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되는 철거 현장 건물붕괴…“말 뿐인 대책”

입력 2021.06.10 (19:14) 수정 2021.06.10 (20: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건물 붕괴 사고가 일어난 광주광역시 동구에서는 불과 두 달 전에 리모델링하던 주택이 무너지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2년 전 일어난 서울 잠원동 건물 붕괴 사고와도 꼭 닮아 있는데요.

사고가 날 때마다 대책들이 나왔지만 실효성을 갖지 못한 탓에 또 다른 사고를 막지 못했습니다.

보도에 손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순식간에 무너지며 도로를 덮친 5층 건물.

붕괴 사고가 일어난 광주 동구에서는 불과 두 달 전에 비슷한 사고가 있었습니다.

한옥을 개보수하다 집이 무너지면서 작업자 2명이 깔려 숨진 겁니다.

앞서 2018년 서울 잠원동에서 예비 신부의 목숨을 앗아간 건물 붕괴 사고.

5층 건물을 철거하다 발생했다는 점에서 더 비슷합니다.

이렇게 붕괴 사고가 날 때마다 항상 대책이 뒤따랐습니다.

잠원동 사고 뒤 생긴 건축물관리법.

건물을 철거할 때 해체계획서를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았지만 이번 사고를 막진 못했습니다.

감리자를 상주하도록 하는 등 공사 중 안전 관리에 대한 내용이 미비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광주 계림동 붕괴 사고의 대책도 마찬가집니다.

광주시는 사고 이후 4차례나 공문을 보내 안전 강화를 주문했다고 말합니다.

[이용섭/광주광역시장 : "계림동 주택 붕괴 사고 이후 우리시는 건설현장을 철저하게 관리‧감독하도록 4차례에 걸쳐 공문으로 지시했음에도 이런 사고가 발생하게 되어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하지만 5개 구청에 발송된 공문은 공사장 안전 관리와 점검을 강화하라는 상식적인 내용이었을 뿐, 구체적인 이행 계획도, 점검 결과를 보고하라는 지시도 없었습니다.

[송창영/광주대 건축공학과 교수 : "작년 5월에 신고제에서 허가제로 바뀌었거든요. 그러지만 아직도 법은 10층 이상거나 5천제곱미터 이상인 경우에만 굉장히 잘되어 있고, 나머지 이번 건물처럼 5층짜리 건물에는 안전 사각지대거든요."]

잇따르는 붕괴 사고와 도돌이표처럼 반복되는 대책.

대규모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잇따르는 가운데 비용 절감을 위한 '속도전' 등 업계 관행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거듭 제기됩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촬영기자:박석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반복되는 철거 현장 건물붕괴…“말 뿐인 대책”
    • 입력 2021-06-10 19:14:44
    • 수정2021-06-10 20:15:48
    뉴스7(광주)
[앵커]

건물 붕괴 사고가 일어난 광주광역시 동구에서는 불과 두 달 전에 리모델링하던 주택이 무너지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2년 전 일어난 서울 잠원동 건물 붕괴 사고와도 꼭 닮아 있는데요.

사고가 날 때마다 대책들이 나왔지만 실효성을 갖지 못한 탓에 또 다른 사고를 막지 못했습니다.

보도에 손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순식간에 무너지며 도로를 덮친 5층 건물.

붕괴 사고가 일어난 광주 동구에서는 불과 두 달 전에 비슷한 사고가 있었습니다.

한옥을 개보수하다 집이 무너지면서 작업자 2명이 깔려 숨진 겁니다.

앞서 2018년 서울 잠원동에서 예비 신부의 목숨을 앗아간 건물 붕괴 사고.

5층 건물을 철거하다 발생했다는 점에서 더 비슷합니다.

이렇게 붕괴 사고가 날 때마다 항상 대책이 뒤따랐습니다.

잠원동 사고 뒤 생긴 건축물관리법.

건물을 철거할 때 해체계획서를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았지만 이번 사고를 막진 못했습니다.

감리자를 상주하도록 하는 등 공사 중 안전 관리에 대한 내용이 미비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광주 계림동 붕괴 사고의 대책도 마찬가집니다.

광주시는 사고 이후 4차례나 공문을 보내 안전 강화를 주문했다고 말합니다.

[이용섭/광주광역시장 : "계림동 주택 붕괴 사고 이후 우리시는 건설현장을 철저하게 관리‧감독하도록 4차례에 걸쳐 공문으로 지시했음에도 이런 사고가 발생하게 되어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하지만 5개 구청에 발송된 공문은 공사장 안전 관리와 점검을 강화하라는 상식적인 내용이었을 뿐, 구체적인 이행 계획도, 점검 결과를 보고하라는 지시도 없었습니다.

[송창영/광주대 건축공학과 교수 : "작년 5월에 신고제에서 허가제로 바뀌었거든요. 그러지만 아직도 법은 10층 이상거나 5천제곱미터 이상인 경우에만 굉장히 잘되어 있고, 나머지 이번 건물처럼 5층짜리 건물에는 안전 사각지대거든요."]

잇따르는 붕괴 사고와 도돌이표처럼 반복되는 대책.

대규모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잇따르는 가운데 비용 절감을 위한 '속도전' 등 업계 관행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거듭 제기됩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촬영기자:박석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