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방적으로 학교 없애더니…결국 ‘과밀’ 우려
입력 2021.03.16 (21:45)
수정 2021.03.16 (21: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인천 서구 일대에서 추진 중인 '루원 시티' 조성 사업이 학교 용지 문제 등으로 주민과 지자체, 교육청의 갈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시가 일방적으로 학교 용지를 상업 용지로 변경해 신설 학교 추진이 어렵게 됐고, 아이들이 과밀학급에 내몰렸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윤나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아파트 건설이 한창인 공사 현장 맞은편 3만 제곱미터 규모의 공터.
원래 계획대로라면 초등학교가 들어서야 했던 부지입니다.
그런데 지역 재개발 사업인 '루원 시티' 사업 시행 초기 인천시와 교육청이 협의를 통해 학교 용지를 상업 용지로 변경했고, 이후 오피스텔 등 생활형 숙박시설 건립을 위한 심의가 진행 중입니다.
기존 계획이 변경되면서 인근에 거주하는 학생들은 이처럼 왕복 10차선이 넘는 도로를 건너 학교에 다녀야 하는 상황입니다.
문제는 거리뿐만이 아닙니다.
일대 상업용지에 상가 대신 대부분 오피스텔이 들어서면서 계획 초기 예상했던 인구보다 6천 세대 이상 늘어나게 됐고, 추가 세대에 대한 학교는 아직 마련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오정훈/'루원 시티' 입주민 : "오피스텔을 막무가내로 지으면서, 거기에서 발생하는 학령인구에 대해서는 어떠한 대책도 없이 이러한 난개발을 추진하는 것은 주민들이 가장 걱정하는 부분입니다."]
교육청은 학교 용지 변경 당시 공동주택 9천 5세대 학생에 대해선 배치 방안을 마련했지만, 추가 세대는 협의가 되지 않아 책임지기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교육청 : "현재 우리와 협의된 부분은 책임지고 배치를 하겠는데, 오피스텔은 협의된 게 아니에요. (시에서) 건축 승인 내버리면 우리는 배치할 여력이 없다."]
시는 뒤늦게 부지를 구해 학교 신설을 하겠다고 나섰지만, 위치 등의 문제로 교육청과 협의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시청 : "재배치해야 되니까 반발이 우려된다며, 교육청하고 협의가 안 돼서 못하고 있는 겁니다."]
인근 2개 초등학교로는 만 5천 세대 학생 배치가 어려운 상황.
주민들은 일방적인 용도 변경으로 학생들만 과밀 학급으로 내몰리게 됐다며 분통을 터트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나경입니다.
촬영기자:박장빈/영상편집:차영수
인천 서구 일대에서 추진 중인 '루원 시티' 조성 사업이 학교 용지 문제 등으로 주민과 지자체, 교육청의 갈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시가 일방적으로 학교 용지를 상업 용지로 변경해 신설 학교 추진이 어렵게 됐고, 아이들이 과밀학급에 내몰렸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윤나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아파트 건설이 한창인 공사 현장 맞은편 3만 제곱미터 규모의 공터.
원래 계획대로라면 초등학교가 들어서야 했던 부지입니다.
그런데 지역 재개발 사업인 '루원 시티' 사업 시행 초기 인천시와 교육청이 협의를 통해 학교 용지를 상업 용지로 변경했고, 이후 오피스텔 등 생활형 숙박시설 건립을 위한 심의가 진행 중입니다.
기존 계획이 변경되면서 인근에 거주하는 학생들은 이처럼 왕복 10차선이 넘는 도로를 건너 학교에 다녀야 하는 상황입니다.
문제는 거리뿐만이 아닙니다.
일대 상업용지에 상가 대신 대부분 오피스텔이 들어서면서 계획 초기 예상했던 인구보다 6천 세대 이상 늘어나게 됐고, 추가 세대에 대한 학교는 아직 마련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오정훈/'루원 시티' 입주민 : "오피스텔을 막무가내로 지으면서, 거기에서 발생하는 학령인구에 대해서는 어떠한 대책도 없이 이러한 난개발을 추진하는 것은 주민들이 가장 걱정하는 부분입니다."]
교육청은 학교 용지 변경 당시 공동주택 9천 5세대 학생에 대해선 배치 방안을 마련했지만, 추가 세대는 협의가 되지 않아 책임지기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교육청 : "현재 우리와 협의된 부분은 책임지고 배치를 하겠는데, 오피스텔은 협의된 게 아니에요. (시에서) 건축 승인 내버리면 우리는 배치할 여력이 없다."]
시는 뒤늦게 부지를 구해 학교 신설을 하겠다고 나섰지만, 위치 등의 문제로 교육청과 협의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시청 : "재배치해야 되니까 반발이 우려된다며, 교육청하고 협의가 안 돼서 못하고 있는 겁니다."]
인근 2개 초등학교로는 만 5천 세대 학생 배치가 어려운 상황.
주민들은 일방적인 용도 변경으로 학생들만 과밀 학급으로 내몰리게 됐다며 분통을 터트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나경입니다.
촬영기자:박장빈/영상편집:차영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방적으로 학교 없애더니…결국 ‘과밀’ 우려
-
- 입력 2021-03-16 21:45:09
- 수정2021-03-16 21:55:06

[앵커]
인천 서구 일대에서 추진 중인 '루원 시티' 조성 사업이 학교 용지 문제 등으로 주민과 지자체, 교육청의 갈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시가 일방적으로 학교 용지를 상업 용지로 변경해 신설 학교 추진이 어렵게 됐고, 아이들이 과밀학급에 내몰렸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윤나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아파트 건설이 한창인 공사 현장 맞은편 3만 제곱미터 규모의 공터.
원래 계획대로라면 초등학교가 들어서야 했던 부지입니다.
그런데 지역 재개발 사업인 '루원 시티' 사업 시행 초기 인천시와 교육청이 협의를 통해 학교 용지를 상업 용지로 변경했고, 이후 오피스텔 등 생활형 숙박시설 건립을 위한 심의가 진행 중입니다.
기존 계획이 변경되면서 인근에 거주하는 학생들은 이처럼 왕복 10차선이 넘는 도로를 건너 학교에 다녀야 하는 상황입니다.
문제는 거리뿐만이 아닙니다.
일대 상업용지에 상가 대신 대부분 오피스텔이 들어서면서 계획 초기 예상했던 인구보다 6천 세대 이상 늘어나게 됐고, 추가 세대에 대한 학교는 아직 마련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오정훈/'루원 시티' 입주민 : "오피스텔을 막무가내로 지으면서, 거기에서 발생하는 학령인구에 대해서는 어떠한 대책도 없이 이러한 난개발을 추진하는 것은 주민들이 가장 걱정하는 부분입니다."]
교육청은 학교 용지 변경 당시 공동주택 9천 5세대 학생에 대해선 배치 방안을 마련했지만, 추가 세대는 협의가 되지 않아 책임지기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교육청 : "현재 우리와 협의된 부분은 책임지고 배치를 하겠는데, 오피스텔은 협의된 게 아니에요. (시에서) 건축 승인 내버리면 우리는 배치할 여력이 없다."]
시는 뒤늦게 부지를 구해 학교 신설을 하겠다고 나섰지만, 위치 등의 문제로 교육청과 협의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시청 : "재배치해야 되니까 반발이 우려된다며, 교육청하고 협의가 안 돼서 못하고 있는 겁니다."]
인근 2개 초등학교로는 만 5천 세대 학생 배치가 어려운 상황.
주민들은 일방적인 용도 변경으로 학생들만 과밀 학급으로 내몰리게 됐다며 분통을 터트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나경입니다.
촬영기자:박장빈/영상편집:차영수
인천 서구 일대에서 추진 중인 '루원 시티' 조성 사업이 학교 용지 문제 등으로 주민과 지자체, 교육청의 갈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시가 일방적으로 학교 용지를 상업 용지로 변경해 신설 학교 추진이 어렵게 됐고, 아이들이 과밀학급에 내몰렸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윤나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아파트 건설이 한창인 공사 현장 맞은편 3만 제곱미터 규모의 공터.
원래 계획대로라면 초등학교가 들어서야 했던 부지입니다.
그런데 지역 재개발 사업인 '루원 시티' 사업 시행 초기 인천시와 교육청이 협의를 통해 학교 용지를 상업 용지로 변경했고, 이후 오피스텔 등 생활형 숙박시설 건립을 위한 심의가 진행 중입니다.
기존 계획이 변경되면서 인근에 거주하는 학생들은 이처럼 왕복 10차선이 넘는 도로를 건너 학교에 다녀야 하는 상황입니다.
문제는 거리뿐만이 아닙니다.
일대 상업용지에 상가 대신 대부분 오피스텔이 들어서면서 계획 초기 예상했던 인구보다 6천 세대 이상 늘어나게 됐고, 추가 세대에 대한 학교는 아직 마련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오정훈/'루원 시티' 입주민 : "오피스텔을 막무가내로 지으면서, 거기에서 발생하는 학령인구에 대해서는 어떠한 대책도 없이 이러한 난개발을 추진하는 것은 주민들이 가장 걱정하는 부분입니다."]
교육청은 학교 용지 변경 당시 공동주택 9천 5세대 학생에 대해선 배치 방안을 마련했지만, 추가 세대는 협의가 되지 않아 책임지기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교육청 : "현재 우리와 협의된 부분은 책임지고 배치를 하겠는데, 오피스텔은 협의된 게 아니에요. (시에서) 건축 승인 내버리면 우리는 배치할 여력이 없다."]
시는 뒤늦게 부지를 구해 학교 신설을 하겠다고 나섰지만, 위치 등의 문제로 교육청과 협의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시청 : "재배치해야 되니까 반발이 우려된다며, 교육청하고 협의가 안 돼서 못하고 있는 겁니다."]
인근 2개 초등학교로는 만 5천 세대 학생 배치가 어려운 상황.
주민들은 일방적인 용도 변경으로 학생들만 과밀 학급으로 내몰리게 됐다며 분통을 터트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나경입니다.
촬영기자:박장빈/영상편집:차영수
-
-
윤나경 기자 bellenk@kbs.co.kr
윤나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