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K] 창고 빌려 폐기물 1만 톤 무단 투기…단속반 동행 취재

입력 2021.07.12 (21:54) 수정 2021.07.12 (22: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공장이나 건설 현장에서 나오는 각종 폐기물은 법에 따라​ 전문 업체가 처리해야만 합니다.

하지만 일부 업체들의 불법 무단 투기, 사라지지 않고 있는데요.

만 톤 넘는 폐기물을 불법으로 버리던 업체가 단속반에 적발됐습니다.

현장 K, 양민철 기자가 단속 현장을 동행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밤 9시, 충남 아산의 한 휴게소.

경찰 합동단속반이 화물차 한 대를 에워쌉니다.

[합동단속반 : "아, 폐기물 맞아요. (어디 어디? 보이네.) 합성수지도 있고 플라스틱 저기 뭐..."]

폐기물 불법 투기에 여러 차례 사용된 25톤 화물차입니다.

단속반이 다가가자, 운전자가 강하게 항의합니다.

[폐기물 운반업체 직원/음성변조 : "아, 나한테 오지 마십쇼! 아, 진짜 저한테...아, 진짜 사람들이 왜 그러냐. 저리 가!"]

인근에 있는 또 다른 화물차.

'우드칩', 즉 목재 조각 운반 차량이지만 실제로는 폐비닐과 호스 등 각종 폐기물을 가득 실었습니다.

이 차량들이 폐기물을 내다 버리던 곳을 찾아가 봤습니다.

아산시 외곽에 위치한 한 물류창고.

창고 한 켠에 제 키보다 높이 쌓여있는 폐기물들이 천장에 닿을 만큼 가득 차 있습니다.

창고 옆에는 화학 약품류로 의심되는 대형 플라스틱 통 수십 개가 있습니다.

뒤편 공터에는 폐기물이 2 미터 높이로 산더미처럼 쌓였습니다.

[서봉태/한국환경공단 폐기물 불법투기감시위원 : "이렇게 앞에서부터 이렇게 다 (폐기물을) 차곡차곡 채워나가는 거죠."]

단속반이 확인한 것만 모두 만 천 톤 규모입니다.

폐기물 처리업체들은 폐기물을 받아 처리하는 대가로 톤당 25만 원을 받습니다.

정상적으로 처리하면 20만 원 정도 들지만 불법 중간처리업자에게 넘기면 10만 원이면 충분하다는 게 내부 제보자 주장입니다.

중간처리업자 역시 운송료와 창고임대료 등을 내고도 적지 않은 이익을 챙깁니다.

모두 최대 7년형에 처하는 폐기물관리법 위반에 해당합니다.

단속 인력 부족 탓에 적발은 쉽지 않습니다.

[서봉태/한국환경공단 폐기물 불법투기감시위원 : "(관내에) 폐기물사업장이 만약에 2백 개가 있다, 담당 주무관은 1명입니다. 2백 개 업체를 들르려고 하면 한 달 넘게 걸려요, 한 번씩만 가도."]

경찰은 중간처리업자 2명을 입건해 추가로 수사하고 있습니다.

현장K 양민철입니다.

촬영기자:유용규/영상편집:김기곤/그래픽:고석훈/화면제공:한국환경공단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장K] 창고 빌려 폐기물 1만 톤 무단 투기…단속반 동행 취재
    • 입력 2021-07-12 21:54:08
    • 수정2021-07-12 22:30:47
    뉴스 9
[앵커]

공장이나 건설 현장에서 나오는 각종 폐기물은 법에 따라​ 전문 업체가 처리해야만 합니다.

하지만 일부 업체들의 불법 무단 투기, 사라지지 않고 있는데요.

만 톤 넘는 폐기물을 불법으로 버리던 업체가 단속반에 적발됐습니다.

현장 K, 양민철 기자가 단속 현장을 동행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밤 9시, 충남 아산의 한 휴게소.

경찰 합동단속반이 화물차 한 대를 에워쌉니다.

[합동단속반 : "아, 폐기물 맞아요. (어디 어디? 보이네.) 합성수지도 있고 플라스틱 저기 뭐..."]

폐기물 불법 투기에 여러 차례 사용된 25톤 화물차입니다.

단속반이 다가가자, 운전자가 강하게 항의합니다.

[폐기물 운반업체 직원/음성변조 : "아, 나한테 오지 마십쇼! 아, 진짜 저한테...아, 진짜 사람들이 왜 그러냐. 저리 가!"]

인근에 있는 또 다른 화물차.

'우드칩', 즉 목재 조각 운반 차량이지만 실제로는 폐비닐과 호스 등 각종 폐기물을 가득 실었습니다.

이 차량들이 폐기물을 내다 버리던 곳을 찾아가 봤습니다.

아산시 외곽에 위치한 한 물류창고.

창고 한 켠에 제 키보다 높이 쌓여있는 폐기물들이 천장에 닿을 만큼 가득 차 있습니다.

창고 옆에는 화학 약품류로 의심되는 대형 플라스틱 통 수십 개가 있습니다.

뒤편 공터에는 폐기물이 2 미터 높이로 산더미처럼 쌓였습니다.

[서봉태/한국환경공단 폐기물 불법투기감시위원 : "이렇게 앞에서부터 이렇게 다 (폐기물을) 차곡차곡 채워나가는 거죠."]

단속반이 확인한 것만 모두 만 천 톤 규모입니다.

폐기물 처리업체들은 폐기물을 받아 처리하는 대가로 톤당 25만 원을 받습니다.

정상적으로 처리하면 20만 원 정도 들지만 불법 중간처리업자에게 넘기면 10만 원이면 충분하다는 게 내부 제보자 주장입니다.

중간처리업자 역시 운송료와 창고임대료 등을 내고도 적지 않은 이익을 챙깁니다.

모두 최대 7년형에 처하는 폐기물관리법 위반에 해당합니다.

단속 인력 부족 탓에 적발은 쉽지 않습니다.

[서봉태/한국환경공단 폐기물 불법투기감시위원 : "(관내에) 폐기물사업장이 만약에 2백 개가 있다, 담당 주무관은 1명입니다. 2백 개 업체를 들르려고 하면 한 달 넘게 걸려요, 한 번씩만 가도."]

경찰은 중간처리업자 2명을 입건해 추가로 수사하고 있습니다.

현장K 양민철입니다.

촬영기자:유용규/영상편집:김기곤/그래픽:고석훈/화면제공:한국환경공단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