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진주] ‘댐 방류’ 피해배상 첫 결정…남강댐·섬진강댐 하류도 촉각
입력 2021.12.01 (19:35)
수정 2021.12.01 (19: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8월 집중호우에 댐 하류지역 주민들이 침수 피해를 입으면서 피해 배상을 요구해왔는데요,
1년 넉 달이 지나서야 처음으로 국가와 자치단체가 경남 합천댐 하류 주민들에게 피해 배상하라는 결정이 나왔습니다.
남강댐과 섬진강댐 하류 주민들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박상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8월 집중호우, 경남 합천댐과 남강댐 등 곳곳에서 갑자기 많은 물을 흘려보내면서 댐 하류 주민들이 피해를 입었습니다.
주민들은 댐 관리를 잘못했다며 피해 배상을 요구했고, 1년 4개월 만에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서 첫 배상 결정이 나왔습니다.
환경분쟁조정위는 피해 신청인 360여 명에 대해 신청금액의 72%인 57억여 원 배상을 결정했습니다.
국가가 50%, 수자원공사 25%, 경상남도와 합천군 각각 12.5%라는 분담 비율까지 제시했습니다.
대부분 기관은 환경분쟁조정위의 결정을 수용했습니다.
[정동주/합천군 하천관리담당 : "피해 주민들이 빨리 일상생활로 돌아갈 수 있기를 바라기 때문에 조정 결과를 수용할 계획입니다."]
합천 피해주민들도 이 같은 결정을 수긍했습니다.
[이종철/합천군 수해피해주민 대책위원장 : "어떤 잘잘못 부분은 가려진 것 같고, 그에 따르는 피해 배상률 부분을 볼 때는, 그 정도 같으면 괜찮지 않으냐."]
댐 하류 피해 배상 첫 결과에 남강댐과 섬진강댐 하류 피해주민들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문창현/남강댐 방류 피해대책위 대표 : "합천하고 청주의 기준이 다른 곳도 기준이 될 것 같으니, 70%, 72%가 아니고 좀 더 나왔으면, 더 기대를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얘기죠."]
피해 주민들은 올해 안에 조정 결정을 내려달라고 요구했지만, 지난달 말 1차 회의가 열린 지역도 있어 최종 결론은 해를 넘길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박상현입니다.
촬영기자:안민식/그래픽:박수홍
사천소방, 다솔사에서 사찰 화재 진압훈련
사천소방서가 오늘(1일) 사천 다솔사에서 겨울철 화재 대비 훈련을 했습니다.
오늘 훈련에는 소방대원 26명 등 30여 명이 물탱크차와 산불 진화 차량 등 장비 8대를 동원해 1시간 반 동안 목재 건물 화재 진압 방법을 익히는 등 합동 훈련을 진행했습니다.
하동 화개면 산장 불…잔불 정리 중
오늘(1일) 오후 3시 45분쯤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의 한 산 중턱에 있는 산장에서 불이 났습니다.
이 불로 산장 1채가 다 탔고, 소방대원 30여 명이 현재 잔불 정리를 하고 있습니다.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소방은 전기 누전으로 불이 난 것으로 보고 불이 다 꺼진 뒤 피해 규모와 화재원인을 조사할 계획입니다.
산청군 ‘기본형 공익직불금’ 125억 원 지급
산청군 농가 7천 7백여 곳에 기본형 공익직불금 125억 원을 지급합니다.
5,000㎡ 이하 소규모 농지에서 농사를 짓는 농가 3천 9백여 곳에는 각 120만 원씩, 5,000㎡ 이상 농가 3천 8백여 곳에는 규모에 따라 78억여 원을 나눠 지급할 예정입니다.
기본형 공익직불금은 지난해부터 농촌공동체 유지 등을 위해 지급되고 있습니다.
남해군, 새 청사 예정지 ‘서변마을’ 펴내
남해군이 새 군청 건물을 지으면서 철거되는 남해읍 서변리 일대 주민들의 생활 모습을 기록한 '서변마을'을 만들었습니다.
이 책에는 서변리 주민 24명의 이야기와 철거를 앞둔 건물 44곳의 사진 등이 담겼습니다.
남해군은 새 군청 안에 역사기록관을 만들고 철거된 마을과 골목 모습을 모형으로 만들 예정입니다.
지난해 8월 집중호우에 댐 하류지역 주민들이 침수 피해를 입으면서 피해 배상을 요구해왔는데요,
1년 넉 달이 지나서야 처음으로 국가와 자치단체가 경남 합천댐 하류 주민들에게 피해 배상하라는 결정이 나왔습니다.
남강댐과 섬진강댐 하류 주민들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박상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8월 집중호우, 경남 합천댐과 남강댐 등 곳곳에서 갑자기 많은 물을 흘려보내면서 댐 하류 주민들이 피해를 입었습니다.
주민들은 댐 관리를 잘못했다며 피해 배상을 요구했고, 1년 4개월 만에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서 첫 배상 결정이 나왔습니다.
환경분쟁조정위는 피해 신청인 360여 명에 대해 신청금액의 72%인 57억여 원 배상을 결정했습니다.
국가가 50%, 수자원공사 25%, 경상남도와 합천군 각각 12.5%라는 분담 비율까지 제시했습니다.
대부분 기관은 환경분쟁조정위의 결정을 수용했습니다.
[정동주/합천군 하천관리담당 : "피해 주민들이 빨리 일상생활로 돌아갈 수 있기를 바라기 때문에 조정 결과를 수용할 계획입니다."]
합천 피해주민들도 이 같은 결정을 수긍했습니다.
[이종철/합천군 수해피해주민 대책위원장 : "어떤 잘잘못 부분은 가려진 것 같고, 그에 따르는 피해 배상률 부분을 볼 때는, 그 정도 같으면 괜찮지 않으냐."]
댐 하류 피해 배상 첫 결과에 남강댐과 섬진강댐 하류 피해주민들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문창현/남강댐 방류 피해대책위 대표 : "합천하고 청주의 기준이 다른 곳도 기준이 될 것 같으니, 70%, 72%가 아니고 좀 더 나왔으면, 더 기대를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얘기죠."]
피해 주민들은 올해 안에 조정 결정을 내려달라고 요구했지만, 지난달 말 1차 회의가 열린 지역도 있어 최종 결론은 해를 넘길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박상현입니다.
촬영기자:안민식/그래픽:박수홍
사천소방, 다솔사에서 사찰 화재 진압훈련
사천소방서가 오늘(1일) 사천 다솔사에서 겨울철 화재 대비 훈련을 했습니다.
오늘 훈련에는 소방대원 26명 등 30여 명이 물탱크차와 산불 진화 차량 등 장비 8대를 동원해 1시간 반 동안 목재 건물 화재 진압 방법을 익히는 등 합동 훈련을 진행했습니다.
하동 화개면 산장 불…잔불 정리 중
오늘(1일) 오후 3시 45분쯤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의 한 산 중턱에 있는 산장에서 불이 났습니다.
이 불로 산장 1채가 다 탔고, 소방대원 30여 명이 현재 잔불 정리를 하고 있습니다.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소방은 전기 누전으로 불이 난 것으로 보고 불이 다 꺼진 뒤 피해 규모와 화재원인을 조사할 계획입니다.
산청군 ‘기본형 공익직불금’ 125억 원 지급
산청군 농가 7천 7백여 곳에 기본형 공익직불금 125억 원을 지급합니다.
5,000㎡ 이하 소규모 농지에서 농사를 짓는 농가 3천 9백여 곳에는 각 120만 원씩, 5,000㎡ 이상 농가 3천 8백여 곳에는 규모에 따라 78억여 원을 나눠 지급할 예정입니다.
기본형 공익직불금은 지난해부터 농촌공동체 유지 등을 위해 지급되고 있습니다.
남해군, 새 청사 예정지 ‘서변마을’ 펴내
남해군이 새 군청 건물을 지으면서 철거되는 남해읍 서변리 일대 주민들의 생활 모습을 기록한 '서변마을'을 만들었습니다.
이 책에는 서변리 주민 24명의 이야기와 철거를 앞둔 건물 44곳의 사진 등이 담겼습니다.
남해군은 새 군청 안에 역사기록관을 만들고 철거된 마을과 골목 모습을 모형으로 만들 예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기는 진주] ‘댐 방류’ 피해배상 첫 결정…남강댐·섬진강댐 하류도 촉각
-
- 입력 2021-12-01 19:35:27
- 수정2021-12-01 19:57:32

[앵커]
지난해 8월 집중호우에 댐 하류지역 주민들이 침수 피해를 입으면서 피해 배상을 요구해왔는데요,
1년 넉 달이 지나서야 처음으로 국가와 자치단체가 경남 합천댐 하류 주민들에게 피해 배상하라는 결정이 나왔습니다.
남강댐과 섬진강댐 하류 주민들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박상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8월 집중호우, 경남 합천댐과 남강댐 등 곳곳에서 갑자기 많은 물을 흘려보내면서 댐 하류 주민들이 피해를 입었습니다.
주민들은 댐 관리를 잘못했다며 피해 배상을 요구했고, 1년 4개월 만에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서 첫 배상 결정이 나왔습니다.
환경분쟁조정위는 피해 신청인 360여 명에 대해 신청금액의 72%인 57억여 원 배상을 결정했습니다.
국가가 50%, 수자원공사 25%, 경상남도와 합천군 각각 12.5%라는 분담 비율까지 제시했습니다.
대부분 기관은 환경분쟁조정위의 결정을 수용했습니다.
[정동주/합천군 하천관리담당 : "피해 주민들이 빨리 일상생활로 돌아갈 수 있기를 바라기 때문에 조정 결과를 수용할 계획입니다."]
합천 피해주민들도 이 같은 결정을 수긍했습니다.
[이종철/합천군 수해피해주민 대책위원장 : "어떤 잘잘못 부분은 가려진 것 같고, 그에 따르는 피해 배상률 부분을 볼 때는, 그 정도 같으면 괜찮지 않으냐."]
댐 하류 피해 배상 첫 결과에 남강댐과 섬진강댐 하류 피해주민들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문창현/남강댐 방류 피해대책위 대표 : "합천하고 청주의 기준이 다른 곳도 기준이 될 것 같으니, 70%, 72%가 아니고 좀 더 나왔으면, 더 기대를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얘기죠."]
피해 주민들은 올해 안에 조정 결정을 내려달라고 요구했지만, 지난달 말 1차 회의가 열린 지역도 있어 최종 결론은 해를 넘길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박상현입니다.
촬영기자:안민식/그래픽:박수홍
사천소방, 다솔사에서 사찰 화재 진압훈련
사천소방서가 오늘(1일) 사천 다솔사에서 겨울철 화재 대비 훈련을 했습니다.
오늘 훈련에는 소방대원 26명 등 30여 명이 물탱크차와 산불 진화 차량 등 장비 8대를 동원해 1시간 반 동안 목재 건물 화재 진압 방법을 익히는 등 합동 훈련을 진행했습니다.
하동 화개면 산장 불…잔불 정리 중
오늘(1일) 오후 3시 45분쯤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의 한 산 중턱에 있는 산장에서 불이 났습니다.
이 불로 산장 1채가 다 탔고, 소방대원 30여 명이 현재 잔불 정리를 하고 있습니다.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소방은 전기 누전으로 불이 난 것으로 보고 불이 다 꺼진 뒤 피해 규모와 화재원인을 조사할 계획입니다.
산청군 ‘기본형 공익직불금’ 125억 원 지급
산청군 농가 7천 7백여 곳에 기본형 공익직불금 125억 원을 지급합니다.
5,000㎡ 이하 소규모 농지에서 농사를 짓는 농가 3천 9백여 곳에는 각 120만 원씩, 5,000㎡ 이상 농가 3천 8백여 곳에는 규모에 따라 78억여 원을 나눠 지급할 예정입니다.
기본형 공익직불금은 지난해부터 농촌공동체 유지 등을 위해 지급되고 있습니다.
남해군, 새 청사 예정지 ‘서변마을’ 펴내
남해군이 새 군청 건물을 지으면서 철거되는 남해읍 서변리 일대 주민들의 생활 모습을 기록한 '서변마을'을 만들었습니다.
이 책에는 서변리 주민 24명의 이야기와 철거를 앞둔 건물 44곳의 사진 등이 담겼습니다.
남해군은 새 군청 안에 역사기록관을 만들고 철거된 마을과 골목 모습을 모형으로 만들 예정입니다.
지난해 8월 집중호우에 댐 하류지역 주민들이 침수 피해를 입으면서 피해 배상을 요구해왔는데요,
1년 넉 달이 지나서야 처음으로 국가와 자치단체가 경남 합천댐 하류 주민들에게 피해 배상하라는 결정이 나왔습니다.
남강댐과 섬진강댐 하류 주민들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박상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8월 집중호우, 경남 합천댐과 남강댐 등 곳곳에서 갑자기 많은 물을 흘려보내면서 댐 하류 주민들이 피해를 입었습니다.
주민들은 댐 관리를 잘못했다며 피해 배상을 요구했고, 1년 4개월 만에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서 첫 배상 결정이 나왔습니다.
환경분쟁조정위는 피해 신청인 360여 명에 대해 신청금액의 72%인 57억여 원 배상을 결정했습니다.
국가가 50%, 수자원공사 25%, 경상남도와 합천군 각각 12.5%라는 분담 비율까지 제시했습니다.
대부분 기관은 환경분쟁조정위의 결정을 수용했습니다.
[정동주/합천군 하천관리담당 : "피해 주민들이 빨리 일상생활로 돌아갈 수 있기를 바라기 때문에 조정 결과를 수용할 계획입니다."]
합천 피해주민들도 이 같은 결정을 수긍했습니다.
[이종철/합천군 수해피해주민 대책위원장 : "어떤 잘잘못 부분은 가려진 것 같고, 그에 따르는 피해 배상률 부분을 볼 때는, 그 정도 같으면 괜찮지 않으냐."]
댐 하류 피해 배상 첫 결과에 남강댐과 섬진강댐 하류 피해주민들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문창현/남강댐 방류 피해대책위 대표 : "합천하고 청주의 기준이 다른 곳도 기준이 될 것 같으니, 70%, 72%가 아니고 좀 더 나왔으면, 더 기대를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얘기죠."]
피해 주민들은 올해 안에 조정 결정을 내려달라고 요구했지만, 지난달 말 1차 회의가 열린 지역도 있어 최종 결론은 해를 넘길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박상현입니다.
촬영기자:안민식/그래픽:박수홍
사천소방, 다솔사에서 사찰 화재 진압훈련
사천소방서가 오늘(1일) 사천 다솔사에서 겨울철 화재 대비 훈련을 했습니다.
오늘 훈련에는 소방대원 26명 등 30여 명이 물탱크차와 산불 진화 차량 등 장비 8대를 동원해 1시간 반 동안 목재 건물 화재 진압 방법을 익히는 등 합동 훈련을 진행했습니다.
하동 화개면 산장 불…잔불 정리 중
오늘(1일) 오후 3시 45분쯤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의 한 산 중턱에 있는 산장에서 불이 났습니다.
이 불로 산장 1채가 다 탔고, 소방대원 30여 명이 현재 잔불 정리를 하고 있습니다.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소방은 전기 누전으로 불이 난 것으로 보고 불이 다 꺼진 뒤 피해 규모와 화재원인을 조사할 계획입니다.
산청군 ‘기본형 공익직불금’ 125억 원 지급
산청군 농가 7천 7백여 곳에 기본형 공익직불금 125억 원을 지급합니다.
5,000㎡ 이하 소규모 농지에서 농사를 짓는 농가 3천 9백여 곳에는 각 120만 원씩, 5,000㎡ 이상 농가 3천 8백여 곳에는 규모에 따라 78억여 원을 나눠 지급할 예정입니다.
기본형 공익직불금은 지난해부터 농촌공동체 유지 등을 위해 지급되고 있습니다.
남해군, 새 청사 예정지 ‘서변마을’ 펴내
남해군이 새 군청 건물을 지으면서 철거되는 남해읍 서변리 일대 주민들의 생활 모습을 기록한 '서변마을'을 만들었습니다.
이 책에는 서변리 주민 24명의 이야기와 철거를 앞둔 건물 44곳의 사진 등이 담겼습니다.
남해군은 새 군청 안에 역사기록관을 만들고 철거된 마을과 골목 모습을 모형으로 만들 예정입니다.
-
-
박상현 기자 sanghyun@kbs.co.kr
박상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