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시장 폐쇄 장기화…애타는 축산농가
입력 2020.03.25 (07:36)
수정 2020.03.25 (08: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전남 15개 가축시장을 포함해 전국의 가축시장이 모두 문을 닫았는데요,
언제 다시 개장할 지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축산 농가들의 근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최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매주 화요일마다 4백 마리의 소가 거래됐던 전남 보성의 가축시장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우렁찬 소 울음 대신 적막감만 감돌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한달째 문을 못 열고 있습니다.
30여 년동안 소를 키워 온 안금섭 씨는 이번 가축시장 폐쇄로 한숨만 내쉬고 있습니다.
출하 적기를 넘긴 소를 제 때 못 팔아 수입은 없는데 사료값은 계속 대야 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송아지나 비육우 한 두 마리를 가축 시장에 내놓는 영세 축산 농가에겐 가축시장 폐쇄가 더 큰 부담입니다.
[안금섭/한우사육농민 : "돈줄이 완전히 막혀있잖아요. 생축을 거래하는데 크게 지장이 없다면 가축시장을 열어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전남지역 15개 가축시장에서 1주일 동안 거래되는 소는 3천여 마리.
거래대금만 평균 150억원에 육박합니다.
하지만 축산당국은 코로나19 때문에 다음 달 초까지도 가축시장 폐쇄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박도환/전남도 축산정책과장 : "상황이 안정되면 4월5일 이후에 시군과 지역축협장들과 협의해서 재개장 여부를 결정하겠습니다."]
지역 축협과 지자체는 가축시장이 아닌 해당 농가에 구매자를 직접 초청해 거래하는 방식을 권고할 예정이지만 효과를 거둘 지는 미지숩니다.
KBS 뉴스 최정민입니다.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전남 15개 가축시장을 포함해 전국의 가축시장이 모두 문을 닫았는데요,
언제 다시 개장할 지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축산 농가들의 근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최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매주 화요일마다 4백 마리의 소가 거래됐던 전남 보성의 가축시장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우렁찬 소 울음 대신 적막감만 감돌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한달째 문을 못 열고 있습니다.
30여 년동안 소를 키워 온 안금섭 씨는 이번 가축시장 폐쇄로 한숨만 내쉬고 있습니다.
출하 적기를 넘긴 소를 제 때 못 팔아 수입은 없는데 사료값은 계속 대야 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송아지나 비육우 한 두 마리를 가축 시장에 내놓는 영세 축산 농가에겐 가축시장 폐쇄가 더 큰 부담입니다.
[안금섭/한우사육농민 : "돈줄이 완전히 막혀있잖아요. 생축을 거래하는데 크게 지장이 없다면 가축시장을 열어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전남지역 15개 가축시장에서 1주일 동안 거래되는 소는 3천여 마리.
거래대금만 평균 150억원에 육박합니다.
하지만 축산당국은 코로나19 때문에 다음 달 초까지도 가축시장 폐쇄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박도환/전남도 축산정책과장 : "상황이 안정되면 4월5일 이후에 시군과 지역축협장들과 협의해서 재개장 여부를 결정하겠습니다."]
지역 축협과 지자체는 가축시장이 아닌 해당 농가에 구매자를 직접 초청해 거래하는 방식을 권고할 예정이지만 효과를 거둘 지는 미지숩니다.
KBS 뉴스 최정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축시장 폐쇄 장기화…애타는 축산농가
-
- 입력 2020-03-25 07:38:39
- 수정2020-03-25 08:05:00

[앵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전남 15개 가축시장을 포함해 전국의 가축시장이 모두 문을 닫았는데요,
언제 다시 개장할 지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축산 농가들의 근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최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매주 화요일마다 4백 마리의 소가 거래됐던 전남 보성의 가축시장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우렁찬 소 울음 대신 적막감만 감돌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한달째 문을 못 열고 있습니다.
30여 년동안 소를 키워 온 안금섭 씨는 이번 가축시장 폐쇄로 한숨만 내쉬고 있습니다.
출하 적기를 넘긴 소를 제 때 못 팔아 수입은 없는데 사료값은 계속 대야 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송아지나 비육우 한 두 마리를 가축 시장에 내놓는 영세 축산 농가에겐 가축시장 폐쇄가 더 큰 부담입니다.
[안금섭/한우사육농민 : "돈줄이 완전히 막혀있잖아요. 생축을 거래하는데 크게 지장이 없다면 가축시장을 열어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전남지역 15개 가축시장에서 1주일 동안 거래되는 소는 3천여 마리.
거래대금만 평균 150억원에 육박합니다.
하지만 축산당국은 코로나19 때문에 다음 달 초까지도 가축시장 폐쇄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박도환/전남도 축산정책과장 : "상황이 안정되면 4월5일 이후에 시군과 지역축협장들과 협의해서 재개장 여부를 결정하겠습니다."]
지역 축협과 지자체는 가축시장이 아닌 해당 농가에 구매자를 직접 초청해 거래하는 방식을 권고할 예정이지만 효과를 거둘 지는 미지숩니다.
KBS 뉴스 최정민입니다.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전남 15개 가축시장을 포함해 전국의 가축시장이 모두 문을 닫았는데요,
언제 다시 개장할 지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축산 농가들의 근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최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매주 화요일마다 4백 마리의 소가 거래됐던 전남 보성의 가축시장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우렁찬 소 울음 대신 적막감만 감돌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한달째 문을 못 열고 있습니다.
30여 년동안 소를 키워 온 안금섭 씨는 이번 가축시장 폐쇄로 한숨만 내쉬고 있습니다.
출하 적기를 넘긴 소를 제 때 못 팔아 수입은 없는데 사료값은 계속 대야 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송아지나 비육우 한 두 마리를 가축 시장에 내놓는 영세 축산 농가에겐 가축시장 폐쇄가 더 큰 부담입니다.
[안금섭/한우사육농민 : "돈줄이 완전히 막혀있잖아요. 생축을 거래하는데 크게 지장이 없다면 가축시장을 열어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전남지역 15개 가축시장에서 1주일 동안 거래되는 소는 3천여 마리.
거래대금만 평균 150억원에 육박합니다.
하지만 축산당국은 코로나19 때문에 다음 달 초까지도 가축시장 폐쇄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박도환/전남도 축산정책과장 : "상황이 안정되면 4월5일 이후에 시군과 지역축협장들과 협의해서 재개장 여부를 결정하겠습니다."]
지역 축협과 지자체는 가축시장이 아닌 해당 농가에 구매자를 직접 초청해 거래하는 방식을 권고할 예정이지만 효과를 거둘 지는 미지숩니다.
KBS 뉴스 최정민입니다.

-
-
최정민 기자 cjmin@kbs.co.kr
최정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코로나19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