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지구촌 Talk] 사이프러스 라르나카 소금호수, 겨울 철새 홍학 위협하는 사냥총 ‘납탄’
입력 2021.02.23 (10:53) 수정 2021.02.23 (10:57) 지구촌뉴스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사이프러스 남부 해안 라르나카 소금호수에 만 5천 마리 넘는 홍학이 겨울을 나기 위해 찾아왔습니다.
홍학 떼는 호수 위를 날아다니며 장관을 연출하는데요.
환경운동가들이 호수 일대에서 사냥 금지를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홍학들이 먹이를 찾으면서 호수 바닥에 깔린 산탄총 납탄을 삼켜 납중독에 걸릴 수 있다는 이유에선데요.
지난해만 1~2월 두 달 동안 호수 일대에서 홍학 96마리가 납중독으로 죽은 채 발견됐습니다.
사이프러스는 호수 주변에서 납탄 사용을 금지했지만 여전히 불법이 자행되고 있는데요.
[판텔리스 하드지예로스/키프로스 야생동물 책임자 : "습지 근처 사냥 금지에 대한 사안이 아닙니다. 다른 유럽 국가와 세계 각국과 마찬가지로 사냥용 납탄 사용 금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환경운동가들은 최소한 치명적인 중독을 일으키는 납탄 대신 철탄을 사용할 것을 권고하기도 했습니다.
홍학 떼는 호수 위를 날아다니며 장관을 연출하는데요.
환경운동가들이 호수 일대에서 사냥 금지를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홍학들이 먹이를 찾으면서 호수 바닥에 깔린 산탄총 납탄을 삼켜 납중독에 걸릴 수 있다는 이유에선데요.
지난해만 1~2월 두 달 동안 호수 일대에서 홍학 96마리가 납중독으로 죽은 채 발견됐습니다.
사이프러스는 호수 주변에서 납탄 사용을 금지했지만 여전히 불법이 자행되고 있는데요.
[판텔리스 하드지예로스/키프로스 야생동물 책임자 : "습지 근처 사냥 금지에 대한 사안이 아닙니다. 다른 유럽 국가와 세계 각국과 마찬가지로 사냥용 납탄 사용 금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환경운동가들은 최소한 치명적인 중독을 일으키는 납탄 대신 철탄을 사용할 것을 권고하기도 했습니다.
- [지구촌 Talk] 사이프러스 라르나카 소금호수, 겨울 철새 홍학 위협하는 사냥총 ‘납탄’
-
- 입력 2021-02-23 10:53:35
- 수정2021-02-23 10:57:26

사이프러스 남부 해안 라르나카 소금호수에 만 5천 마리 넘는 홍학이 겨울을 나기 위해 찾아왔습니다.
홍학 떼는 호수 위를 날아다니며 장관을 연출하는데요.
환경운동가들이 호수 일대에서 사냥 금지를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홍학들이 먹이를 찾으면서 호수 바닥에 깔린 산탄총 납탄을 삼켜 납중독에 걸릴 수 있다는 이유에선데요.
지난해만 1~2월 두 달 동안 호수 일대에서 홍학 96마리가 납중독으로 죽은 채 발견됐습니다.
사이프러스는 호수 주변에서 납탄 사용을 금지했지만 여전히 불법이 자행되고 있는데요.
[판텔리스 하드지예로스/키프로스 야생동물 책임자 : "습지 근처 사냥 금지에 대한 사안이 아닙니다. 다른 유럽 국가와 세계 각국과 마찬가지로 사냥용 납탄 사용 금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환경운동가들은 최소한 치명적인 중독을 일으키는 납탄 대신 철탄을 사용할 것을 권고하기도 했습니다.
홍학 떼는 호수 위를 날아다니며 장관을 연출하는데요.
환경운동가들이 호수 일대에서 사냥 금지를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홍학들이 먹이를 찾으면서 호수 바닥에 깔린 산탄총 납탄을 삼켜 납중독에 걸릴 수 있다는 이유에선데요.
지난해만 1~2월 두 달 동안 호수 일대에서 홍학 96마리가 납중독으로 죽은 채 발견됐습니다.
사이프러스는 호수 주변에서 납탄 사용을 금지했지만 여전히 불법이 자행되고 있는데요.
[판텔리스 하드지예로스/키프로스 야생동물 책임자 : "습지 근처 사냥 금지에 대한 사안이 아닙니다. 다른 유럽 국가와 세계 각국과 마찬가지로 사냥용 납탄 사용 금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환경운동가들은 최소한 치명적인 중독을 일으키는 납탄 대신 철탄을 사용할 것을 권고하기도 했습니다.
지구촌뉴스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KBS
KBS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