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반응 신고 0.4%…1회 접종 효과 60대 이상 훨씬 뛰어나

입력 2021.05.24 (21:03) 수정 2021.05.24 (22: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안녕하십니까? 9시 뉴스입니다.

코로나19 백신, 지금까지 전체 인구의 7% 정도가 1차 접종을, 3% 조금 넘게는 2차 접종까지 모두 마쳤습니다.

지난 주말부터 일흔 다섯 살 이상 어르신들은 1차로 화이자 백신 맞고 있고요,

오는 목요일부터는 65살에서 74살 사이, 아스트라제네카 접종도 시작됩니다.

다음달 초에는 서른살 미만 군 장병들도 백신을 맞게 됩니다.

사람들이 우려하는 이상 반응과 관련해 방역 당국은 신고 비율이 1%가 안 되고, 감염 예방효과는 크다고 강조했습니다.

첫 소식, 황정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2월 말 시작한 국내 백신 접종은 1, 2차를 합쳐 553만 건이 넘었습니다.

이 중 이상반응 신고는 2만 4천여 건, 전체의 0.4%에 해당합니다.

백신을 맞은 부위가 아프거나 두통 등을 호소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AZ 백신 접종 완료자/음성변조 : "열은 나진 않았는데요. 몸살 기운 있고 두통도 좀 있고 어지러움도 좀 있고 이틀정도 힘들어서..."]

접종이 진행될수록 이상반응 신고율은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특히, 고령층의 신고 비율이 더 낮았습니다.

18세에서 29세가 2.5%로 가장 높고, 50세에서 74세 사이는 0.48%, 75세 이상은 0.15%였습니다.

이상반응 신고 사망자는 148명입니다.

이 중 백신과의 인과성이 확인된 사례는 아직 없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나 화이자 백신이나 사망 신고율엔 거의 차이가 없었습니다.

[정은경/중앙방역대책본부장 : "10만 명 접종당 사망신고율은 유사하였고, 영국 등 다른 국가와 비교해서도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았습니다."]

백신 1회 접종 후 감염예방 효과는 치명률이 높은 60대 이상에서 훨씬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60대 90.9%, 70대 91.3%, 80대 이상은 90.3%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60대 이상 접종자 가운데 코로나19에 걸리더라도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현재까지 없었다며 사망에 대한 효과는 100%에 가깝다고 강조했습니다.

[정재훈/가천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 : "희귀 혈전증 같은 경우에도 고연령층에서는 발생률이 매우 낮은 것으로 돼있기 때문에..."]

방역 당국은 접종자의 신고에만 의존해 온 이상반응을 더 적극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건강보험 빅데이터와 연계해 관리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황정호입니다.

영상편집:김용태/그래픽:이근희 고석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상반응 신고 0.4%…1회 접종 효과 60대 이상 훨씬 뛰어나
    • 입력 2021-05-24 21:03:34
    • 수정2021-05-24 22:11:13
    뉴스 9
[앵커]

안녕하십니까? 9시 뉴스입니다.

코로나19 백신, 지금까지 전체 인구의 7% 정도가 1차 접종을, 3% 조금 넘게는 2차 접종까지 모두 마쳤습니다.

지난 주말부터 일흔 다섯 살 이상 어르신들은 1차로 화이자 백신 맞고 있고요,

오는 목요일부터는 65살에서 74살 사이, 아스트라제네카 접종도 시작됩니다.

다음달 초에는 서른살 미만 군 장병들도 백신을 맞게 됩니다.

사람들이 우려하는 이상 반응과 관련해 방역 당국은 신고 비율이 1%가 안 되고, 감염 예방효과는 크다고 강조했습니다.

첫 소식, 황정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2월 말 시작한 국내 백신 접종은 1, 2차를 합쳐 553만 건이 넘었습니다.

이 중 이상반응 신고는 2만 4천여 건, 전체의 0.4%에 해당합니다.

백신을 맞은 부위가 아프거나 두통 등을 호소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AZ 백신 접종 완료자/음성변조 : "열은 나진 않았는데요. 몸살 기운 있고 두통도 좀 있고 어지러움도 좀 있고 이틀정도 힘들어서..."]

접종이 진행될수록 이상반응 신고율은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특히, 고령층의 신고 비율이 더 낮았습니다.

18세에서 29세가 2.5%로 가장 높고, 50세에서 74세 사이는 0.48%, 75세 이상은 0.15%였습니다.

이상반응 신고 사망자는 148명입니다.

이 중 백신과의 인과성이 확인된 사례는 아직 없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나 화이자 백신이나 사망 신고율엔 거의 차이가 없었습니다.

[정은경/중앙방역대책본부장 : "10만 명 접종당 사망신고율은 유사하였고, 영국 등 다른 국가와 비교해서도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았습니다."]

백신 1회 접종 후 감염예방 효과는 치명률이 높은 60대 이상에서 훨씬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60대 90.9%, 70대 91.3%, 80대 이상은 90.3%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60대 이상 접종자 가운데 코로나19에 걸리더라도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현재까지 없었다며 사망에 대한 효과는 100%에 가깝다고 강조했습니다.

[정재훈/가천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 : "희귀 혈전증 같은 경우에도 고연령층에서는 발생률이 매우 낮은 것으로 돼있기 때문에..."]

방역 당국은 접종자의 신고에만 의존해 온 이상반응을 더 적극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건강보험 빅데이터와 연계해 관리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황정호입니다.

영상편집:김용태/그래픽:이근희 고석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