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충주] 농가 화재 주범 화목 보일러…“자동확산소화기로 예방”

입력 2022.02.22 (19:22) 수정 2022.02.22 (19: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에는 KBS 충주 스튜디오 연결해 북부권 소식 살펴보겠습니다.

박찬송 아나운서, 전해주시죠.

[답변]

농촌에서는 겨울철마다 화목 보일러로 인한 화재가 끊이지 않는데요.

이 같은 화재를 막기 위해 자동확산소화기라는 맞춤형 소방 설비가 확대 보급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유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나무 숲이 불길로 가득합니다.

소방관들이 까맣게 탄 잿더미 사이로 물을 쉴 새 없이 뿌립니다.

모두 화목 보일러를 쓰다 불티가 날리면서 난 화재입니다.

2016년부터 5년 동안 충북에서 발생한 주택 화재 10건 중 1건이 화목 보일러가 원인이었습니다.

연료비 부담이 적다 보니 농촌 주택 대부분 화목 보일러를 쓰는 상황.

하지만 단독 주택은 간이 스프링클러 같은 소방 설비 의무 설치 대상이 아니어서 초기 진화에 어려움을 겪을 때가 많습니다.

[김용설/충주시 대소원면 : "연통 청소를 자주 안 하면 거기에 불이 붙더라고요. 산이 인접해 있으니까 산불이 나지 않을까…."]

화목 보일러가 있는 주택 천장에 둥근 통이 생겼습니다.

열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분말 소화액을 뿌리는 자동확산소화기입니다.

물을 쓰지 않아 겨울철 동파 우려가 적고 손쉽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화재 예방 효과도 커 충청북도는 화목 보일러를 쓰는 주택 4,400여 곳에, 자동확산소화기를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박성학/충주소방서 예방총괄팀장 : "화목 보일러로 인하여 발생하는 산불이 적지 않은 부분이 있으므로, 초기 진화에 좋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돼서 이번 사업을 시작하게 됐습니다."]

자동확산소화기가 확대 보급될 경우 농가 화재가 산불로 이어지는 대형 화재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건국대 충주병원, 의료시설 확충해야”

충주시민단체연대회의가 건국대학교 충주병원에 의료시설 확충 약속을 지키라고 촉구했습니다.

이들은 오늘 충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충북 북부 지역은 응급 치료 여건이 열악해 주민 건강 지수가 전국 최하위 수준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는데요.

건국대 충주병원은 병동을 5백 개 이상으로 늘리고, 심혈관센터와 응급센터를 확충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건국대법인은 충주에 대학병원급 의료시설을 세우는 조건으로 충주캠퍼스에 의학전문대학원 인가를 받았지만, 10년 넘게 시설 투자를 늘리지 않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민간위탁 직영 논의 연기…무책임한 행정”

음성군에서 생활폐기물 처리 직영 전환 문제를 두고, 갈등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민주연합 노동조합 음성지부 등은 오늘 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는데요.

이 자리에서 음성군의 폐기물 처리 직접 운영 논의가 지방선거 이후로, 예정보다 석 달 미뤄졌다면서 무책임한 행정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이들은 당초 다음 달, 음성군이 직영 전환 여부를 심층 논의한 뒤 4월에 운영 방식을 결정할 계획이었지만 논의 일정을 돌연 6월로 미뤘다면서 다음 지방정부에 책임을 떠넘겼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음성군은 코로나19와 지방선거 등으로 업무에 차질을 빚고 있어 관계자와 합의를 마친 뒤, 일정을 연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금까지 충주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기자:윤진모·최승원/영상편집:정진욱/그래픽:김은경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기는 충주] 농가 화재 주범 화목 보일러…“자동확산소화기로 예방”
    • 입력 2022-02-22 19:22:56
    • 수정2022-02-22 19:52:38
    뉴스7(청주)
[앵커]

이번에는 KBS 충주 스튜디오 연결해 북부권 소식 살펴보겠습니다.

박찬송 아나운서, 전해주시죠.

[답변]

농촌에서는 겨울철마다 화목 보일러로 인한 화재가 끊이지 않는데요.

이 같은 화재를 막기 위해 자동확산소화기라는 맞춤형 소방 설비가 확대 보급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유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나무 숲이 불길로 가득합니다.

소방관들이 까맣게 탄 잿더미 사이로 물을 쉴 새 없이 뿌립니다.

모두 화목 보일러를 쓰다 불티가 날리면서 난 화재입니다.

2016년부터 5년 동안 충북에서 발생한 주택 화재 10건 중 1건이 화목 보일러가 원인이었습니다.

연료비 부담이 적다 보니 농촌 주택 대부분 화목 보일러를 쓰는 상황.

하지만 단독 주택은 간이 스프링클러 같은 소방 설비 의무 설치 대상이 아니어서 초기 진화에 어려움을 겪을 때가 많습니다.

[김용설/충주시 대소원면 : "연통 청소를 자주 안 하면 거기에 불이 붙더라고요. 산이 인접해 있으니까 산불이 나지 않을까…."]

화목 보일러가 있는 주택 천장에 둥근 통이 생겼습니다.

열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분말 소화액을 뿌리는 자동확산소화기입니다.

물을 쓰지 않아 겨울철 동파 우려가 적고 손쉽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화재 예방 효과도 커 충청북도는 화목 보일러를 쓰는 주택 4,400여 곳에, 자동확산소화기를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박성학/충주소방서 예방총괄팀장 : "화목 보일러로 인하여 발생하는 산불이 적지 않은 부분이 있으므로, 초기 진화에 좋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돼서 이번 사업을 시작하게 됐습니다."]

자동확산소화기가 확대 보급될 경우 농가 화재가 산불로 이어지는 대형 화재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건국대 충주병원, 의료시설 확충해야”

충주시민단체연대회의가 건국대학교 충주병원에 의료시설 확충 약속을 지키라고 촉구했습니다.

이들은 오늘 충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충북 북부 지역은 응급 치료 여건이 열악해 주민 건강 지수가 전국 최하위 수준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는데요.

건국대 충주병원은 병동을 5백 개 이상으로 늘리고, 심혈관센터와 응급센터를 확충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건국대법인은 충주에 대학병원급 의료시설을 세우는 조건으로 충주캠퍼스에 의학전문대학원 인가를 받았지만, 10년 넘게 시설 투자를 늘리지 않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민간위탁 직영 논의 연기…무책임한 행정”

음성군에서 생활폐기물 처리 직영 전환 문제를 두고, 갈등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민주연합 노동조합 음성지부 등은 오늘 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는데요.

이 자리에서 음성군의 폐기물 처리 직접 운영 논의가 지방선거 이후로, 예정보다 석 달 미뤄졌다면서 무책임한 행정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이들은 당초 다음 달, 음성군이 직영 전환 여부를 심층 논의한 뒤 4월에 운영 방식을 결정할 계획이었지만 논의 일정을 돌연 6월로 미뤘다면서 다음 지방정부에 책임을 떠넘겼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음성군은 코로나19와 지방선거 등으로 업무에 차질을 빚고 있어 관계자와 합의를 마친 뒤, 일정을 연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금까지 충주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기자:윤진모·최승원/영상편집:정진욱/그래픽:김은경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