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를 잡아라!…블랙카본 잡는 그린·블루카본

입력 2021.11.19 (21:39) 수정 2021.11.19 (22: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자동차 매연, 공장 굴뚝.

여기서 쏟아내는 탄소를 '블랙 카본'이라고 합니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히고 있죠.

반면에 '착한 카본'도 있습니다.

잘 조성된 소나무 숲이나 열대 우림은 대기 중의 탄소를 흡수하는 '그린 카본'이고요.

맹그로브 숲처럼 바다 생태계를 통해 탄소를 빨아들이는 '블루 카본'도 있습니다.

이 블루카본은 탄소를 흡수하는 속도가 그린 카본보다 50배나 빠릅니다.

여기에 길게는 수천 년 동안 탄소를 가두어 둘 수도 있는데요.

이 때문에 탄소 감축에 사활을 건 세계 각국이 '블루카본'에도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한 우리나라도 이 블루카본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바다밑에 조성된 바다숲, 그리고 갯벌이 주인공입니다.

박영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50ha의 바다숲이 조성된 동해 앞바다입니다.

바다 속에서 대형 텐트 설치가 한창입니다.

광합성을 하는 해조류가 대기에 있는 탄소를 얼마나 흡수하는지 측정하기 위해서입니다.

[권욱/한국해양환경생태연구소 : "내부에 센서 두 가지를 장착해서, 매일매일 광합성을 알아보는 시스템입니다."]

바다숲은 얼마나 많은 탄소를 흡수했을까?

여름과 가을로 나눠 실험한 결과입니다.

1㎡의 해조류가 하루 최대 흡수한 탄소량은 8월에는 2.21g, 10월에는 1.02g으로 확인됐습니다.

우리 바다에 조성된 바다숲 면적은 2만 4천ha니까, 이대로라면 연간 13만 톤의 탄소를 빨아들일 수 있습니다.

자동차 5만 5천 대가 연간 뿜어내는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겁니다.

[박기열/한국수산자원공단 동해본부 생태복원팀장 : "이번 실험에서 그 효과가 입증된 만큼 탄소 중립에 기여하도록 바다숲을 더욱 확장해 갈 예정입니다."]

하지만 과제도 있습니다.

해조류의 탄소 저장 기간을 어떻게 늘리느냐가 관건입니다.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대표적인 블루카본인 맹그로브숲은 길게는 수천 년 동안 탄소를 저장해 둘 수 있습니다.

반면 해조류는 서식 기간이 2년 정도에 불과해 이를 해결해야 합니다.

[김주형/군산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교수 : "(해조류는) 잠재적으로 어딘가 가둬줄 수 있는 토양과 같은 하나의 저장소가 없는 것뿐이에요. 그래서 저희가 그런 저장소를 자꾸 탐색을 해주고…."]

2050년, 블루카본을 활용한 우리의 탄소 감축 목표는 연간 100만 톤, 바다숲과 함께 연간 26만 톤의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갯벌을 활용하는 방법도 추진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영민입니다.

촬영기자:홍성백 김준우/그래픽:김현갑 한종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탄소를 잡아라!…블랙카본 잡는 그린·블루카본
    • 입력 2021-11-19 21:39:39
    • 수정2021-11-19 22:12:06
    뉴스 9
[앵커]

자동차 매연, 공장 굴뚝.

여기서 쏟아내는 탄소를 '블랙 카본'이라고 합니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히고 있죠.

반면에 '착한 카본'도 있습니다.

잘 조성된 소나무 숲이나 열대 우림은 대기 중의 탄소를 흡수하는 '그린 카본'이고요.

맹그로브 숲처럼 바다 생태계를 통해 탄소를 빨아들이는 '블루 카본'도 있습니다.

이 블루카본은 탄소를 흡수하는 속도가 그린 카본보다 50배나 빠릅니다.

여기에 길게는 수천 년 동안 탄소를 가두어 둘 수도 있는데요.

이 때문에 탄소 감축에 사활을 건 세계 각국이 '블루카본'에도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한 우리나라도 이 블루카본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바다밑에 조성된 바다숲, 그리고 갯벌이 주인공입니다.

박영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50ha의 바다숲이 조성된 동해 앞바다입니다.

바다 속에서 대형 텐트 설치가 한창입니다.

광합성을 하는 해조류가 대기에 있는 탄소를 얼마나 흡수하는지 측정하기 위해서입니다.

[권욱/한국해양환경생태연구소 : "내부에 센서 두 가지를 장착해서, 매일매일 광합성을 알아보는 시스템입니다."]

바다숲은 얼마나 많은 탄소를 흡수했을까?

여름과 가을로 나눠 실험한 결과입니다.

1㎡의 해조류가 하루 최대 흡수한 탄소량은 8월에는 2.21g, 10월에는 1.02g으로 확인됐습니다.

우리 바다에 조성된 바다숲 면적은 2만 4천ha니까, 이대로라면 연간 13만 톤의 탄소를 빨아들일 수 있습니다.

자동차 5만 5천 대가 연간 뿜어내는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겁니다.

[박기열/한국수산자원공단 동해본부 생태복원팀장 : "이번 실험에서 그 효과가 입증된 만큼 탄소 중립에 기여하도록 바다숲을 더욱 확장해 갈 예정입니다."]

하지만 과제도 있습니다.

해조류의 탄소 저장 기간을 어떻게 늘리느냐가 관건입니다.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대표적인 블루카본인 맹그로브숲은 길게는 수천 년 동안 탄소를 저장해 둘 수 있습니다.

반면 해조류는 서식 기간이 2년 정도에 불과해 이를 해결해야 합니다.

[김주형/군산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교수 : "(해조류는) 잠재적으로 어딘가 가둬줄 수 있는 토양과 같은 하나의 저장소가 없는 것뿐이에요. 그래서 저희가 그런 저장소를 자꾸 탐색을 해주고…."]

2050년, 블루카본을 활용한 우리의 탄소 감축 목표는 연간 100만 톤, 바다숲과 함께 연간 26만 톤의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갯벌을 활용하는 방법도 추진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영민입니다.

촬영기자:홍성백 김준우/그래픽:김현갑 한종헌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