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둘러싼 ‘쿼드’ 첫 정상회의…한국의 선택은?

입력 2021.03.10 (15:14) 수정 2021.03.10 (15: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그리고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 미국, 일본, 인도, 호주 4개국의 수장이 오는 12일 얼굴을 마주합니다.

사실상 중국을 견제하는 다자안보협의체, 쿼드(Quad)가 오는 12일 열리기 때문인데요.

비록 화상 형식이긴 하지만, '쿼드' 차원의 정상회의가 열리는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지난달 18일, 4개국 외교장관들이 먼저 화상 회의를 열었고, 한 달도 안 돼 다시 정상들이 얼굴을 맞대게 됐습니다. 대

북 정책 등 일부 정책에 대해선 여전히 검토를 거듭하며 신중한 모습을 보이는 바이든 대통령이, 대중국 견제에는 속도를 내는 모양새입니다.

[관련 기사] 트럼프정책 다 뒤집는다지만, 이것만은 (바로가기)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 역시 "바이든 대통령이 (쿼드를) 그의 조기 개최 다자회의 중 하나로 마련했다는 사실은 우리가 인도 태평양에서 동맹과 파트너와의 긴밀한 협력에 두고 있는 중요성을 보여준다"며, 높은 우선순위를 숨기지 않았습니다.

이 자리에서 중국을 직접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미국이 말하는 '인도·태평양 전략'의 핵심은 중국 견제입니다.

결국, 이번 회의에서 중국의 세력 확장에 대항해 어떤 공동 대응방안이 마련될지 관심이 쏠리는 상황인데요.

소식이 알려지자마자 중국은 발끈했습니다. 관영 매체 '글로벌타임스'는 어제(9일), 전문가들을 인용해 쿼드가 결국 '빈말 클럽'으로 전락할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중국에 맞서야 한다'는 공통 의견만 있을 뿐, 구체적인 게 없다는 겁니다. 또 미국의 동맹인 호주·일본과는 달리, 미국과 인도의 교류는 오래갈 수 없을 거라고도 했습니다.


쿼드를 놓고 미·중이 목소리를 높일수록, 우리로선 귀가 따가울 수밖에 없습니다.

미국이 동맹국인 우리에게 대중 압박에 동참하라고 요구할 때, 구체적인 방법의 하나로 거론되는 게 '쿼드 플러스' 구상이기 때문입니다.

쿼드 플러스는 현재 4개국이 모인 '쿼드'에 한국, 뉴질랜드, 베트남 등을 포함해 몸집을 키우자는 제안입니다. 전임 트럼프 행정부 때 처음 나온 이야기긴 하지만,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바이든 행정부 출범 직후인 지난 1월 쿼드를 더 발전시키고 싶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한국 정부는 참여 요청을 받은 적이 없어, '쿼드 플러스' 논의 자체가 시기상조라는 입장입니다.

외교부 최영삼 대변인은 어제(9일) 정례 브리핑에서, 쿼드 플러스는 아직 구체화되지 않은 구상이라 정부 차원의 입장을 밝힐 수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다만 "국익과 지역 글로벌 평화·번영에 이바지한다면 어떤 협의체와도 협력할 수 있다"고 원칙적인 입장을 설명했습니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도 같은 날 언론 브리핑에서 "쿼드에 관한 질문은 잠시 접어두도록 하자. 예측하거나 발표할 게 없다"고 답했지만, 앞으로 미·중 갈등 기류에 따라 '쿼드 플러스' 동참 가능성은 한동안 우리 정부가 고민해야 할 문제로 남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 평화분과 소속의 황지환 서울시립대 교수가 지난 8일 미국 정치전문매체 '더 힐'에 실은 공동 기고문에서, 한국이 쿼드 플러스 합류 가능성을 고민하고 있다고 썼다는 점인데요.

해당 기고문에서 황 교수 등은 "문재인 정부가 한미 동맹 의지를 보여주고 바이든의 대북정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자 쿼드 플러스 합류 가능성까지 고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쿼드 플러스에 가입하는 게 미국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일부 외교 정책 목표에 지지를 얻으려는 '수단'으로서 한국 정부의 이해에 더 가깝다고도 했습니다.

황 교수가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이라는 점 때문에, 이 기고문이 우리 정부의 말 못할 '내심'을 반영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잇따랐는데요.

황 교수는 "개인적인 생각을 쓴 것"이라며, 글의 핵심은 쿼드 플러스가 아니라 "바이든의 대북정책이 전략적 인내로 돌아가지 않기를 바라는 제언"이라고 해명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둘러싼 ‘쿼드’ 첫 정상회의…한국의 선택은?
    • 입력 2021-03-10 15:14:15
    • 수정2021-03-10 15:14:38
    취재K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그리고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 미국, 일본, 인도, 호주 4개국의 수장이 오는 12일 얼굴을 마주합니다.

사실상 중국을 견제하는 다자안보협의체, 쿼드(Quad)가 오는 12일 열리기 때문인데요.

비록 화상 형식이긴 하지만, '쿼드' 차원의 정상회의가 열리는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지난달 18일, 4개국 외교장관들이 먼저 화상 회의를 열었고, 한 달도 안 돼 다시 정상들이 얼굴을 맞대게 됐습니다. 대

북 정책 등 일부 정책에 대해선 여전히 검토를 거듭하며 신중한 모습을 보이는 바이든 대통령이, 대중국 견제에는 속도를 내는 모양새입니다.

[관련 기사] 트럼프정책 다 뒤집는다지만, 이것만은 (바로가기)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 역시 "바이든 대통령이 (쿼드를) 그의 조기 개최 다자회의 중 하나로 마련했다는 사실은 우리가 인도 태평양에서 동맹과 파트너와의 긴밀한 협력에 두고 있는 중요성을 보여준다"며, 높은 우선순위를 숨기지 않았습니다.

이 자리에서 중국을 직접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미국이 말하는 '인도·태평양 전략'의 핵심은 중국 견제입니다.

결국, 이번 회의에서 중국의 세력 확장에 대항해 어떤 공동 대응방안이 마련될지 관심이 쏠리는 상황인데요.

소식이 알려지자마자 중국은 발끈했습니다. 관영 매체 '글로벌타임스'는 어제(9일), 전문가들을 인용해 쿼드가 결국 '빈말 클럽'으로 전락할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중국에 맞서야 한다'는 공통 의견만 있을 뿐, 구체적인 게 없다는 겁니다. 또 미국의 동맹인 호주·일본과는 달리, 미국과 인도의 교류는 오래갈 수 없을 거라고도 했습니다.


쿼드를 놓고 미·중이 목소리를 높일수록, 우리로선 귀가 따가울 수밖에 없습니다.

미국이 동맹국인 우리에게 대중 압박에 동참하라고 요구할 때, 구체적인 방법의 하나로 거론되는 게 '쿼드 플러스' 구상이기 때문입니다.

쿼드 플러스는 현재 4개국이 모인 '쿼드'에 한국, 뉴질랜드, 베트남 등을 포함해 몸집을 키우자는 제안입니다. 전임 트럼프 행정부 때 처음 나온 이야기긴 하지만,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바이든 행정부 출범 직후인 지난 1월 쿼드를 더 발전시키고 싶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한국 정부는 참여 요청을 받은 적이 없어, '쿼드 플러스' 논의 자체가 시기상조라는 입장입니다.

외교부 최영삼 대변인은 어제(9일) 정례 브리핑에서, 쿼드 플러스는 아직 구체화되지 않은 구상이라 정부 차원의 입장을 밝힐 수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다만 "국익과 지역 글로벌 평화·번영에 이바지한다면 어떤 협의체와도 협력할 수 있다"고 원칙적인 입장을 설명했습니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도 같은 날 언론 브리핑에서 "쿼드에 관한 질문은 잠시 접어두도록 하자. 예측하거나 발표할 게 없다"고 답했지만, 앞으로 미·중 갈등 기류에 따라 '쿼드 플러스' 동참 가능성은 한동안 우리 정부가 고민해야 할 문제로 남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 평화분과 소속의 황지환 서울시립대 교수가 지난 8일 미국 정치전문매체 '더 힐'에 실은 공동 기고문에서, 한국이 쿼드 플러스 합류 가능성을 고민하고 있다고 썼다는 점인데요.

해당 기고문에서 황 교수 등은 "문재인 정부가 한미 동맹 의지를 보여주고 바이든의 대북정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자 쿼드 플러스 합류 가능성까지 고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쿼드 플러스에 가입하는 게 미국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일부 외교 정책 목표에 지지를 얻으려는 '수단'으로서 한국 정부의 이해에 더 가깝다고도 했습니다.

황 교수가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이라는 점 때문에, 이 기고문이 우리 정부의 말 못할 '내심'을 반영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잇따랐는데요.

황 교수는 "개인적인 생각을 쓴 것"이라며, 글의 핵심은 쿼드 플러스가 아니라 "바이든의 대북정책이 전략적 인내로 돌아가지 않기를 바라는 제언"이라고 해명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