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 치료자 증가…현장의 목소리는?

입력 2021.11.11 (19:21) 수정 2021.11.12 (15: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단계적 일상 회복과 함께 방역 당국은 현재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하는 확진자를 대상으로 재택 치료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의료체계의 부담을 덜고, 위·중증 환자 중심의 대응을 위해 불가피한 선택인데요,

하지만 현장에서는 벌써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준석 기자와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이 기자 어서오세요.

먼저, 재택치료를 위한 의료체계가 궁금한데요,

생활치료센터에서 치료하는 대신 각자의 집에서 증상이 나아질 때까지 치료를 받는다는 거죠?

[기자]

먼저, 부산시 방역 당국이 신규 확진자 가운데 70세 미만의 무증상, 경증 환자를 대상으로 입원할 필요성이 없을 때 본인 동의를 받고 재택치료 여부를 결정합니다.

재택치료 기간 확진자는 방역 당국이 지급하는 체온계와 산소포화도 측정기 등으로 매일 두 차례 측정값을 앱에 등록합니다.

각 구군 보건소와 협력병원은 이런 기본적인 지표를 바탕으로 환자의 이상 유무 등을 관리하고요,

이상 증상이 생길 경우 비대면 진료로 약을 처방하거나 필요하면 코로나19 전담병원으로 이송하기 위한 응급체계를 가동합니다.

[앵커]

그렇다면 무엇보다 확진자의 건강상태를 잘 확인해야 할 텐데요,

협력병원 의사들도 관리는 하지만, 기존 병원 업무도 있는 만큼 보건소의 역할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죠?

[기자]

네, 환자 건강을 확인하고, 병원 이송 등의 결정 사안은 협력병원 의료진이 하겠지만요,

갑자기 변할 수 있는 환자 상태를 계속 확인하고, 환자 이송과 사후 조처 등 재택치료를 위한 행정적 업무는 고스란히 보건소 인력 몫입니다.

또 재택 치료자에게 필요한 의료품 등도 보건소에서 직접 전달해야 하는데요,

지금이야 부산의 재택치료자가 30명뿐이라 큰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완전한 일상 회복이 가까워질수록 확진자가 늘어나게 되고, 백신 접종으로 가벼운 증상이나 무증상 환자가 늘면 재택치료자 역시 가파르게 증가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보건소 현장에서는 지금 인력으로는 현재와 같은 재택치료 체계를 석 달에서 여섯 달 이상 가동하기 힘들다는 말이 나오는 겁니다.

[앵커]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보건소 같은 현장 의료진이 얼마나 힘들게 버티고 있는지 다들 아실 텐데요,

현장에서는 지금 뭘 가장 요구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기자]

독감 바이러스에 감염됐다고 해서, 격리되고 주기적으로 체온을 재고, 또 방역 당국에 보고하고 그러지 않잖아요?

완전한 일상 회복, 그러니까 진정한 '위드 코로나'는 이런 모습으로 가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지금은 과도기일 수밖에 없는데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보건소 인력을 무작정 늘릴 수만은 없는 만큼 지금부터 미리 다른 감염 질환처럼 코로나19 확진자도 동네 병·의원에서 치료를 받거나 원격 진료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준비해야 한다는 거죠.

방역 당국도 일상 회복으로 확진자가 많이 늘어날 거고, 이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지 않습니까?

그런 만큼 예상 가능한 수준에서라도 재택치료에 필요한 인력과 예산을 마련하고, 완전한 일상 회복으로 가기 전까지 문제없이 재택치료 체계가 운영되게 해야 한다는 게 현장의 목소립니다.

[앵커]

보건소 공무원의 사직, 휴직률이 코로나19 확산 이후 급증했다는 등의 안타까운 소식이 계속 전해지고 있는 만큼 현장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한 대응책이 나와야 할 것 같습니다.

이 기자 수고하셨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재택 치료자 증가…현장의 목소리는?
    • 입력 2021-11-11 19:21:15
    • 수정2021-11-12 15:25:45
    뉴스7(부산)
[앵커]

단계적 일상 회복과 함께 방역 당국은 현재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하는 확진자를 대상으로 재택 치료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의료체계의 부담을 덜고, 위·중증 환자 중심의 대응을 위해 불가피한 선택인데요,

하지만 현장에서는 벌써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준석 기자와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이 기자 어서오세요.

먼저, 재택치료를 위한 의료체계가 궁금한데요,

생활치료센터에서 치료하는 대신 각자의 집에서 증상이 나아질 때까지 치료를 받는다는 거죠?

[기자]

먼저, 부산시 방역 당국이 신규 확진자 가운데 70세 미만의 무증상, 경증 환자를 대상으로 입원할 필요성이 없을 때 본인 동의를 받고 재택치료 여부를 결정합니다.

재택치료 기간 확진자는 방역 당국이 지급하는 체온계와 산소포화도 측정기 등으로 매일 두 차례 측정값을 앱에 등록합니다.

각 구군 보건소와 협력병원은 이런 기본적인 지표를 바탕으로 환자의 이상 유무 등을 관리하고요,

이상 증상이 생길 경우 비대면 진료로 약을 처방하거나 필요하면 코로나19 전담병원으로 이송하기 위한 응급체계를 가동합니다.

[앵커]

그렇다면 무엇보다 확진자의 건강상태를 잘 확인해야 할 텐데요,

협력병원 의사들도 관리는 하지만, 기존 병원 업무도 있는 만큼 보건소의 역할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죠?

[기자]

네, 환자 건강을 확인하고, 병원 이송 등의 결정 사안은 협력병원 의료진이 하겠지만요,

갑자기 변할 수 있는 환자 상태를 계속 확인하고, 환자 이송과 사후 조처 등 재택치료를 위한 행정적 업무는 고스란히 보건소 인력 몫입니다.

또 재택 치료자에게 필요한 의료품 등도 보건소에서 직접 전달해야 하는데요,

지금이야 부산의 재택치료자가 30명뿐이라 큰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완전한 일상 회복이 가까워질수록 확진자가 늘어나게 되고, 백신 접종으로 가벼운 증상이나 무증상 환자가 늘면 재택치료자 역시 가파르게 증가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보건소 현장에서는 지금 인력으로는 현재와 같은 재택치료 체계를 석 달에서 여섯 달 이상 가동하기 힘들다는 말이 나오는 겁니다.

[앵커]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보건소 같은 현장 의료진이 얼마나 힘들게 버티고 있는지 다들 아실 텐데요,

현장에서는 지금 뭘 가장 요구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기자]

독감 바이러스에 감염됐다고 해서, 격리되고 주기적으로 체온을 재고, 또 방역 당국에 보고하고 그러지 않잖아요?

완전한 일상 회복, 그러니까 진정한 '위드 코로나'는 이런 모습으로 가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지금은 과도기일 수밖에 없는데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보건소 인력을 무작정 늘릴 수만은 없는 만큼 지금부터 미리 다른 감염 질환처럼 코로나19 확진자도 동네 병·의원에서 치료를 받거나 원격 진료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준비해야 한다는 거죠.

방역 당국도 일상 회복으로 확진자가 많이 늘어날 거고, 이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지 않습니까?

그런 만큼 예상 가능한 수준에서라도 재택치료에 필요한 인력과 예산을 마련하고, 완전한 일상 회복으로 가기 전까지 문제없이 재택치료 체계가 운영되게 해야 한다는 게 현장의 목소립니다.

[앵커]

보건소 공무원의 사직, 휴직률이 코로나19 확산 이후 급증했다는 등의 안타까운 소식이 계속 전해지고 있는 만큼 현장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한 대응책이 나와야 할 것 같습니다.

이 기자 수고하셨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