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달고 먹기 편한 ‘국산 단감 5총사’ 본격 보급

입력 2021.11.05 (21:55) 수정 2021.11.05 (22: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가을에 즐겨 먹는 단감 품종의 대부분이 일본에서 들여왔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품종이 단조롭고 비슷한 시기에 나오다 보니 여러 문제가 있었는데요.

출하 시기가 다양하고 맛도 더 좋은 국산 단감 5개 품종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했습니다.

민소운 기자입니다.

[리포트]

붉게 익은 단감이 탐스럽게 익었습니다.

껍질째 먹을 수 있는 국산 단감 품종, '연수'입니다.

풍부한 과즙과 부드러운 과육을 자랑합니다.

먹기 편한 데다 기존 단감보다 당도가 높아 맛도 좋습니다.

[정재민/광주시 도산동 : "껍질째 먹을 수 있다는 것에 많이 놀랐고요. 껍질째 먹어도 큰 이질감 없이 부드럽고 당도도 더 나은 것 같고 되게 괜찮은 것 같습니다."]

씨가 없는 '올플레쉬'와 단감·홍시의 매력을 고루 갖춘 '단홍'.

타원형으로 유럽 소비자들에게 인기여서 수출에 적합한 '봉황', 추석 대목에 수확할 수 있는 '원미'까지.

모두 농촌진흥청이 10년 안팎의 연구를 거쳐 보급한 국산 품종입니다.

전체 재배 면적의 90%에 이르는 일본 품종은 11월 초에 한꺼번에 수확돼 가격 경쟁력이 낮고 서리 등 재해에도 취약했습니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국산 품종은 출하 시기를 다양하게 조절했고 크기와 맛도 특화했습니다.

[마경복/농촌진흥청 배연구소 농업연구사 : "기존의 만생종 품종인 '부유'와 '차랑'의 편중재배를 해소하여서 단감 산업의 안정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가 있을 것 같고요, 다양한 품종들이 보급되면서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2015년 보급 된 이후 올해 재배 면적이 4백20여 헥타르까지 늘어난 우리 단감.

농촌진흥청은 스페인과 호주에 '품종 보호 출원'을 하고 기술이전 계약을 추진하는 등 국산 단감 품종의 해외 진출에도 나설 계획입니다.

KBS 뉴스 민소운입니다.

촬영기자:조민웅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더 달고 먹기 편한 ‘국산 단감 5총사’ 본격 보급
    • 입력 2021-11-05 21:55:09
    • 수정2021-11-05 22:16:09
    뉴스9(광주)
[앵커]

가을에 즐겨 먹는 단감 품종의 대부분이 일본에서 들여왔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품종이 단조롭고 비슷한 시기에 나오다 보니 여러 문제가 있었는데요.

출하 시기가 다양하고 맛도 더 좋은 국산 단감 5개 품종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했습니다.

민소운 기자입니다.

[리포트]

붉게 익은 단감이 탐스럽게 익었습니다.

껍질째 먹을 수 있는 국산 단감 품종, '연수'입니다.

풍부한 과즙과 부드러운 과육을 자랑합니다.

먹기 편한 데다 기존 단감보다 당도가 높아 맛도 좋습니다.

[정재민/광주시 도산동 : "껍질째 먹을 수 있다는 것에 많이 놀랐고요. 껍질째 먹어도 큰 이질감 없이 부드럽고 당도도 더 나은 것 같고 되게 괜찮은 것 같습니다."]

씨가 없는 '올플레쉬'와 단감·홍시의 매력을 고루 갖춘 '단홍'.

타원형으로 유럽 소비자들에게 인기여서 수출에 적합한 '봉황', 추석 대목에 수확할 수 있는 '원미'까지.

모두 농촌진흥청이 10년 안팎의 연구를 거쳐 보급한 국산 품종입니다.

전체 재배 면적의 90%에 이르는 일본 품종은 11월 초에 한꺼번에 수확돼 가격 경쟁력이 낮고 서리 등 재해에도 취약했습니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국산 품종은 출하 시기를 다양하게 조절했고 크기와 맛도 특화했습니다.

[마경복/농촌진흥청 배연구소 농업연구사 : "기존의 만생종 품종인 '부유'와 '차랑'의 편중재배를 해소하여서 단감 산업의 안정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가 있을 것 같고요, 다양한 품종들이 보급되면서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2015년 보급 된 이후 올해 재배 면적이 4백20여 헥타르까지 늘어난 우리 단감.

농촌진흥청은 스페인과 호주에 '품종 보호 출원'을 하고 기술이전 계약을 추진하는 등 국산 단감 품종의 해외 진출에도 나설 계획입니다.

KBS 뉴스 민소운입니다.

촬영기자:조민웅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