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뉴스] 감사원장 흔들기 논란에 입 연 ‘청와대’…‘송파구청’ 소송 당한 사연
입력 2020.07.27 (23:41)
수정 2020.07.28 (01: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제의 뉴스 키워드 살펴보겠습니다.
빅데이터 뉴스, 빅뉴습니다.
9천 건이 넘는 오늘자 기사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키워든데요.
먼저, 갈수록 격하게 충돌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 보겠습니다.
대중 강경파인 테드 크루즈 미국 공화당 상원의원이 "코로나 대유행이 중국의 대응 실패에서 비롯됐다"며 "미국 내 중국 영사관이 추가로 폐쇄될 거"라고 전망했다는 보도가 있었고요.
"중국과 연계된 산업스파이 행위가 10년 간 1300% 증가했다"는 FBI 국장의 발언을 다룬 뉴스와, 폐쇄회로 TV가 가장 많은 세계 20개 도시 중 18개가 중국에 있다는 뉴스도 눈길을 끌었습니다.
'청와대'도 주요 키워드였습니다.
청와대, 감사원 직무와 관련해 "독립된 지위를 갖는다." "이 원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감사원이 월성 원전 1호기 폐쇄 결정이 적절했는지 결과 발표를 앞두고 '경제성 없음' 평가가 부적절했다고 잠정 결론을 내렸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고, 최재형 감사원장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자 이 상황에서 나온 입장이었습니다.
또, 국회에서 한 남성이 대통령에게 신발을 던진 것과 관련해 담당 경호부장이 대기발령됐다는 뉴스와, 1,2분기 기적같은 선방이 이뤄졌고 3분기에는 경기가 반등할 거라고 한 대통령 발언도 청와대를 화제 키워드로 올렸습니다.
정치부터 분야별 키워드 보겠습니다.
야당의 반발 속에 오늘 임명 재가된 '이인영' 신임 통일부 장관 올라왔고요.
'이해찬' 민주당 대표도 보이는데요.
"서울 천박한 도시" 발언 후폭풍과 함께 이 대표가 세종시에 보유한 부동산을 조명한 기사가 많았습니다.
경제부터 분야별 키워드 보겠습니다.
'한국은행'이 올라왔네요.
3개월 만에 100조원 가량 유동성이 증가했지만, 시중에 돈이 돌지 않고 은행으로 다시 대거 예치되고 있다는 뉴스 때문이었습니다.
언론들은 "돈맥경화", "금융과 실물 간 디커플링" 같은 표현으로 심각성을 전했습니다.
다음은 문화 뉴스 키워든데요.
'송파구청'이 왜 올라왔는지 볼까요.
트로트 스타들을 배출한 종편 프로그램이 계획한 공연을 공연 사흘 전 송파구청이 불허했는데 제작사가 구청에 소송을 제기했다는 뉴스가 화제였습니다.
지역뉴스 보고 가겠습니다.
'부산'이 키워드로 올라왔는데요.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마스크 착용을 거부한 남성이 처음으로 경찰에 입건됐다는 소식과, 3명의 사망자를 낸 지하차도 침수 참사와 관련해 부산시 동구가 해당 지하차도 위험 점수를 낮게 표기한 바람에 관리 대상에서 빠뜨렸다는 보도가 눈에 띄었습니다.
끝으로 사회 뉴습니다.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 오늘 왜 주요 키워드가 됐을까요.
경찰이 박 전 시장 성추행 의혹과 관련해 서울시 비서실 직원 10여 명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고, 피해자의 진술서라는 이름으로 문건을 유포한 혐의로 3명을 입건했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법무부'와 '검찰'이 함께 올라왔는데요.
장관과 검찰총장 간 갈등 속에 법무부 검찰개혁위원회가 검찰총장 권한 축소를 권고했다는 뉴스가 주목을 받았습니다.
오늘, 빅뉴스는 여기까지고요.
빅데이터 뉴스, 빅뉴습니다.
9천 건이 넘는 오늘자 기사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키워든데요.
먼저, 갈수록 격하게 충돌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 보겠습니다.
대중 강경파인 테드 크루즈 미국 공화당 상원의원이 "코로나 대유행이 중국의 대응 실패에서 비롯됐다"며 "미국 내 중국 영사관이 추가로 폐쇄될 거"라고 전망했다는 보도가 있었고요.
"중국과 연계된 산업스파이 행위가 10년 간 1300% 증가했다"는 FBI 국장의 발언을 다룬 뉴스와, 폐쇄회로 TV가 가장 많은 세계 20개 도시 중 18개가 중국에 있다는 뉴스도 눈길을 끌었습니다.
'청와대'도 주요 키워드였습니다.
청와대, 감사원 직무와 관련해 "독립된 지위를 갖는다." "이 원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감사원이 월성 원전 1호기 폐쇄 결정이 적절했는지 결과 발표를 앞두고 '경제성 없음' 평가가 부적절했다고 잠정 결론을 내렸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고, 최재형 감사원장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자 이 상황에서 나온 입장이었습니다.
또, 국회에서 한 남성이 대통령에게 신발을 던진 것과 관련해 담당 경호부장이 대기발령됐다는 뉴스와, 1,2분기 기적같은 선방이 이뤄졌고 3분기에는 경기가 반등할 거라고 한 대통령 발언도 청와대를 화제 키워드로 올렸습니다.
정치부터 분야별 키워드 보겠습니다.
야당의 반발 속에 오늘 임명 재가된 '이인영' 신임 통일부 장관 올라왔고요.
'이해찬' 민주당 대표도 보이는데요.
"서울 천박한 도시" 발언 후폭풍과 함께 이 대표가 세종시에 보유한 부동산을 조명한 기사가 많았습니다.
경제부터 분야별 키워드 보겠습니다.
'한국은행'이 올라왔네요.
3개월 만에 100조원 가량 유동성이 증가했지만, 시중에 돈이 돌지 않고 은행으로 다시 대거 예치되고 있다는 뉴스 때문이었습니다.
언론들은 "돈맥경화", "금융과 실물 간 디커플링" 같은 표현으로 심각성을 전했습니다.
다음은 문화 뉴스 키워든데요.
'송파구청'이 왜 올라왔는지 볼까요.
트로트 스타들을 배출한 종편 프로그램이 계획한 공연을 공연 사흘 전 송파구청이 불허했는데 제작사가 구청에 소송을 제기했다는 뉴스가 화제였습니다.
지역뉴스 보고 가겠습니다.
'부산'이 키워드로 올라왔는데요.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마스크 착용을 거부한 남성이 처음으로 경찰에 입건됐다는 소식과, 3명의 사망자를 낸 지하차도 침수 참사와 관련해 부산시 동구가 해당 지하차도 위험 점수를 낮게 표기한 바람에 관리 대상에서 빠뜨렸다는 보도가 눈에 띄었습니다.
끝으로 사회 뉴습니다.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 오늘 왜 주요 키워드가 됐을까요.
경찰이 박 전 시장 성추행 의혹과 관련해 서울시 비서실 직원 10여 명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고, 피해자의 진술서라는 이름으로 문건을 유포한 혐의로 3명을 입건했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법무부'와 '검찰'이 함께 올라왔는데요.
장관과 검찰총장 간 갈등 속에 법무부 검찰개혁위원회가 검찰총장 권한 축소를 권고했다는 뉴스가 주목을 받았습니다.
오늘, 빅뉴스는 여기까지고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빅뉴스] 감사원장 흔들기 논란에 입 연 ‘청와대’…‘송파구청’ 소송 당한 사연
-
- 입력 2020-07-27 23:52:06
- 수정2020-07-28 01:17:03

화제의 뉴스 키워드 살펴보겠습니다.
빅데이터 뉴스, 빅뉴습니다.
9천 건이 넘는 오늘자 기사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키워든데요.
먼저, 갈수록 격하게 충돌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 보겠습니다.
대중 강경파인 테드 크루즈 미국 공화당 상원의원이 "코로나 대유행이 중국의 대응 실패에서 비롯됐다"며 "미국 내 중국 영사관이 추가로 폐쇄될 거"라고 전망했다는 보도가 있었고요.
"중국과 연계된 산업스파이 행위가 10년 간 1300% 증가했다"는 FBI 국장의 발언을 다룬 뉴스와, 폐쇄회로 TV가 가장 많은 세계 20개 도시 중 18개가 중국에 있다는 뉴스도 눈길을 끌었습니다.
'청와대'도 주요 키워드였습니다.
청와대, 감사원 직무와 관련해 "독립된 지위를 갖는다." "이 원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감사원이 월성 원전 1호기 폐쇄 결정이 적절했는지 결과 발표를 앞두고 '경제성 없음' 평가가 부적절했다고 잠정 결론을 내렸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고, 최재형 감사원장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자 이 상황에서 나온 입장이었습니다.
또, 국회에서 한 남성이 대통령에게 신발을 던진 것과 관련해 담당 경호부장이 대기발령됐다는 뉴스와, 1,2분기 기적같은 선방이 이뤄졌고 3분기에는 경기가 반등할 거라고 한 대통령 발언도 청와대를 화제 키워드로 올렸습니다.
정치부터 분야별 키워드 보겠습니다.
야당의 반발 속에 오늘 임명 재가된 '이인영' 신임 통일부 장관 올라왔고요.
'이해찬' 민주당 대표도 보이는데요.
"서울 천박한 도시" 발언 후폭풍과 함께 이 대표가 세종시에 보유한 부동산을 조명한 기사가 많았습니다.
경제부터 분야별 키워드 보겠습니다.
'한국은행'이 올라왔네요.
3개월 만에 100조원 가량 유동성이 증가했지만, 시중에 돈이 돌지 않고 은행으로 다시 대거 예치되고 있다는 뉴스 때문이었습니다.
언론들은 "돈맥경화", "금융과 실물 간 디커플링" 같은 표현으로 심각성을 전했습니다.
다음은 문화 뉴스 키워든데요.
'송파구청'이 왜 올라왔는지 볼까요.
트로트 스타들을 배출한 종편 프로그램이 계획한 공연을 공연 사흘 전 송파구청이 불허했는데 제작사가 구청에 소송을 제기했다는 뉴스가 화제였습니다.
지역뉴스 보고 가겠습니다.
'부산'이 키워드로 올라왔는데요.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마스크 착용을 거부한 남성이 처음으로 경찰에 입건됐다는 소식과, 3명의 사망자를 낸 지하차도 침수 참사와 관련해 부산시 동구가 해당 지하차도 위험 점수를 낮게 표기한 바람에 관리 대상에서 빠뜨렸다는 보도가 눈에 띄었습니다.
끝으로 사회 뉴습니다.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 오늘 왜 주요 키워드가 됐을까요.
경찰이 박 전 시장 성추행 의혹과 관련해 서울시 비서실 직원 10여 명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고, 피해자의 진술서라는 이름으로 문건을 유포한 혐의로 3명을 입건했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법무부'와 '검찰'이 함께 올라왔는데요.
장관과 검찰총장 간 갈등 속에 법무부 검찰개혁위원회가 검찰총장 권한 축소를 권고했다는 뉴스가 주목을 받았습니다.
오늘, 빅뉴스는 여기까지고요.
빅데이터 뉴스, 빅뉴습니다.
9천 건이 넘는 오늘자 기사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키워든데요.
먼저, 갈수록 격하게 충돌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 보겠습니다.
대중 강경파인 테드 크루즈 미국 공화당 상원의원이 "코로나 대유행이 중국의 대응 실패에서 비롯됐다"며 "미국 내 중국 영사관이 추가로 폐쇄될 거"라고 전망했다는 보도가 있었고요.
"중국과 연계된 산업스파이 행위가 10년 간 1300% 증가했다"는 FBI 국장의 발언을 다룬 뉴스와, 폐쇄회로 TV가 가장 많은 세계 20개 도시 중 18개가 중국에 있다는 뉴스도 눈길을 끌었습니다.
'청와대'도 주요 키워드였습니다.
청와대, 감사원 직무와 관련해 "독립된 지위를 갖는다." "이 원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감사원이 월성 원전 1호기 폐쇄 결정이 적절했는지 결과 발표를 앞두고 '경제성 없음' 평가가 부적절했다고 잠정 결론을 내렸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고, 최재형 감사원장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자 이 상황에서 나온 입장이었습니다.
또, 국회에서 한 남성이 대통령에게 신발을 던진 것과 관련해 담당 경호부장이 대기발령됐다는 뉴스와, 1,2분기 기적같은 선방이 이뤄졌고 3분기에는 경기가 반등할 거라고 한 대통령 발언도 청와대를 화제 키워드로 올렸습니다.
정치부터 분야별 키워드 보겠습니다.
야당의 반발 속에 오늘 임명 재가된 '이인영' 신임 통일부 장관 올라왔고요.
'이해찬' 민주당 대표도 보이는데요.
"서울 천박한 도시" 발언 후폭풍과 함께 이 대표가 세종시에 보유한 부동산을 조명한 기사가 많았습니다.
경제부터 분야별 키워드 보겠습니다.
'한국은행'이 올라왔네요.
3개월 만에 100조원 가량 유동성이 증가했지만, 시중에 돈이 돌지 않고 은행으로 다시 대거 예치되고 있다는 뉴스 때문이었습니다.
언론들은 "돈맥경화", "금융과 실물 간 디커플링" 같은 표현으로 심각성을 전했습니다.
다음은 문화 뉴스 키워든데요.
'송파구청'이 왜 올라왔는지 볼까요.
트로트 스타들을 배출한 종편 프로그램이 계획한 공연을 공연 사흘 전 송파구청이 불허했는데 제작사가 구청에 소송을 제기했다는 뉴스가 화제였습니다.
지역뉴스 보고 가겠습니다.
'부산'이 키워드로 올라왔는데요.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마스크 착용을 거부한 남성이 처음으로 경찰에 입건됐다는 소식과, 3명의 사망자를 낸 지하차도 침수 참사와 관련해 부산시 동구가 해당 지하차도 위험 점수를 낮게 표기한 바람에 관리 대상에서 빠뜨렸다는 보도가 눈에 띄었습니다.
끝으로 사회 뉴습니다.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 오늘 왜 주요 키워드가 됐을까요.
경찰이 박 전 시장 성추행 의혹과 관련해 서울시 비서실 직원 10여 명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고, 피해자의 진술서라는 이름으로 문건을 유포한 혐의로 3명을 입건했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법무부'와 '검찰'이 함께 올라왔는데요.
장관과 검찰총장 간 갈등 속에 법무부 검찰개혁위원회가 검찰총장 권한 축소를 권고했다는 뉴스가 주목을 받았습니다.
오늘, 빅뉴스는 여기까지고요.
-
-
송영석 기자 sys@kbs.co.kr
송영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