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Talk] 프랑스, 코로나19 여파 ‘감자 파동’…시름 깊은 농민들
입력 2020.05.19 (10:52)
수정 2020.05.19 (10: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여파로 프랑스 북부 감자 산지에 수백 톤의 감자가 남아 돌아 생산자들이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지구촌 톡>에서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프랑스 북부 파드칼레의 한 감자 창고.
덮개를 걷어 보니 무려 150톤의 감자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습니다.
코로나19 여파로 감자 소비의 70%를 차지하는 외식 업체에서 소비가 줄어 타격을 면치 못했습니다.
직판장도 마련되지 않아 오갈데 없는 감자를 생산 농민들이 직접 나서 처분해야 하는 상황.
농민들은 온라인을 통해 주문을 받는 등으로 자구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콘스턴스 르클레르/감자 생산 농민 : "온라인 주문서를 작성해 달라고 해서 고객들에게 일일이 전화를 걸어 약속을 잡습니다."]
평소 감자 판매가는 1톤에 150유로에 달했지만 지금은 무상 판매로, 농민들은 가져가 주는 것만으로도 감사할 지경입니다.
일부 농민들은 시장 변화에 대응해 감자 재배지의 10%를 이미 옥수수로 대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 여파로 프랑스 북부 감자 산지에 수백 톤의 감자가 남아 돌아 생산자들이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지구촌 톡>에서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프랑스 북부 파드칼레의 한 감자 창고.
덮개를 걷어 보니 무려 150톤의 감자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습니다.
코로나19 여파로 감자 소비의 70%를 차지하는 외식 업체에서 소비가 줄어 타격을 면치 못했습니다.
직판장도 마련되지 않아 오갈데 없는 감자를 생산 농민들이 직접 나서 처분해야 하는 상황.
농민들은 온라인을 통해 주문을 받는 등으로 자구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콘스턴스 르클레르/감자 생산 농민 : "온라인 주문서를 작성해 달라고 해서 고객들에게 일일이 전화를 걸어 약속을 잡습니다."]
평소 감자 판매가는 1톤에 150유로에 달했지만 지금은 무상 판매로, 농민들은 가져가 주는 것만으로도 감사할 지경입니다.
일부 농민들은 시장 변화에 대응해 감자 재배지의 10%를 이미 옥수수로 대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구촌 Talk] 프랑스, 코로나19 여파 ‘감자 파동’…시름 깊은 농민들
-
- 입력 2020-05-19 10:52:51
- 수정2020-05-19 10:59:05

[앵커]
코로나19 여파로 프랑스 북부 감자 산지에 수백 톤의 감자가 남아 돌아 생산자들이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지구촌 톡>에서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프랑스 북부 파드칼레의 한 감자 창고.
덮개를 걷어 보니 무려 150톤의 감자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습니다.
코로나19 여파로 감자 소비의 70%를 차지하는 외식 업체에서 소비가 줄어 타격을 면치 못했습니다.
직판장도 마련되지 않아 오갈데 없는 감자를 생산 농민들이 직접 나서 처분해야 하는 상황.
농민들은 온라인을 통해 주문을 받는 등으로 자구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콘스턴스 르클레르/감자 생산 농민 : "온라인 주문서를 작성해 달라고 해서 고객들에게 일일이 전화를 걸어 약속을 잡습니다."]
평소 감자 판매가는 1톤에 150유로에 달했지만 지금은 무상 판매로, 농민들은 가져가 주는 것만으로도 감사할 지경입니다.
일부 농민들은 시장 변화에 대응해 감자 재배지의 10%를 이미 옥수수로 대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 여파로 프랑스 북부 감자 산지에 수백 톤의 감자가 남아 돌아 생산자들이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지구촌 톡>에서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프랑스 북부 파드칼레의 한 감자 창고.
덮개를 걷어 보니 무려 150톤의 감자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습니다.
코로나19 여파로 감자 소비의 70%를 차지하는 외식 업체에서 소비가 줄어 타격을 면치 못했습니다.
직판장도 마련되지 않아 오갈데 없는 감자를 생산 농민들이 직접 나서 처분해야 하는 상황.
농민들은 온라인을 통해 주문을 받는 등으로 자구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콘스턴스 르클레르/감자 생산 농민 : "온라인 주문서를 작성해 달라고 해서 고객들에게 일일이 전화를 걸어 약속을 잡습니다."]
평소 감자 판매가는 1톤에 150유로에 달했지만 지금은 무상 판매로, 농민들은 가져가 주는 것만으로도 감사할 지경입니다.
일부 농민들은 시장 변화에 대응해 감자 재배지의 10%를 이미 옥수수로 대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