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진주] 남강댐 방류 증대…“댐 붕괴 차단 vs 인명 피해 우려”

입력 2021.03.30 (20:14) 수정 2021.03.30 (20: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경남 서부지역의 현안인 남강댐 방류량 증대사업을 연속보도로 살펴봅니다.

첫 순서로, 수자원공사는 극한 홍수에 댐 붕괴를 막기 위해 불가피한 사업이라고 하지만, 자치단체와 주민들은 침수 대책 없이는 인명 피해도 우려된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박상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낙동강 하류 홍수를 막고 수자원 확보를 위해 만들어진 남강댐.

수자원공사는 집중호우 등 기후변화에 맞춰 댐 방류량을 두 배가량 늘리려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남강댐 인근 진주와 사천·남해·하동, 경남 서부지역 4개 자치단체는 반대합니다.

방류량이 늘어나면 침수 피해가 더 커질 것이라는 우려 때문입니다.

영천강에서 흘러온 물과 낙동강 쪽 물 빠짐이 느려져서 생기는 역류현상이 겹치면, 진주 시내까지 침수돼 인명 피해도 생길 수 있다는 겁니다.

[정중채/진주시 도시건설국장 : "댐 붕괴에 대한 대책만 있고 남강 하류 지역 주민과 재산에 대한 피해나 재난대책은 없어서 저희가 기본계획은 반대하고 있습니다."]

해마다 크고 작은 침수 피해를 겪는 농민들의 반대 목소리는 높습니다.

기록적인 폭우가 왔던 지난해에도 남강 범람을 걱정했는데, 방류량이 두 배 이상 늘어나면 침수는 불을 보듯 뻔하다는 겁니다.

[정부화/진주시 금산면 농민 : "수용하든지 해야지, 여기는 강바닥하고 많이 차이가 안 나거든요 땅바닥이랑. 그러면 물에 잠기기 마련이지. 계속 물 잠기는 거에요. 아무리 퍼내도 안 돼요."]

하지만, 수자원공사는 방류량 확대가 극한 홍수에 댐 붕괴를 막기 위한 사업이라며, 우려하는 침수는 천재지변으로 인한 피해라고 주장합니다.

[유영준/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개발부장 : "천재지변이 발생한 상황으로 추가 보상은 현행법으로는 어렵습니다. 주민들의 어려움을 이해하며 도움이 될 지원대책 마련을 위해 지속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천 축동면 등 가화천 쪽 침수 피해 주민들은 이주대책을 요구하고 있지만, 수자원공사는 확답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상현입니다.

촬영기자:변성준/그래픽 :박수홍·백진영

안현호 KAI 사장 “항공정비, 사천서 육성해야”

안현호 한국항공우주산업 사장이 오늘(30일) 사천 본사에서 열린 지역 언론 간담회에서 항공 정비 사업은 사천에서 육성하는 게 당연하다고 말했습니다.

안 사장은 정부가 지정한 항공정비 전문업체가 사천에 있다며 사천에서 우선 육성한 뒤 필요하면 다른 지역으로 넓혀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우주산업과 관련해 위성에서 받는 기후와 환경 정보를 수요에 따라 제공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산청 한방항노화산단 ‘기업 투자 지구’ 선정

경상남도가 다음 달 산청군 금서면의 한방항노화 일반산업단지를 기업 투자 촉진지구로 지정합니다.

이에 따라 한방항노화 산업단지로 공장을 옮기거나 시설을 투자하는 기업은 보조금으로 최고 14억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기업 투자 촉진지구는 산업단지 분양실적이 낮거나 지역 균형발전이 필요할 때 기업 유치를 위해 지정할 수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기는 진주] 남강댐 방류 증대…“댐 붕괴 차단 vs 인명 피해 우려”
    • 입력 2021-03-30 20:14:36
    • 수정2021-03-30 20:54:40
    뉴스7(창원)
[앵커]

경남 서부지역의 현안인 남강댐 방류량 증대사업을 연속보도로 살펴봅니다.

첫 순서로, 수자원공사는 극한 홍수에 댐 붕괴를 막기 위해 불가피한 사업이라고 하지만, 자치단체와 주민들은 침수 대책 없이는 인명 피해도 우려된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박상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낙동강 하류 홍수를 막고 수자원 확보를 위해 만들어진 남강댐.

수자원공사는 집중호우 등 기후변화에 맞춰 댐 방류량을 두 배가량 늘리려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남강댐 인근 진주와 사천·남해·하동, 경남 서부지역 4개 자치단체는 반대합니다.

방류량이 늘어나면 침수 피해가 더 커질 것이라는 우려 때문입니다.

영천강에서 흘러온 물과 낙동강 쪽 물 빠짐이 느려져서 생기는 역류현상이 겹치면, 진주 시내까지 침수돼 인명 피해도 생길 수 있다는 겁니다.

[정중채/진주시 도시건설국장 : "댐 붕괴에 대한 대책만 있고 남강 하류 지역 주민과 재산에 대한 피해나 재난대책은 없어서 저희가 기본계획은 반대하고 있습니다."]

해마다 크고 작은 침수 피해를 겪는 농민들의 반대 목소리는 높습니다.

기록적인 폭우가 왔던 지난해에도 남강 범람을 걱정했는데, 방류량이 두 배 이상 늘어나면 침수는 불을 보듯 뻔하다는 겁니다.

[정부화/진주시 금산면 농민 : "수용하든지 해야지, 여기는 강바닥하고 많이 차이가 안 나거든요 땅바닥이랑. 그러면 물에 잠기기 마련이지. 계속 물 잠기는 거에요. 아무리 퍼내도 안 돼요."]

하지만, 수자원공사는 방류량 확대가 극한 홍수에 댐 붕괴를 막기 위한 사업이라며, 우려하는 침수는 천재지변으로 인한 피해라고 주장합니다.

[유영준/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개발부장 : "천재지변이 발생한 상황으로 추가 보상은 현행법으로는 어렵습니다. 주민들의 어려움을 이해하며 도움이 될 지원대책 마련을 위해 지속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천 축동면 등 가화천 쪽 침수 피해 주민들은 이주대책을 요구하고 있지만, 수자원공사는 확답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상현입니다.

촬영기자:변성준/그래픽 :박수홍·백진영

안현호 KAI 사장 “항공정비, 사천서 육성해야”

안현호 한국항공우주산업 사장이 오늘(30일) 사천 본사에서 열린 지역 언론 간담회에서 항공 정비 사업은 사천에서 육성하는 게 당연하다고 말했습니다.

안 사장은 정부가 지정한 항공정비 전문업체가 사천에 있다며 사천에서 우선 육성한 뒤 필요하면 다른 지역으로 넓혀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우주산업과 관련해 위성에서 받는 기후와 환경 정보를 수요에 따라 제공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산청 한방항노화산단 ‘기업 투자 지구’ 선정

경상남도가 다음 달 산청군 금서면의 한방항노화 일반산업단지를 기업 투자 촉진지구로 지정합니다.

이에 따라 한방항노화 산업단지로 공장을 옮기거나 시설을 투자하는 기업은 보조금으로 최고 14억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기업 투자 촉진지구는 산업단지 분양실적이 낮거나 지역 균형발전이 필요할 때 기업 유치를 위해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