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② ‘노선 중복’에 ‘예산 증가’ 우려…산 넘어 산

입력 2021.07.07 (21:38) 수정 2021.07.07 (22: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각고 끝에 청주시가 트램을 도입하게 되더라도 풀어야 할 숙제는 또 있습니다.

바로, 시내버스와의 노선 중복 문제인데요.

해마다 수백억 원이 드는 예산 문제도 함께 걸려 있습니다.

이 내용은 정진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청주시 주요 도로는 상당공원을 중심으로 알파벳 T자 형태로 뻗어 있습니다.

청주 시내버스 450여 대 가운데 절반 이상이 이 노선을 운행합니다.

승객이 많아 수익이 보장되섭니다.

청주시는 같은 이유로 이 노선에 트램을 놓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럴 경우, 이 구간 시내버스 노선이 일부 변경 조정됩니다.

[이재철/청주시 버스정책팀장 : "트램 등 신교통수단은 간선 도로에 투입될 것으로 예상되며, 그에 따라 시내버스는 보조 간선 도로나 그 이하 집산 도로 쪽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청주시는 올해, 버스업체 6곳의 적자를 세금으로 충당하는 준공영제를 시행했습니다.

올 해 보조금만 545억 원.

버스의 주요 수익 노선에 트램이 도입되면, 이 노선에서 제외된 버스의 적자를 추가로 보전해야 합니다.

대중교통 수요가 충분히 담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버스 적자에 트램 운영비도 늘 수 있단 우려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이효윤/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정책국장 : "버스와 중복 노선이 생길 수밖에 없고, (버스 승객 감소로) 마을 버스처럼 운영한다고 해도, 결국은 비용의 증가는 불 보듯 뻔한 일이잖아요."]

청주시의 대중교통 분담률은 19.1%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

전문가들은 트램 등 새 교통수단 논의 못지 않게 시내버스 등 대중교통 수요 확충을 위한 연구가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정용일/충북연구원 공간창조연구부장 : "대중교통 사회간접자본의 공급이 (대중교통) 수요를 무조건 창출할 것이란 막연한 기대, 그런 부분을 조심해야 하지 않을까."]

트램 도입이 시내버스 수요 감소와 더 큰 예산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더욱 세밀한 검증이 필요하단 지적입니다.

KBS 뉴스 정진규입니다.

촬영기자:김현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② ‘노선 중복’에 ‘예산 증가’ 우려…산 넘어 산
    • 입력 2021-07-07 21:38:52
    • 수정2021-07-07 22:10:37
    뉴스9(청주)
[앵커]

각고 끝에 청주시가 트램을 도입하게 되더라도 풀어야 할 숙제는 또 있습니다.

바로, 시내버스와의 노선 중복 문제인데요.

해마다 수백억 원이 드는 예산 문제도 함께 걸려 있습니다.

이 내용은 정진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청주시 주요 도로는 상당공원을 중심으로 알파벳 T자 형태로 뻗어 있습니다.

청주 시내버스 450여 대 가운데 절반 이상이 이 노선을 운행합니다.

승객이 많아 수익이 보장되섭니다.

청주시는 같은 이유로 이 노선에 트램을 놓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럴 경우, 이 구간 시내버스 노선이 일부 변경 조정됩니다.

[이재철/청주시 버스정책팀장 : "트램 등 신교통수단은 간선 도로에 투입될 것으로 예상되며, 그에 따라 시내버스는 보조 간선 도로나 그 이하 집산 도로 쪽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청주시는 올해, 버스업체 6곳의 적자를 세금으로 충당하는 준공영제를 시행했습니다.

올 해 보조금만 545억 원.

버스의 주요 수익 노선에 트램이 도입되면, 이 노선에서 제외된 버스의 적자를 추가로 보전해야 합니다.

대중교통 수요가 충분히 담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버스 적자에 트램 운영비도 늘 수 있단 우려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이효윤/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정책국장 : "버스와 중복 노선이 생길 수밖에 없고, (버스 승객 감소로) 마을 버스처럼 운영한다고 해도, 결국은 비용의 증가는 불 보듯 뻔한 일이잖아요."]

청주시의 대중교통 분담률은 19.1%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

전문가들은 트램 등 새 교통수단 논의 못지 않게 시내버스 등 대중교통 수요 확충을 위한 연구가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정용일/충북연구원 공간창조연구부장 : "대중교통 사회간접자본의 공급이 (대중교통) 수요를 무조건 창출할 것이란 막연한 기대, 그런 부분을 조심해야 하지 않을까."]

트램 도입이 시내버스 수요 감소와 더 큰 예산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더욱 세밀한 검증이 필요하단 지적입니다.

KBS 뉴스 정진규입니다.

촬영기자:김현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