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총회, ‘러 철군 결의안’ 채택…141개국 ‘압도적 지지’로 대러 압박↑

입력 2022.03.03 (06:16) 수정 2022.03.03 (06: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유엔총회에서 러시아의 철군을 요구하는 결의안이 회원국들의 압도적 지지로 채택됐습니다.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와는 달리 구속력은 없지만, 140여 개 나라가 찬성표를 던진 만큼 러시아로서는 상당한 외교적 부담을 갖게 됐습니다.

뉴욕 한보경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사흘째인 유엔 긴급 특별총회에서,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의 철군을 요구하는 결의안이 회원국들의 압도적 지지로 채택됐습니다.

유럽연합이 주도한 이번 결의안에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100개 가까운 나라가 공동제안국에 참여했습니다.

표결에선, 141개 나라가 찬성했고 러시아와 북한 등 5개 나라만 반대표를 던졌습니다.

대화를 강조하며 한발 빼고 있는 중국을 포함해 인도와 이란 등 35개 나라는 기권했습니다.

[세르게이 키슬리츠야/우크라이나 주 유엔대사 : "이것은 내 전쟁이 아니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실수입니다. 악은 결코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점점 더 많은 곳을 정복하기 위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이번 결의안은 이걸 막기 위해 쌓는 벽입니다."]

결의안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가장 강력한 용어로 개탄하며 우크라이나 영토에서 러시아의 즉각적이고 완전한 군병력 철수를 요구한다고 밝혔습니다.

러시아의 핵무력 태세 강화 결정을 규탄한다고도 했습니다.

이번 특별총회는 지난달 25일 열린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로 결의안 채택이 불발된 이후 미국 등이 주도해 긴급 소집됐습니다.

유엔 특별총회는 지난 1950년 6·25전쟁을 계기로 마련됐고, 조현 주 유엔대사도 총회 연설을 통해 한국이 유엔의 도움을 받은 첫번째 나라였다며 회원국들의 단결된 대응을 호소했습니다.

[조현/주유엔 대사/현지 시각 1일 : "우리나라는 당시 유엔의 국민들이 즉각 일어났기에 오늘날에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총회 결의안은 안보리 결의안과는 달리 법적 구속력은 없습니다.

하지만 회원국들의 압도적 지지로 결의안이 채택된 만큼 국제외교무대에서 러시아의 고립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입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한보경입니다.

촬영:지한샘/영상편집:정재숙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유엔 총회, ‘러 철군 결의안’ 채택…141개국 ‘압도적 지지’로 대러 압박↑
    • 입력 2022-03-03 06:16:28
    • 수정2022-03-03 06:44:20
    뉴스광장 1부
[앵커]

유엔총회에서 러시아의 철군을 요구하는 결의안이 회원국들의 압도적 지지로 채택됐습니다.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와는 달리 구속력은 없지만, 140여 개 나라가 찬성표를 던진 만큼 러시아로서는 상당한 외교적 부담을 갖게 됐습니다.

뉴욕 한보경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사흘째인 유엔 긴급 특별총회에서,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의 철군을 요구하는 결의안이 회원국들의 압도적 지지로 채택됐습니다.

유럽연합이 주도한 이번 결의안에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100개 가까운 나라가 공동제안국에 참여했습니다.

표결에선, 141개 나라가 찬성했고 러시아와 북한 등 5개 나라만 반대표를 던졌습니다.

대화를 강조하며 한발 빼고 있는 중국을 포함해 인도와 이란 등 35개 나라는 기권했습니다.

[세르게이 키슬리츠야/우크라이나 주 유엔대사 : "이것은 내 전쟁이 아니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실수입니다. 악은 결코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점점 더 많은 곳을 정복하기 위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이번 결의안은 이걸 막기 위해 쌓는 벽입니다."]

결의안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가장 강력한 용어로 개탄하며 우크라이나 영토에서 러시아의 즉각적이고 완전한 군병력 철수를 요구한다고 밝혔습니다.

러시아의 핵무력 태세 강화 결정을 규탄한다고도 했습니다.

이번 특별총회는 지난달 25일 열린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로 결의안 채택이 불발된 이후 미국 등이 주도해 긴급 소집됐습니다.

유엔 특별총회는 지난 1950년 6·25전쟁을 계기로 마련됐고, 조현 주 유엔대사도 총회 연설을 통해 한국이 유엔의 도움을 받은 첫번째 나라였다며 회원국들의 단결된 대응을 호소했습니다.

[조현/주유엔 대사/현지 시각 1일 : "우리나라는 당시 유엔의 국민들이 즉각 일어났기에 오늘날에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총회 결의안은 안보리 결의안과는 달리 법적 구속력은 없습니다.

하지만 회원국들의 압도적 지지로 결의안이 채택된 만큼 국제외교무대에서 러시아의 고립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입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한보경입니다.

촬영:지한샘/영상편집:정재숙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