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죽음의 땅’ 만드는 산불…생태계 복원 최소 ‘100년’

입력 2022.04.04 (21:46) 수정 2022.04.04 (22: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보신 것처럼, 피해 주민들도 걱정이지만 산림 피해도 만만치 않습니다.

불에 탄 숲만 서울 면적의 3분의 1이 넘는데 온전하게 회복되려면 100년이 넘게 걸릴 거란 분석이 나옵니다.

산불 피해 현장에, 박영민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열흘 동안 화마가 휩쓸고 간 경북 울진.

온 산에 먹칠을 한 듯 검게 변했고, 나무들은 앙상한 가지만 남았습니다.

불길이 비껴간 나무들도 잎이 누렇게 변해 죽어가고 있습니다.

[정창석/국립백두대간수목원 복원지원팀장 : "불길이 워낙 강력했기 때문에 대부분 고사할 거라고 그렇게 판단이 됩니다. 단계별로 고사하게 돼 있고요."]

이전에도 산불로 한차례 잿더미가 됐던 이 숲은 십여 년 노력으로 가까스로 되살아나는 듯 했지만, 이번 산불로 또다시 생명력을 잃었습니다.

이곳은 2000년 동해안 산불로 피해를 입은 지역인데요.

이후 나무를 다시 심어서 15년가량 길러왔는데, 이번 산불로 모두 타버렸습니다.

양분을 공급해야 할 흙 속 유기물도 열기에 완전히 소실됐습니다.

[정창석/국립백두대간수목원 복원지원팀장 : "유기물층이나 표토층이 피해를 입었을 때, 회복되는데 100년 가까이 걸린다고 그런 얘기를 하더라고요. 다시 유기물이나 미생물이 돌아오는데는…."]

대형산불 3년 뒤의 숲은 어떤 모습일까.

천연 비료 역할을 하는 싸리나무가 조금씩 자리 잡으면서 회복하고는 있지만, 곳곳의 상흔이 여전합니다.

묘목을 만 그루나 심었지만, 회복률은 불과 20% 수준입니다.

[허태임/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박사 : "길게 봤을 때 30년 정도까지 돼야지 본래의 모습을 거의 찾을 건데…."]

산불 뒤 22년이 지나도 아직 후유증에 시달리긴 마찬가집니다.

겉은 숲의 모습을 되찾은 것 같지만, 속은 아직 나무들이 뿌리를 내리지 못한 곳이 많습니다.

[강원석/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박사 : "산사태의 기초적인 단계죠. 이렇게 내려가는. 아마 이게 면적이 컸다면 큰 재해가 일어날 수도 있는 상황인데…."]

작은 실수로 낸 산불이 앗아간 숲만 지난 10년간 만 천여 헥타르.

6천6백억 원의 경제적 손실은 물론, 산사태 등 2차 재난 위험과 온전한 복원까지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시간과 노력이 또 필요합니다.

KBS 뉴스 박영민입니다.

촬영기자:김형준/영상편집:이웅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르포] ‘죽음의 땅’ 만드는 산불…생태계 복원 최소 ‘100년’
    • 입력 2022-04-04 21:46:20
    • 수정2022-04-04 22:00:42
    뉴스 9
[앵커]

보신 것처럼, 피해 주민들도 걱정이지만 산림 피해도 만만치 않습니다.

불에 탄 숲만 서울 면적의 3분의 1이 넘는데 온전하게 회복되려면 100년이 넘게 걸릴 거란 분석이 나옵니다.

산불 피해 현장에, 박영민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열흘 동안 화마가 휩쓸고 간 경북 울진.

온 산에 먹칠을 한 듯 검게 변했고, 나무들은 앙상한 가지만 남았습니다.

불길이 비껴간 나무들도 잎이 누렇게 변해 죽어가고 있습니다.

[정창석/국립백두대간수목원 복원지원팀장 : "불길이 워낙 강력했기 때문에 대부분 고사할 거라고 그렇게 판단이 됩니다. 단계별로 고사하게 돼 있고요."]

이전에도 산불로 한차례 잿더미가 됐던 이 숲은 십여 년 노력으로 가까스로 되살아나는 듯 했지만, 이번 산불로 또다시 생명력을 잃었습니다.

이곳은 2000년 동해안 산불로 피해를 입은 지역인데요.

이후 나무를 다시 심어서 15년가량 길러왔는데, 이번 산불로 모두 타버렸습니다.

양분을 공급해야 할 흙 속 유기물도 열기에 완전히 소실됐습니다.

[정창석/국립백두대간수목원 복원지원팀장 : "유기물층이나 표토층이 피해를 입었을 때, 회복되는데 100년 가까이 걸린다고 그런 얘기를 하더라고요. 다시 유기물이나 미생물이 돌아오는데는…."]

대형산불 3년 뒤의 숲은 어떤 모습일까.

천연 비료 역할을 하는 싸리나무가 조금씩 자리 잡으면서 회복하고는 있지만, 곳곳의 상흔이 여전합니다.

묘목을 만 그루나 심었지만, 회복률은 불과 20% 수준입니다.

[허태임/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박사 : "길게 봤을 때 30년 정도까지 돼야지 본래의 모습을 거의 찾을 건데…."]

산불 뒤 22년이 지나도 아직 후유증에 시달리긴 마찬가집니다.

겉은 숲의 모습을 되찾은 것 같지만, 속은 아직 나무들이 뿌리를 내리지 못한 곳이 많습니다.

[강원석/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박사 : "산사태의 기초적인 단계죠. 이렇게 내려가는. 아마 이게 면적이 컸다면 큰 재해가 일어날 수도 있는 상황인데…."]

작은 실수로 낸 산불이 앗아간 숲만 지난 10년간 만 천여 헥타르.

6천6백억 원의 경제적 손실은 물론, 산사태 등 2차 재난 위험과 온전한 복원까지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시간과 노력이 또 필요합니다.

KBS 뉴스 박영민입니다.

촬영기자:김형준/영상편집:이웅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