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황새 개체 수 파악’ 전국 동시 모니터링 진행
입력 2021.10.25 (19:40) 수정 2021.10.25 (19:43) 뉴스7(대전)
예산에서 방사한 황새들의 생존 여부를 확인하고 국내로 날아든 월동 황새의 개체 수 파악을 위한 전국 동시 모니터링이 진행됩니다.
올해로 4년차를 맞은 전국 동시 모니터링은 오는 12월까지 황새가 자주 관찰되는 전국 43개 지점에서 45명의 요원이 진행합니다.
예산군은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황새의 주요 월동지역과 생존 위협 요소 등을 사전에 파악해 야생 생존율을 높힐 계획입니다.
그동안의 모니터링 결과 전국 황새 개체 수가 2019년 40마리에서 지난해 11월에는 105마리로 크게 증가했으며, 2015년부터 올해까지 방사된 155마리 가운데 58% 가량이 야생 생존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올해로 4년차를 맞은 전국 동시 모니터링은 오는 12월까지 황새가 자주 관찰되는 전국 43개 지점에서 45명의 요원이 진행합니다.
예산군은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황새의 주요 월동지역과 생존 위협 요소 등을 사전에 파악해 야생 생존율을 높힐 계획입니다.
그동안의 모니터링 결과 전국 황새 개체 수가 2019년 40마리에서 지난해 11월에는 105마리로 크게 증가했으며, 2015년부터 올해까지 방사된 155마리 가운데 58% 가량이 야생 생존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 ‘황새 개체 수 파악’ 전국 동시 모니터링 진행
-
- 입력 2021-10-25 19:40:13
- 수정2021-10-25 19:43:04

예산에서 방사한 황새들의 생존 여부를 확인하고 국내로 날아든 월동 황새의 개체 수 파악을 위한 전국 동시 모니터링이 진행됩니다.
올해로 4년차를 맞은 전국 동시 모니터링은 오는 12월까지 황새가 자주 관찰되는 전국 43개 지점에서 45명의 요원이 진행합니다.
예산군은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황새의 주요 월동지역과 생존 위협 요소 등을 사전에 파악해 야생 생존율을 높힐 계획입니다.
그동안의 모니터링 결과 전국 황새 개체 수가 2019년 40마리에서 지난해 11월에는 105마리로 크게 증가했으며, 2015년부터 올해까지 방사된 155마리 가운데 58% 가량이 야생 생존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올해로 4년차를 맞은 전국 동시 모니터링은 오는 12월까지 황새가 자주 관찰되는 전국 43개 지점에서 45명의 요원이 진행합니다.
예산군은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황새의 주요 월동지역과 생존 위협 요소 등을 사전에 파악해 야생 생존율을 높힐 계획입니다.
그동안의 모니터링 결과 전국 황새 개체 수가 2019년 40마리에서 지난해 11월에는 105마리로 크게 증가했으며, 2015년부터 올해까지 방사된 155마리 가운데 58% 가량이 야생 생존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뉴스7(대전)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홍정표 기자 real-eyes@kbs.co.kr
홍정표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