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에게 듣는다] 코로나19 재택치료 중 응급상황 생기면?…“전담 구급차 우선 출동”

입력 2021.11.19 (06:39) 수정 2021.11.19 (06: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재택치료가 늘면서 갑작스런 응급상황이 생기면 어쩌나 우려하는 분들도 적지 않죠.

이럴 땐 어떤 조치가 취해지는지, 방역 당국의 코로나19 유행 분석과 함께 이어서 들어보시죠.

[리포트]

["시도별로 119 종합상황실과 재택치료 관리팀 간의 24시간 핫라인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재택치료 관리팀이 119 상황실에 재택치료자의 정보를 공유하고 119 구급대원이 환자 상태에 맞는 응급처치를 실시하고 신속하게 이송하게 됩니다."]

["감염병 전담 구급차 295대를 포함하여 전국의 119 구급차 1,951대가 바로 출발할 수 있도록 대응체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재택치료자의 응급환자 이송 시에는 전담 구급차가 우선적으로 출동합니다."]

["재택치료 전담 구급차로 확대하면서는 래핑을 하고 있습니다. 래핑을 하지 않는 경우는 거기에 포함되어 있는 장비들이 많기 때문에 그 장비들을 다시 한번 닦고 소독하는 시간이 걸립니다. 그래서 그것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래핑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체적인 유행 규모가 증가하는 부분은 일정 부분 불가피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런 추세에 비추어볼 때 현재 확진자 규모, 유행양상의 증가는 어느 정도 예측범위 내에서 증가하고 있는 경향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다만, 확진 규모에 비해서 위중증 환자의 증가 속도가 상당히 빠르고 많은 상황입니다."]

["요양병원, 요양시설 등 취약시설에서의 감염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들이 주된 문제 요인이라고 보고 있고 예방접종을 가장 먼저 실시한 집단이다 보니 면역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함께 종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일상회복을 하면서 억눌러졌던 여러 모임이나 이동들의 수요가 반사적으로 증가했던 기간들이 어느 정도 정리되고 있는 의미도 있다고 보고 있고 유행 규모 감소에 좀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라고 지금 기대를 하고 있는 중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문가에게 듣는다] 코로나19 재택치료 중 응급상황 생기면?…“전담 구급차 우선 출동”
    • 입력 2021-11-19 06:39:28
    • 수정2021-11-19 06:47:55
    뉴스광장 1부
[앵커]

코로나19 재택치료가 늘면서 갑작스런 응급상황이 생기면 어쩌나 우려하는 분들도 적지 않죠.

이럴 땐 어떤 조치가 취해지는지, 방역 당국의 코로나19 유행 분석과 함께 이어서 들어보시죠.

[리포트]

["시도별로 119 종합상황실과 재택치료 관리팀 간의 24시간 핫라인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재택치료 관리팀이 119 상황실에 재택치료자의 정보를 공유하고 119 구급대원이 환자 상태에 맞는 응급처치를 실시하고 신속하게 이송하게 됩니다."]

["감염병 전담 구급차 295대를 포함하여 전국의 119 구급차 1,951대가 바로 출발할 수 있도록 대응체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재택치료자의 응급환자 이송 시에는 전담 구급차가 우선적으로 출동합니다."]

["재택치료 전담 구급차로 확대하면서는 래핑을 하고 있습니다. 래핑을 하지 않는 경우는 거기에 포함되어 있는 장비들이 많기 때문에 그 장비들을 다시 한번 닦고 소독하는 시간이 걸립니다. 그래서 그것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래핑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체적인 유행 규모가 증가하는 부분은 일정 부분 불가피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런 추세에 비추어볼 때 현재 확진자 규모, 유행양상의 증가는 어느 정도 예측범위 내에서 증가하고 있는 경향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다만, 확진 규모에 비해서 위중증 환자의 증가 속도가 상당히 빠르고 많은 상황입니다."]

["요양병원, 요양시설 등 취약시설에서의 감염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들이 주된 문제 요인이라고 보고 있고 예방접종을 가장 먼저 실시한 집단이다 보니 면역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함께 종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일상회복을 하면서 억눌러졌던 여러 모임이나 이동들의 수요가 반사적으로 증가했던 기간들이 어느 정도 정리되고 있는 의미도 있다고 보고 있고 유행 규모 감소에 좀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라고 지금 기대를 하고 있는 중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