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부산지역 득표율 분석해보니…승부처는?

입력 2022.03.10 (19:24) 수정 2022.03.10 (20: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앞서 보셨다시피, 이번 대통령선거 과정에서 민주당은 '정치 교체'를, 국민의힘은 '정권 심판'을 내세워 지지를 호소했는데요.

전국적으로는 1%p도 안 되는 득표율 차지만, 부산 득표율을 보면 '정권 심판' 열망이 더 강했던 것으로 풀이됩니다.

취재기자와 함께 부산지역 득표율 현황을 좀 더 분석해보겠습니다.

스튜디오에 노준철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세요!

이번 대선,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초박빙 접전 끝에 승리했는데, 부산지역 득표율을 보면, 득표율 차이가 더 벌어졌네요?

부산은 윤석열 당선인의 강세가 뚜렷했죠?

[기자]

사실 민주당이든, 국민의힘이든, 부산에서 윤석열 당선인이 더 많은 표를 가져갈 것이라는 건 모두 예상했죠.

다만, 득표율이 어느 정도냐가 관건이었습니다.

앞서 리포트에서 보셨지만 선거 기간, 민주당 부산선대위는 부산 득표율 예상치이자, 현실적인 목표를 40%로 잡았습니다.

국민의힘 부산선대위는 최소 60%는 넘긴다고 장담했거든요?

대선 득표율 다시 한번 보시죠!

윤석열 당선인의 부산 득표율은 58.25%, 이재명 후보의 득표율은 38.15%였습니다.

양당 모두 목표치보다 2%p가량 밑도는 수준인데요.

구체적으로 지역별로 더 살펴봤더니 윤 당선인은 부산 모든 구·군에서 득표율 50%를 넘겼고요.

특히 해운대구 60.9%, 수영구 60.8%, 금정구 60.7%, 서구 60%, 이렇게 4개 구는 60%를 넘겼습니다.

지역 구도가 다소 약해지긴 했다지만, 적어도 부산에서만큼은 '정권 심판'이 확실히 더 우세했다는 게 다시 한번 확인됐습니다.

[앵커]

결과는 이렇지만, 선거 과정도 되짚어보겠습니다.

부산이 또 하나의 승부처가 될 것이란 전망도 많았죠?

[기자]

네, 공식 선거운동 기간 여야 양강 후보들이 똑같이 세 번씩 부산을 다녀갔습니다.

전략적 요충지, 부산에 들인 공은 비슷했다 봅니다.

또 확실한 3파전까지는 아니었지만, 부산에서는 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윤석열,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지지세는 꾸준했습니다.

이재명 후보는 부산 출신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의 고향, 정치적 고향이라는 점을 등에 업었고요.

윤석열 당선인은 전통적인 보수층이 많은 부산에서 정권 교체 분위기를 탔고, 안철수 후보는 부산에서 나고 자란 부산 토박이로, 각각 고정 지지층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승부처 중 하나죠.

사전투표 직전 윤석열 당선인이 안철수 후보와 단일화에 성공했습니다.

이 야권 단일화가 부산 유권자들의 결심에 제법 큰 영향을 줬고 야권에 더 유리한 선거 구도를 만들었다, 이렇게 볼 수 있겠습니다.

[앵커]

그리고 후보들의 지역 정책, 꼼꼼히 챙겨야 하죠.

여야 대선 후보들이 부산을 찾았을 때 지역 정책 공약도 발표했는데요.

부산에서 정책 선거가 자리 잡았나요?

[기자]

네, 부산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지역 정책, 놓쳐서는 안 되죠.

반드시 짚어봐야 할 부분입니다.

그런데 아쉬운 게, 대선 후보가 낸 부산 공약이 대부분 비슷했습니다.

공약 비교 그래픽 한 번 보시죠.

양강 후보가 발표한 부산 공약을 보면 가덕신공항부터 2030 월드엑스포, 부·울·경 메가시티까지 우선순위만 다를 뿐, 정책 차별화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그만큼 이런 정책 공약이 부산의 미래고, 숙원이다, 이렇게 볼 수는 있겠습니다.

하지만 정책 대결은 심심하게 끝났고, 그래서 후보별 정책 공약이 지지 후보를 바꿀 만한 핵심 변수로까지 자리 잡진 못했습니다.

[앵커]

그리고 대선의 중요 변수였던 2030 청년들의 표심 향방, 이 부분도 여야가 어떻게 대응했는지, 되짚어봐야죠?

[기자]

네, 맞습니다.

지난해 부산시장 보궐선거 때부터 크게 두드러진 부분인데, 2030세대 표심 변화가 투표 지형을 바꾼다는 분석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대선을 앞두고 여야 선대위마다 청년층 표심 확보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이 때문에 민주당 부산선대위는 청년 상임선대위원장 5명을 주축으로 2030 선대위까지 따로 꾸렸고요.

이에 맞서 국민의힘 부산선대위는 39살 이하로 꾸려진 청년대변인단과 청년보좌역을 운영했습니다.

2030 청년들이 선거 전면에서 직접 뛰며, 청년의 시선으로, 청년의 삶에 보탬이 되는, 지역 맞춤형 청년 정책을 내놓는 모습이었습니다.

선거 전략이었을지라도 청년 정책을 짜는 여야 부산선대위의 고심과 대응, 바람직한 사례였다 봅니다.

[앵커]

우리 시대의 주인공, 청년들이 소외 받지 않게 앞으로 선거에서도 이런 청년이 중심에 선 정책 대결이 펼쳐지길 기대합니다.

보도국 노준철 기자와 함께했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선 부산지역 득표율 분석해보니…승부처는?
    • 입력 2022-03-10 19:24:16
    • 수정2022-03-10 20:49:55
    뉴스7(부산)
[앵커]

앞서 보셨다시피, 이번 대통령선거 과정에서 민주당은 '정치 교체'를, 국민의힘은 '정권 심판'을 내세워 지지를 호소했는데요.

전국적으로는 1%p도 안 되는 득표율 차지만, 부산 득표율을 보면 '정권 심판' 열망이 더 강했던 것으로 풀이됩니다.

취재기자와 함께 부산지역 득표율 현황을 좀 더 분석해보겠습니다.

스튜디오에 노준철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세요!

이번 대선,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초박빙 접전 끝에 승리했는데, 부산지역 득표율을 보면, 득표율 차이가 더 벌어졌네요?

부산은 윤석열 당선인의 강세가 뚜렷했죠?

[기자]

사실 민주당이든, 국민의힘이든, 부산에서 윤석열 당선인이 더 많은 표를 가져갈 것이라는 건 모두 예상했죠.

다만, 득표율이 어느 정도냐가 관건이었습니다.

앞서 리포트에서 보셨지만 선거 기간, 민주당 부산선대위는 부산 득표율 예상치이자, 현실적인 목표를 40%로 잡았습니다.

국민의힘 부산선대위는 최소 60%는 넘긴다고 장담했거든요?

대선 득표율 다시 한번 보시죠!

윤석열 당선인의 부산 득표율은 58.25%, 이재명 후보의 득표율은 38.15%였습니다.

양당 모두 목표치보다 2%p가량 밑도는 수준인데요.

구체적으로 지역별로 더 살펴봤더니 윤 당선인은 부산 모든 구·군에서 득표율 50%를 넘겼고요.

특히 해운대구 60.9%, 수영구 60.8%, 금정구 60.7%, 서구 60%, 이렇게 4개 구는 60%를 넘겼습니다.

지역 구도가 다소 약해지긴 했다지만, 적어도 부산에서만큼은 '정권 심판'이 확실히 더 우세했다는 게 다시 한번 확인됐습니다.

[앵커]

결과는 이렇지만, 선거 과정도 되짚어보겠습니다.

부산이 또 하나의 승부처가 될 것이란 전망도 많았죠?

[기자]

네, 공식 선거운동 기간 여야 양강 후보들이 똑같이 세 번씩 부산을 다녀갔습니다.

전략적 요충지, 부산에 들인 공은 비슷했다 봅니다.

또 확실한 3파전까지는 아니었지만, 부산에서는 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윤석열,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지지세는 꾸준했습니다.

이재명 후보는 부산 출신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의 고향, 정치적 고향이라는 점을 등에 업었고요.

윤석열 당선인은 전통적인 보수층이 많은 부산에서 정권 교체 분위기를 탔고, 안철수 후보는 부산에서 나고 자란 부산 토박이로, 각각 고정 지지층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승부처 중 하나죠.

사전투표 직전 윤석열 당선인이 안철수 후보와 단일화에 성공했습니다.

이 야권 단일화가 부산 유권자들의 결심에 제법 큰 영향을 줬고 야권에 더 유리한 선거 구도를 만들었다, 이렇게 볼 수 있겠습니다.

[앵커]

그리고 후보들의 지역 정책, 꼼꼼히 챙겨야 하죠.

여야 대선 후보들이 부산을 찾았을 때 지역 정책 공약도 발표했는데요.

부산에서 정책 선거가 자리 잡았나요?

[기자]

네, 부산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지역 정책, 놓쳐서는 안 되죠.

반드시 짚어봐야 할 부분입니다.

그런데 아쉬운 게, 대선 후보가 낸 부산 공약이 대부분 비슷했습니다.

공약 비교 그래픽 한 번 보시죠.

양강 후보가 발표한 부산 공약을 보면 가덕신공항부터 2030 월드엑스포, 부·울·경 메가시티까지 우선순위만 다를 뿐, 정책 차별화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그만큼 이런 정책 공약이 부산의 미래고, 숙원이다, 이렇게 볼 수는 있겠습니다.

하지만 정책 대결은 심심하게 끝났고, 그래서 후보별 정책 공약이 지지 후보를 바꿀 만한 핵심 변수로까지 자리 잡진 못했습니다.

[앵커]

그리고 대선의 중요 변수였던 2030 청년들의 표심 향방, 이 부분도 여야가 어떻게 대응했는지, 되짚어봐야죠?

[기자]

네, 맞습니다.

지난해 부산시장 보궐선거 때부터 크게 두드러진 부분인데, 2030세대 표심 변화가 투표 지형을 바꾼다는 분석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대선을 앞두고 여야 선대위마다 청년층 표심 확보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이 때문에 민주당 부산선대위는 청년 상임선대위원장 5명을 주축으로 2030 선대위까지 따로 꾸렸고요.

이에 맞서 국민의힘 부산선대위는 39살 이하로 꾸려진 청년대변인단과 청년보좌역을 운영했습니다.

2030 청년들이 선거 전면에서 직접 뛰며, 청년의 시선으로, 청년의 삶에 보탬이 되는, 지역 맞춤형 청년 정책을 내놓는 모습이었습니다.

선거 전략이었을지라도 청년 정책을 짜는 여야 부산선대위의 고심과 대응, 바람직한 사례였다 봅니다.

[앵커]

우리 시대의 주인공, 청년들이 소외 받지 않게 앞으로 선거에서도 이런 청년이 중심에 선 정책 대결이 펼쳐지길 기대합니다.

보도국 노준철 기자와 함께했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