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리 해제 산모 진료 거부…확진 임신부들 “불안해요”

입력 2022.03.06 (21:37) 수정 2022.03.06 (22: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소식입니다.

신규 확진자는 24만 3천여 명으로, 1주일 전보다 8만 명 늘었습니다.

사망자는 161명, 위중증 환자는 이틀 연속 8백 명대를 기록했는데요.

사망자와 위중증 환자 모두 여전히 60살 이상 고령자의 비율이 매우 높습니다.

재택치료자는 112만 여명으로 하루 만에 9만 명 이상 늘었는데요.

이런 추세라면 대선 당일 재택치료자가 130만 명을 넘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렇게 확산세가 계속되는 가운데, 일부 병원에서 확진된 후 격리 해제된 임신부의 분만을 거부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현행 의료법 위반이지만 일선 병원에선 여전히 꺼리는 분위기인데요.

임신부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석혜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코로나에 확진됐던 임신부 김 씨는 재택치료 뒤 지난 1일, 격리 해제됐습니다.

그리고 다음 날, 출산이 임박해 평소에 다니던 산부인과에 갔지만 병원 측으로부터 수술을 받을 수 없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수술 전 받은 신속항원 검사에서 양성이 나왔다는 것이 이유였습니다.

[임신부 남편/음성변조 : "확진하고도 9일이 됐고, 격리해제된 산모고, 지금 양수 터지고 위급하니 수술부터 해달라고 했는데 이관을 계속 생각하시더라고요."]

밀접접촉자인 임신부의 사정도 크게 다르진 않습니다.

또 다른 임신부 이 모 씨.

가족이 확진자라는 이유로 받아주는 병원이 없어 구급차량에서 6시간 넘게 수소문한 끝에야 분만 병상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임신부 가족 : "(구급차 안에서) 아기를 낳더라도 아기를 받아줄 수 있는 병원이 없다는 식으로 얘기하는 거야, 그거 참 황당한 얘기가..."]

확진 후 격리 해제되거나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는 환자에 대해 진료를 거부하는 것은 의료법 위반입니다.

정부는 이들뿐 아니라 확진 임신부라도 다니던 병원에서 출산할 수 있도록 일선 병원에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현장에선 난색을 표시합니다.

[신봉식/대한분만병원학회장 : "환자를 받았다가 그로 인해서 병원의 감염이 일어나게 되면 그 다음에 벌어질 민원에 대해서 일선 병원들에서는 감당할 수가 없습니다."]

방역 전문가들은 오미크론 특성에 맞춰 일선 의료진들이 코로나19 확진자나 의심 환자를 대하는 방침을 전환해야 한다고 권고합니다.

KBS 뉴스 석혜원입니다.

촬영기자:김준우/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격리 해제 산모 진료 거부…확진 임신부들 “불안해요”
    • 입력 2022-03-06 21:37:38
    • 수정2022-03-06 22:08:31
    뉴스 9
[앵커]

코로나19 소식입니다.

신규 확진자는 24만 3천여 명으로, 1주일 전보다 8만 명 늘었습니다.

사망자는 161명, 위중증 환자는 이틀 연속 8백 명대를 기록했는데요.

사망자와 위중증 환자 모두 여전히 60살 이상 고령자의 비율이 매우 높습니다.

재택치료자는 112만 여명으로 하루 만에 9만 명 이상 늘었는데요.

이런 추세라면 대선 당일 재택치료자가 130만 명을 넘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렇게 확산세가 계속되는 가운데, 일부 병원에서 확진된 후 격리 해제된 임신부의 분만을 거부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현행 의료법 위반이지만 일선 병원에선 여전히 꺼리는 분위기인데요.

임신부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석혜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코로나에 확진됐던 임신부 김 씨는 재택치료 뒤 지난 1일, 격리 해제됐습니다.

그리고 다음 날, 출산이 임박해 평소에 다니던 산부인과에 갔지만 병원 측으로부터 수술을 받을 수 없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수술 전 받은 신속항원 검사에서 양성이 나왔다는 것이 이유였습니다.

[임신부 남편/음성변조 : "확진하고도 9일이 됐고, 격리해제된 산모고, 지금 양수 터지고 위급하니 수술부터 해달라고 했는데 이관을 계속 생각하시더라고요."]

밀접접촉자인 임신부의 사정도 크게 다르진 않습니다.

또 다른 임신부 이 모 씨.

가족이 확진자라는 이유로 받아주는 병원이 없어 구급차량에서 6시간 넘게 수소문한 끝에야 분만 병상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임신부 가족 : "(구급차 안에서) 아기를 낳더라도 아기를 받아줄 수 있는 병원이 없다는 식으로 얘기하는 거야, 그거 참 황당한 얘기가..."]

확진 후 격리 해제되거나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는 환자에 대해 진료를 거부하는 것은 의료법 위반입니다.

정부는 이들뿐 아니라 확진 임신부라도 다니던 병원에서 출산할 수 있도록 일선 병원에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현장에선 난색을 표시합니다.

[신봉식/대한분만병원학회장 : "환자를 받았다가 그로 인해서 병원의 감염이 일어나게 되면 그 다음에 벌어질 민원에 대해서 일선 병원들에서는 감당할 수가 없습니다."]

방역 전문가들은 오미크론 특성에 맞춰 일선 의료진들이 코로나19 확진자나 의심 환자를 대하는 방침을 전환해야 한다고 권고합니다.

KBS 뉴스 석혜원입니다.

촬영기자:김준우/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김지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