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킥보드 안전사고 급증…70%는 머리 부상
입력 2020.05.21 (19:20)
수정 2020.05.21 (19: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이맘때쯤 가까운 공원, 많이들 찾으실 텐데요.
어린이들이 즐겨 타는 킥보드 안전사고가 최근 5년 새 4배 이상 급증했다고 합니다.
특히 70%는 머리나 얼굴 부분을 다쳐 주의가 요구됩니다.
김수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 안, 차 한 대가 들어섭니다.
킥보드를 타고 있던 한 아이를 지나쳤는데,
["아이고!"]
좌회전을 하다 킥보드를 타고 나타난 다른 아이와 부딪치고 맙니다.
[한문철/교통사고 전문 변호사 : "큰 사고가 날 뻔했는데요. 운전하시는 분도 조심하셔야 하고요. 애들 키우시는 분들도 조심하셔야 합니다."]
아파트 단지뿐만이 아닙니다.
평일 낮, 공원 곳곳에 발로 미는 수동 킥보드를 타는 어린이들이 보입니다.
대부분 보호장구를 착용하지 않고 한 손을 놓고 타거나, 친구들과 속도 경쟁도 즐깁니다.
잠시 한눈을 팔면 자전거가 중간에 끼어들고, 집중력을 잃으면서 앞으로 넘어집니다.
[안혜정/서울 송파구 : "속도감 내기에는 사실 자전거보다 킥보드가 훨씬 빠르죠. 거의 부딪힌다고 봐야죠. 그런데 아이들은 바퀴 굴러가는 것도 재밌고 속도감도 재밌고..."]
소비자원 조사 결과 어린이 킥보드 안전사고는 최근 5년간 5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4살부터 6살까지 유아기에 가장 많이 발생했습니다.
미끄지거나 넘어지는 사고가 대부분인데, 다치면 머리나 얼굴을 다치는 경우가 7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안전모 등 보호 장구를 반드시 착용하고, 자동차나 오토바이가 없는 곳에서 타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최윤선/한국소비자원 위해정보국 위해예방팀장 : "양손으로 잡고 타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요. 사용 전에는 안전상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바닥이 평평한 곳인지 혹시 웅덩이가 있지 않은지..."]
이와 별도로 전동킥보드의 경우 법 개정으로 이르면 연말부터 자전거 도로를 통행할 수 있게 돼 보행자 사고 등에 대한 주의가 더 필요하게 됐습니다.
KBS 뉴스 김수영입니다.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이맘때쯤 가까운 공원, 많이들 찾으실 텐데요.
어린이들이 즐겨 타는 킥보드 안전사고가 최근 5년 새 4배 이상 급증했다고 합니다.
특히 70%는 머리나 얼굴 부분을 다쳐 주의가 요구됩니다.
김수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 안, 차 한 대가 들어섭니다.
킥보드를 타고 있던 한 아이를 지나쳤는데,
["아이고!"]
좌회전을 하다 킥보드를 타고 나타난 다른 아이와 부딪치고 맙니다.
[한문철/교통사고 전문 변호사 : "큰 사고가 날 뻔했는데요. 운전하시는 분도 조심하셔야 하고요. 애들 키우시는 분들도 조심하셔야 합니다."]
아파트 단지뿐만이 아닙니다.
평일 낮, 공원 곳곳에 발로 미는 수동 킥보드를 타는 어린이들이 보입니다.
대부분 보호장구를 착용하지 않고 한 손을 놓고 타거나, 친구들과 속도 경쟁도 즐깁니다.
잠시 한눈을 팔면 자전거가 중간에 끼어들고, 집중력을 잃으면서 앞으로 넘어집니다.
[안혜정/서울 송파구 : "속도감 내기에는 사실 자전거보다 킥보드가 훨씬 빠르죠. 거의 부딪힌다고 봐야죠. 그런데 아이들은 바퀴 굴러가는 것도 재밌고 속도감도 재밌고..."]
소비자원 조사 결과 어린이 킥보드 안전사고는 최근 5년간 5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4살부터 6살까지 유아기에 가장 많이 발생했습니다.
미끄지거나 넘어지는 사고가 대부분인데, 다치면 머리나 얼굴을 다치는 경우가 7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안전모 등 보호 장구를 반드시 착용하고, 자동차나 오토바이가 없는 곳에서 타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최윤선/한국소비자원 위해정보국 위해예방팀장 : "양손으로 잡고 타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요. 사용 전에는 안전상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바닥이 평평한 곳인지 혹시 웅덩이가 있지 않은지..."]
이와 별도로 전동킥보드의 경우 법 개정으로 이르면 연말부터 자전거 도로를 통행할 수 있게 돼 보행자 사고 등에 대한 주의가 더 필요하게 됐습니다.
KBS 뉴스 김수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어린이 킥보드 안전사고 급증…70%는 머리 부상
-
- 입력 2020-05-21 19:22:24
- 수정2020-05-21 19:41:32

[앵커]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이맘때쯤 가까운 공원, 많이들 찾으실 텐데요.
어린이들이 즐겨 타는 킥보드 안전사고가 최근 5년 새 4배 이상 급증했다고 합니다.
특히 70%는 머리나 얼굴 부분을 다쳐 주의가 요구됩니다.
김수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 안, 차 한 대가 들어섭니다.
킥보드를 타고 있던 한 아이를 지나쳤는데,
["아이고!"]
좌회전을 하다 킥보드를 타고 나타난 다른 아이와 부딪치고 맙니다.
[한문철/교통사고 전문 변호사 : "큰 사고가 날 뻔했는데요. 운전하시는 분도 조심하셔야 하고요. 애들 키우시는 분들도 조심하셔야 합니다."]
아파트 단지뿐만이 아닙니다.
평일 낮, 공원 곳곳에 발로 미는 수동 킥보드를 타는 어린이들이 보입니다.
대부분 보호장구를 착용하지 않고 한 손을 놓고 타거나, 친구들과 속도 경쟁도 즐깁니다.
잠시 한눈을 팔면 자전거가 중간에 끼어들고, 집중력을 잃으면서 앞으로 넘어집니다.
[안혜정/서울 송파구 : "속도감 내기에는 사실 자전거보다 킥보드가 훨씬 빠르죠. 거의 부딪힌다고 봐야죠. 그런데 아이들은 바퀴 굴러가는 것도 재밌고 속도감도 재밌고..."]
소비자원 조사 결과 어린이 킥보드 안전사고는 최근 5년간 5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4살부터 6살까지 유아기에 가장 많이 발생했습니다.
미끄지거나 넘어지는 사고가 대부분인데, 다치면 머리나 얼굴을 다치는 경우가 7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안전모 등 보호 장구를 반드시 착용하고, 자동차나 오토바이가 없는 곳에서 타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최윤선/한국소비자원 위해정보국 위해예방팀장 : "양손으로 잡고 타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요. 사용 전에는 안전상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바닥이 평평한 곳인지 혹시 웅덩이가 있지 않은지..."]
이와 별도로 전동킥보드의 경우 법 개정으로 이르면 연말부터 자전거 도로를 통행할 수 있게 돼 보행자 사고 등에 대한 주의가 더 필요하게 됐습니다.
KBS 뉴스 김수영입니다.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이맘때쯤 가까운 공원, 많이들 찾으실 텐데요.
어린이들이 즐겨 타는 킥보드 안전사고가 최근 5년 새 4배 이상 급증했다고 합니다.
특히 70%는 머리나 얼굴 부분을 다쳐 주의가 요구됩니다.
김수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 안, 차 한 대가 들어섭니다.
킥보드를 타고 있던 한 아이를 지나쳤는데,
["아이고!"]
좌회전을 하다 킥보드를 타고 나타난 다른 아이와 부딪치고 맙니다.
[한문철/교통사고 전문 변호사 : "큰 사고가 날 뻔했는데요. 운전하시는 분도 조심하셔야 하고요. 애들 키우시는 분들도 조심하셔야 합니다."]
아파트 단지뿐만이 아닙니다.
평일 낮, 공원 곳곳에 발로 미는 수동 킥보드를 타는 어린이들이 보입니다.
대부분 보호장구를 착용하지 않고 한 손을 놓고 타거나, 친구들과 속도 경쟁도 즐깁니다.
잠시 한눈을 팔면 자전거가 중간에 끼어들고, 집중력을 잃으면서 앞으로 넘어집니다.
[안혜정/서울 송파구 : "속도감 내기에는 사실 자전거보다 킥보드가 훨씬 빠르죠. 거의 부딪힌다고 봐야죠. 그런데 아이들은 바퀴 굴러가는 것도 재밌고 속도감도 재밌고..."]
소비자원 조사 결과 어린이 킥보드 안전사고는 최근 5년간 5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4살부터 6살까지 유아기에 가장 많이 발생했습니다.
미끄지거나 넘어지는 사고가 대부분인데, 다치면 머리나 얼굴을 다치는 경우가 7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안전모 등 보호 장구를 반드시 착용하고, 자동차나 오토바이가 없는 곳에서 타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최윤선/한국소비자원 위해정보국 위해예방팀장 : "양손으로 잡고 타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요. 사용 전에는 안전상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바닥이 평평한 곳인지 혹시 웅덩이가 있지 않은지..."]
이와 별도로 전동킥보드의 경우 법 개정으로 이르면 연말부터 자전거 도로를 통행할 수 있게 돼 보행자 사고 등에 대한 주의가 더 필요하게 됐습니다.
KBS 뉴스 김수영입니다.
-
-
김수영 기자 swimming@kbs.co.kr
김수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