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그늘막 아래도 30도…인삼밭 고사 피해 확산
입력 2021.07.29 (07:44) 수정 2021.07.29 (08:04) 뉴스광장
[앵커]
35도 안팎의 폭염이 20일 가까이 맹위를 떨치면서 가축폐사와 농작물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데요.
이런 가운데 인삼 종주도시인 충남 금산에서는 인삼 잎이 말라 비틀어거지나 고사하는 고온 피해가 확산하고 있습니다.
임홍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금산군의 한 인삼밭입니다.
한창 새파랗게 자라야 할 인삼 잎이 누렇게 변하거나 말라 비틀어져 낙엽처럼 떨어져 있습니다.
주로 뿌리 발달이 늦은 1, 2년생 인삼으로, 정상적으로 자란 인삼 잎과 비교해 차이가 확연합니다.
인삼의 경우 보통 18도에서 25도사이에서 잘 자라는데, 그늘막 아래 온도가 30도를 훌쩍 넘기면서 고온 피해가 늘고 있습니다.
벌써 성장을 멈춰 내년에 다시 자란다 해도 상품성이 떨어지고 수확량이 크게 줄 수밖에 없습니다.
[이상남/금산인삼연구회장 : "(다른 작물은) 2~3개월 농사, 반 년 농사 하면 되는데 인삼은 알다시피 5년, 6년 이렇게 하다 보니까 올해 같은 경우는 인삼밭이 1년을 놓치게 된 거죠."]
폭염이 한 달 이상 지속된 지난 2018년 여름 전국 인삼 밭의 4분의 1 정도인 3,600헥타르가 고온 피해를 입기도 했습니다.
이에 따라 충남농업기술원은 고온피해 주의보를 발령하고 토양수분과 통풍, 해가림 시설 조절 등 세심한 관리를 당부했습니다.
[지무근/충남농기원 인삼약초연구소 연구사 : "고온 피해를 피하기 위해서는 면렴이나 개량 울타리를 설치해 주시고요. 아침에 관수를 통해서 지온을 떨어뜨리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특히 폭염 피해의 경우 폭설이나 수해와 달리 보상이 까다롭고 제한적이어서 농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홍열 입니다.
촬영기자:홍성훈
35도 안팎의 폭염이 20일 가까이 맹위를 떨치면서 가축폐사와 농작물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데요.
이런 가운데 인삼 종주도시인 충남 금산에서는 인삼 잎이 말라 비틀어거지나 고사하는 고온 피해가 확산하고 있습니다.
임홍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금산군의 한 인삼밭입니다.
한창 새파랗게 자라야 할 인삼 잎이 누렇게 변하거나 말라 비틀어져 낙엽처럼 떨어져 있습니다.
주로 뿌리 발달이 늦은 1, 2년생 인삼으로, 정상적으로 자란 인삼 잎과 비교해 차이가 확연합니다.
인삼의 경우 보통 18도에서 25도사이에서 잘 자라는데, 그늘막 아래 온도가 30도를 훌쩍 넘기면서 고온 피해가 늘고 있습니다.
벌써 성장을 멈춰 내년에 다시 자란다 해도 상품성이 떨어지고 수확량이 크게 줄 수밖에 없습니다.
[이상남/금산인삼연구회장 : "(다른 작물은) 2~3개월 농사, 반 년 농사 하면 되는데 인삼은 알다시피 5년, 6년 이렇게 하다 보니까 올해 같은 경우는 인삼밭이 1년을 놓치게 된 거죠."]
폭염이 한 달 이상 지속된 지난 2018년 여름 전국 인삼 밭의 4분의 1 정도인 3,600헥타르가 고온 피해를 입기도 했습니다.
이에 따라 충남농업기술원은 고온피해 주의보를 발령하고 토양수분과 통풍, 해가림 시설 조절 등 세심한 관리를 당부했습니다.
[지무근/충남농기원 인삼약초연구소 연구사 : "고온 피해를 피하기 위해서는 면렴이나 개량 울타리를 설치해 주시고요. 아침에 관수를 통해서 지온을 떨어뜨리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특히 폭염 피해의 경우 폭설이나 수해와 달리 보상이 까다롭고 제한적이어서 농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홍열 입니다.
촬영기자:홍성훈
- 그늘막 아래도 30도…인삼밭 고사 피해 확산
-
- 입력 2021-07-29 07:44:41
- 수정2021-07-29 08:04:25

[앵커]
35도 안팎의 폭염이 20일 가까이 맹위를 떨치면서 가축폐사와 농작물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데요.
이런 가운데 인삼 종주도시인 충남 금산에서는 인삼 잎이 말라 비틀어거지나 고사하는 고온 피해가 확산하고 있습니다.
임홍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금산군의 한 인삼밭입니다.
한창 새파랗게 자라야 할 인삼 잎이 누렇게 변하거나 말라 비틀어져 낙엽처럼 떨어져 있습니다.
주로 뿌리 발달이 늦은 1, 2년생 인삼으로, 정상적으로 자란 인삼 잎과 비교해 차이가 확연합니다.
인삼의 경우 보통 18도에서 25도사이에서 잘 자라는데, 그늘막 아래 온도가 30도를 훌쩍 넘기면서 고온 피해가 늘고 있습니다.
벌써 성장을 멈춰 내년에 다시 자란다 해도 상품성이 떨어지고 수확량이 크게 줄 수밖에 없습니다.
[이상남/금산인삼연구회장 : "(다른 작물은) 2~3개월 농사, 반 년 농사 하면 되는데 인삼은 알다시피 5년, 6년 이렇게 하다 보니까 올해 같은 경우는 인삼밭이 1년을 놓치게 된 거죠."]
폭염이 한 달 이상 지속된 지난 2018년 여름 전국 인삼 밭의 4분의 1 정도인 3,600헥타르가 고온 피해를 입기도 했습니다.
이에 따라 충남농업기술원은 고온피해 주의보를 발령하고 토양수분과 통풍, 해가림 시설 조절 등 세심한 관리를 당부했습니다.
[지무근/충남농기원 인삼약초연구소 연구사 : "고온 피해를 피하기 위해서는 면렴이나 개량 울타리를 설치해 주시고요. 아침에 관수를 통해서 지온을 떨어뜨리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특히 폭염 피해의 경우 폭설이나 수해와 달리 보상이 까다롭고 제한적이어서 농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홍열 입니다.
촬영기자:홍성훈
35도 안팎의 폭염이 20일 가까이 맹위를 떨치면서 가축폐사와 농작물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데요.
이런 가운데 인삼 종주도시인 충남 금산에서는 인삼 잎이 말라 비틀어거지나 고사하는 고온 피해가 확산하고 있습니다.
임홍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금산군의 한 인삼밭입니다.
한창 새파랗게 자라야 할 인삼 잎이 누렇게 변하거나 말라 비틀어져 낙엽처럼 떨어져 있습니다.
주로 뿌리 발달이 늦은 1, 2년생 인삼으로, 정상적으로 자란 인삼 잎과 비교해 차이가 확연합니다.
인삼의 경우 보통 18도에서 25도사이에서 잘 자라는데, 그늘막 아래 온도가 30도를 훌쩍 넘기면서 고온 피해가 늘고 있습니다.
벌써 성장을 멈춰 내년에 다시 자란다 해도 상품성이 떨어지고 수확량이 크게 줄 수밖에 없습니다.
[이상남/금산인삼연구회장 : "(다른 작물은) 2~3개월 농사, 반 년 농사 하면 되는데 인삼은 알다시피 5년, 6년 이렇게 하다 보니까 올해 같은 경우는 인삼밭이 1년을 놓치게 된 거죠."]
폭염이 한 달 이상 지속된 지난 2018년 여름 전국 인삼 밭의 4분의 1 정도인 3,600헥타르가 고온 피해를 입기도 했습니다.
이에 따라 충남농업기술원은 고온피해 주의보를 발령하고 토양수분과 통풍, 해가림 시설 조절 등 세심한 관리를 당부했습니다.
[지무근/충남농기원 인삼약초연구소 연구사 : "고온 피해를 피하기 위해서는 면렴이나 개량 울타리를 설치해 주시고요. 아침에 관수를 통해서 지온을 떨어뜨리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특히 폭염 피해의 경우 폭설이나 수해와 달리 보상이 까다롭고 제한적이어서 농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홍열 입니다.
촬영기자:홍성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광장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임홍열 기자 himan@kbs.co.kr
임홍열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