 공식화했습니다.
다음주 열리는 3차 회의 때 결론내겠다는 겁니다.
[문재인 대통령 : "3차 회의에선 실효성 있는 생계 지원 방안에 대해 재정 소요를 종합 고려하여 신속한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준비해 주기 바랍니다."]
문 대통령 지시에 따라 청와대는 단일안을 만들기 위한 논의에 착수했습니다.
일단 '현금성 지원'을 한시적으로 지급하는 '긴급 지원금'으로 규정했는데, 전 국민에게 줄 거냐, 선별해서 줄 거냐를 놓고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현재로선 선별 지급하되 기간 내에 반드시 쓸 수 있도록 선불카드, 지역화폐 등으로 지급하는 방안에 무게가 실렸는데, 전 국민 지급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아직 방향이 결정된 건 없고 대통령 지시에 따라 논의를 해봐야 한다" 면서 "결국 최종 결정은 대통령이 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오늘(25일) 국회에서 열리는 고위 당정청 회의에서도 이 문제가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지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긴급 구호자금 100조…재난소득 “선별 지원” 무게
-
- 입력 2020-03-25 07:22:50
- 수정2020-03-25 07:54:54

[앵커]
정부가 코로나19 여파로 위기에 처한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총 100조 원 규모의 긴급 자금을 풀기로 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대책을 발표하면서, 우리 기업이 도산하는 일을 반드시 막고, 국민들 일자리도 지키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현금성 지원' 긴급재난소득과 관련해선, 다음주 3차 회의때 결론 내릴 수 있게 준비하라고 지시했습니다.
김지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2차 비상경제회의에서 나온 대책의 핵심은 '기업 살리기'입니다.
100조 원 규모의 '기업구호 긴급자금'을 풀어 자금난을 겪고 있는 기업의 숨통을 틔우기로 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기업이 도산하는 일은 반드시 막겠습니다.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 때문에 문을 닫는 일은 결코 없을 것입니다."]
기업을 살리고 일자리도 지키겠다는 건데, 이를 위해 고용 유지 지원금을 확대하고 특히 4대 보험료와 전기료 유예, 면제는 다음 달부터 바로 시행해달라고 주문했습니다.
현금성 지원, '긴급재난소득' 추진도 공식화했습니다.
다음주 열리는 3차 회의 때 결론내겠다는 겁니다.
[문재인 대통령 : "3차 회의에선 실효성 있는 생계 지원 방안에 대해 재정 소요를 종합 고려하여 신속한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준비해 주기 바랍니다."]
문 대통령 지시에 따라 청와대는 단일안을 만들기 위한 논의에 착수했습니다.
일단 '현금성 지원'을 한시적으로 지급하는 '긴급 지원금'으로 규정했는데, 전 국민에게 줄 거냐, 선별해서 줄 거냐를 놓고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현재로선 선별 지급하되 기간 내에 반드시 쓸 수 있도록 선불카드, 지역화폐 등으로 지급하는 방안에 무게가 실렸는데, 전 국민 지급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아직 방향이 결정된 건 없고 대통령 지시에 따라 논의를 해봐야 한다" 면서 "결국 최종 결정은 대통령이 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오늘(25일) 국회에서 열리는 고위 당정청 회의에서도 이 문제가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지선입니다.
정부가 코로나19 여파로 위기에 처한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총 100조 원 규모의 긴급 자금을 풀기로 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대책을 발표하면서, 우리 기업이 도산하는 일을 반드시 막고, 국민들 일자리도 지키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현금성 지원' 긴급재난소득과 관련해선, 다음주 3차 회의때 결론 내릴 수 있게 준비하라고 지시했습니다.
김지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2차 비상경제회의에서 나온 대책의 핵심은 '기업 살리기'입니다.
100조 원 규모의 '기업구호 긴급자금'을 풀어 자금난을 겪고 있는 기업의 숨통을 틔우기로 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기업이 도산하는 일은 반드시 막겠습니다.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 때문에 문을 닫는 일은 결코 없을 것입니다."]
기업을 살리고 일자리도 지키겠다는 건데, 이를 위해 고용 유지 지원금을 확대하고 특히 4대 보험료와 전기료 유예, 면제는 다음 달부터 바로 시행해달라고 주문했습니다.
현금성 지원, '긴급재난소득' 추진도 공식화했습니다.
다음주 열리는 3차 회의 때 결론내겠다는 겁니다.
[문재인 대통령 : "3차 회의에선 실효성 있는 생계 지원 방안에 대해 재정 소요를 종합 고려하여 신속한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준비해 주기 바랍니다."]
문 대통령 지시에 따라 청와대는 단일안을 만들기 위한 논의에 착수했습니다.
일단 '현금성 지원'을 한시적으로 지급하는 '긴급 지원금'으로 규정했는데, 전 국민에게 줄 거냐, 선별해서 줄 거냐를 놓고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현재로선 선별 지급하되 기간 내에 반드시 쓸 수 있도록 선불카드, 지역화폐 등으로 지급하는 방안에 무게가 실렸는데, 전 국민 지급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아직 방향이 결정된 건 없고 대통령 지시에 따라 논의를 해봐야 한다" 면서 "결국 최종 결정은 대통령이 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오늘(25일) 국회에서 열리는 고위 당정청 회의에서도 이 문제가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지선입니다.
-
-
김지선 기자 3rdline@kbs.co.kr
김지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