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로 가는 ‘한지’…국내에선 명맥 유지만

입력 2020.10.09 (19:30) 수정 2020.10.09 (19: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전통 종이인 한지가 오히려 외국에서 조명받고 있습니다.

문화재를 보존하거나 복원할 때 쓰는 종이로, 한지가 적합하다는 평가를 최근 이탈리아 국립 연구소로부터 받기도 했는데요.

그런데 정작, 국내 한지 장인들은 '사양길'이라고 할 정도로 설 곳을 잃어가고 있다고 합니다.

왜 그런지 보도에 선재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어두컴컴한 작업장, 장인의 하루는 새벽부터 시작됩니다.

닥나무 껍질을 삶고, 세척하고, 표백한 뒤 저어주고, 종이를 뜨는 과정이 반복됩니다.

한지 1장 나오기까지 손이 백 번 간다고 해서, 한지를 '백지'라고도 합니다.

[장응열/한지장 : "염색을 해서 뜨면 색한지가 나오고, 하얀 걸 그냥 뜨면 흰 종이가 나옵니다. 물기를 제거한 다음에 건조를 하면 완성이 됩니다."]

한지의 우수성, 문화강국에서도 인정할 정도입니다.

한지가 문화재 복원용 용지로 적합하다는 사실이 세계적으로 알려지면서부텁니다.

프랑스 등 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문화재 복원 과정에서 한지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이전엔 일본 종이인 화지가 주로 쓰였습니다.

[김민중/전 루브르 박물관 복원사 : "(한지는) 높은 영구성이 있고요. 견고한 부분도 있으면서 굉장히 유연합니다. 치수 안정성이란 부분들이 복원에선 굉장히 유용하거든요."]

이탈리아 국립기록유산보존복원중앙연구소는 지난 8월 전주 한지를 문화재 복원 용지로 공식 인증했습니다.

이처럼 한지가 세계에서 각광받을 정도로 빛나는 성과를 올리고 있지만 국내 현실은 사양길이라 할 만큼 어둡습니다.

전통 방식으로 한지를 만드는 곳은 전국에 20여 곳만 남아 간신히 명맥을 유지할 뿐입니다.

과거에는 문풍지나 벽지로도 많이 쓰였는데 지금은 공예와 서예에 쓰일 뿐 판로도 마땅치 않습니다.

[장응열/한지장 : "사람들한테 보여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줘서 한지의 질도 높이고 많이 홍보할 수 있는 이런 공간을 만들어 주었으면 고맙겠습니다."]

조선왕조실록 같은 지류 문화재는 위대한 종이 한지가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국내에서 한지의 명맥을 잇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쓰임새가 더 확장돼야 '한지의 세계화'에 박차를 가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선재희입니다.

촬영기자:김제원/영상편집:강정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계로 가는 ‘한지’…국내에선 명맥 유지만
    • 입력 2020-10-09 19:30:20
    • 수정2020-10-09 19:35:55
    뉴스 7
[앵커]

전통 종이인 한지가 오히려 외국에서 조명받고 있습니다.

문화재를 보존하거나 복원할 때 쓰는 종이로, 한지가 적합하다는 평가를 최근 이탈리아 국립 연구소로부터 받기도 했는데요.

그런데 정작, 국내 한지 장인들은 '사양길'이라고 할 정도로 설 곳을 잃어가고 있다고 합니다.

왜 그런지 보도에 선재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어두컴컴한 작업장, 장인의 하루는 새벽부터 시작됩니다.

닥나무 껍질을 삶고, 세척하고, 표백한 뒤 저어주고, 종이를 뜨는 과정이 반복됩니다.

한지 1장 나오기까지 손이 백 번 간다고 해서, 한지를 '백지'라고도 합니다.

[장응열/한지장 : "염색을 해서 뜨면 색한지가 나오고, 하얀 걸 그냥 뜨면 흰 종이가 나옵니다. 물기를 제거한 다음에 건조를 하면 완성이 됩니다."]

한지의 우수성, 문화강국에서도 인정할 정도입니다.

한지가 문화재 복원용 용지로 적합하다는 사실이 세계적으로 알려지면서부텁니다.

프랑스 등 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문화재 복원 과정에서 한지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이전엔 일본 종이인 화지가 주로 쓰였습니다.

[김민중/전 루브르 박물관 복원사 : "(한지는) 높은 영구성이 있고요. 견고한 부분도 있으면서 굉장히 유연합니다. 치수 안정성이란 부분들이 복원에선 굉장히 유용하거든요."]

이탈리아 국립기록유산보존복원중앙연구소는 지난 8월 전주 한지를 문화재 복원 용지로 공식 인증했습니다.

이처럼 한지가 세계에서 각광받을 정도로 빛나는 성과를 올리고 있지만 국내 현실은 사양길이라 할 만큼 어둡습니다.

전통 방식으로 한지를 만드는 곳은 전국에 20여 곳만 남아 간신히 명맥을 유지할 뿐입니다.

과거에는 문풍지나 벽지로도 많이 쓰였는데 지금은 공예와 서예에 쓰일 뿐 판로도 마땅치 않습니다.

[장응열/한지장 : "사람들한테 보여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줘서 한지의 질도 높이고 많이 홍보할 수 있는 이런 공간을 만들어 주었으면 고맙겠습니다."]

조선왕조실록 같은 지류 문화재는 위대한 종이 한지가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국내에서 한지의 명맥을 잇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쓰임새가 더 확장돼야 '한지의 세계화'에 박차를 가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선재희입니다.

촬영기자:김제원/영상편집:강정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