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대 끊이지 않지만 ‘솜방망이’ 처벌…이유는?

입력 2021.05.13 (19:21) 수정 2021.05.13 (20: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KBS가 마련한 연속기획보도 순섭니다.

천안 가방 감금 학대 사건과 정인이 사건 등 잔혹한 아동학대 범죄가 끊이지 않고 있는데는, 학대 가해자에 대한 솜방망이 처벌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아동학대 범죄의 특수성을 고려해 세밀한 양형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성용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019년 인천에서 5살 의붓아들의 손과 발을 묶고 둔기로 때려 숨지게 한 이 모 씨.

이 범행을 저지르기 2년 전에도 두 어린 아들을 심하게 폭행했지만,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에 그쳤습니다.

결국, 아이들과 함께 다시 살며 더 잔혹한 범행을 저질렀습니다.

[공혜정/대한아동학대방지협회 대표 : "좀 더 엄한 처벌이 내려졌더라면 이 아이들을 그렇게 쉽게 집으로 돌려보내서 사망까지 하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

2019년 전국에서 유죄가 인정된 아동학대범죄 가운데 집행유예가 96건, 실형 선고 33건보다 3배가량 많았습니다.

아동학대 범죄 유형이 다양하지만, 법원의 양형 기준이 세밀하지 않은 게 한 원인으로 꼽힙니다.

현재 아동학대 범죄 가운데 아동학대치사와 중상해 등 일부 금지 행위에만 양형기준이 있습니다.

양형기준이 있어도 일부 금지 행위는 '행위자가 보호자'이거나 '6세 미만 대상 범행'일지라도 가중처벌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최근 대전에서 40대 아버지가 8살과 7살인 두 친딸을 상습적으로 성폭행하고 학대했지만, 법원이 징역 10년을 선고했는데, 성폭행을 하한형으로 관대하게 처벌한데다 아동학대 가중처벌이 적용되지 않아 형량이 낮았다는 비난이 일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1월 대법원 양형위원회에 양형기준을 개선해달라는 제안서를 제출했습니다.

[허용/보건복지부 아동학대 처벌강화 전담팀 위원 : "양형이 국민의 법감정과 계속 괴리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었고요. 아동학대 범죄 특수성을 반영한 통일적인 양형기준 마련이 필요하지 않나..."]

대법원 양형위원회는 다음 달 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양형기준 개선을 검토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성용희입니다.

촬영기자:박평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동학대 끊이지 않지만 ‘솜방망이’ 처벌…이유는?
    • 입력 2021-05-13 19:21:22
    • 수정2021-05-13 20:17:57
    뉴스7(대전)
[앵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KBS가 마련한 연속기획보도 순섭니다.

천안 가방 감금 학대 사건과 정인이 사건 등 잔혹한 아동학대 범죄가 끊이지 않고 있는데는, 학대 가해자에 대한 솜방망이 처벌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아동학대 범죄의 특수성을 고려해 세밀한 양형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성용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019년 인천에서 5살 의붓아들의 손과 발을 묶고 둔기로 때려 숨지게 한 이 모 씨.

이 범행을 저지르기 2년 전에도 두 어린 아들을 심하게 폭행했지만,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에 그쳤습니다.

결국, 아이들과 함께 다시 살며 더 잔혹한 범행을 저질렀습니다.

[공혜정/대한아동학대방지협회 대표 : "좀 더 엄한 처벌이 내려졌더라면 이 아이들을 그렇게 쉽게 집으로 돌려보내서 사망까지 하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

2019년 전국에서 유죄가 인정된 아동학대범죄 가운데 집행유예가 96건, 실형 선고 33건보다 3배가량 많았습니다.

아동학대 범죄 유형이 다양하지만, 법원의 양형 기준이 세밀하지 않은 게 한 원인으로 꼽힙니다.

현재 아동학대 범죄 가운데 아동학대치사와 중상해 등 일부 금지 행위에만 양형기준이 있습니다.

양형기준이 있어도 일부 금지 행위는 '행위자가 보호자'이거나 '6세 미만 대상 범행'일지라도 가중처벌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최근 대전에서 40대 아버지가 8살과 7살인 두 친딸을 상습적으로 성폭행하고 학대했지만, 법원이 징역 10년을 선고했는데, 성폭행을 하한형으로 관대하게 처벌한데다 아동학대 가중처벌이 적용되지 않아 형량이 낮았다는 비난이 일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1월 대법원 양형위원회에 양형기준을 개선해달라는 제안서를 제출했습니다.

[허용/보건복지부 아동학대 처벌강화 전담팀 위원 : "양형이 국민의 법감정과 계속 괴리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었고요. 아동학대 범죄 특수성을 반영한 통일적인 양형기준 마련이 필요하지 않나..."]

대법원 양형위원회는 다음 달 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양형기준 개선을 검토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성용희입니다.

촬영기자:박평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