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미세먼지’로 연간 ‘2만 3천 명 초과 사망’…대책은?

입력 2022.04.18 (21:49) 수정 2022.04.18 (21: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18일) 서울 등 내륙 지역 곳곳에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렸는데요.

이 초미세먼지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에서 한 해 평균 2만 명 넘게 ​목숨을 잃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미세먼지에 대한 정책도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
​이정훈 기상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탁 트였던 서울 도심이, 미세먼지에 온통 잿빛으로 변했습니다.

봄철이면 미세먼지가 기승이지만, 관심은 예전 같지 않습니다.

[이채린/서울시 노원구 : "요즘 미세먼지는 솔직히 생각 안 하고 사는 것 같아요. 마스크 쓰니까…."]

지난해 전국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세제곱미터 당 18마이크로그램, 공식 관측을 시작한 2015년 이후 가장 낮았습니다.

하지만 이 수치, 세계보건기구 권고치의 3배를 훌쩍 넘겼습니다.

1년 동안 우리가 마신 초미세먼지가 권고치보다 3배 넘게 많다는 얘기입니다.

이 초미세먼지가 우리 몸에 쌓이면 어떻게 될까요?

질병관리청 조사 결과, 지난 2019년 한 해 동안 초미세먼지로 인한 '초과 사망자'는 2만 3천 명이 넘습니다.

초과 사망, 그러니까 미세먼지가 없었다면 사망하지 않았을 사람을 말합니다.

주목할 게 있습니다.

미세먼지 하면 호흡기 질환이 가장 먼저 떠오르지만, 실제로는 뇌와 심장 질환이 더 많았습니다.

초미세먼지가 몸속 깊숙이 침투해서 염증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초미세먼지로 인한 초과 사망, 언제가 가장 위험할까요?

연구 결과, '연평균 농도' 차이가 건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고농도 미세먼지를 단기간 마시는 것보다, 농도가 낮더라도 장기간 노출돼 사망한 경우가 10배 이상 많았습니다.

고농도일 때만 피하면 된다는 기존 인식을 뒤집는 결과입니다.

[배상혁/가톨릭대 의대 교수 : "기준 이하면 영향이 없을 거다, 이렇게 생각을 했는데 연구를 계속 하다 보니까 기준 이하 농도에서도 계속해서 건강 영향이 나타나니까…."]

연평균 농도를 5마이크로그램만 낮춰도 초과 사망자도 해마다 5천 명 정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농도가 높을 때만 대책이 이뤄지는 미세먼지 정책을 평소 관리 체계로 바꿔야 하는 이유입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촬영기자:강승혁 서다은/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이경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초미세먼지’로 연간 ‘2만 3천 명 초과 사망’…대책은?
    • 입력 2022-04-18 21:49:36
    • 수정2022-04-18 21:56:08
    뉴스 9
[앵커]

오늘(18일) 서울 등 내륙 지역 곳곳에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렸는데요.

이 초미세먼지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에서 한 해 평균 2만 명 넘게 ​목숨을 잃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미세먼지에 대한 정책도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
​이정훈 기상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탁 트였던 서울 도심이, 미세먼지에 온통 잿빛으로 변했습니다.

봄철이면 미세먼지가 기승이지만, 관심은 예전 같지 않습니다.

[이채린/서울시 노원구 : "요즘 미세먼지는 솔직히 생각 안 하고 사는 것 같아요. 마스크 쓰니까…."]

지난해 전국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세제곱미터 당 18마이크로그램, 공식 관측을 시작한 2015년 이후 가장 낮았습니다.

하지만 이 수치, 세계보건기구 권고치의 3배를 훌쩍 넘겼습니다.

1년 동안 우리가 마신 초미세먼지가 권고치보다 3배 넘게 많다는 얘기입니다.

이 초미세먼지가 우리 몸에 쌓이면 어떻게 될까요?

질병관리청 조사 결과, 지난 2019년 한 해 동안 초미세먼지로 인한 '초과 사망자'는 2만 3천 명이 넘습니다.

초과 사망, 그러니까 미세먼지가 없었다면 사망하지 않았을 사람을 말합니다.

주목할 게 있습니다.

미세먼지 하면 호흡기 질환이 가장 먼저 떠오르지만, 실제로는 뇌와 심장 질환이 더 많았습니다.

초미세먼지가 몸속 깊숙이 침투해서 염증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초미세먼지로 인한 초과 사망, 언제가 가장 위험할까요?

연구 결과, '연평균 농도' 차이가 건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고농도 미세먼지를 단기간 마시는 것보다, 농도가 낮더라도 장기간 노출돼 사망한 경우가 10배 이상 많았습니다.

고농도일 때만 피하면 된다는 기존 인식을 뒤집는 결과입니다.

[배상혁/가톨릭대 의대 교수 : "기준 이하면 영향이 없을 거다, 이렇게 생각을 했는데 연구를 계속 하다 보니까 기준 이하 농도에서도 계속해서 건강 영향이 나타나니까…."]

연평균 농도를 5마이크로그램만 낮춰도 초과 사망자도 해마다 5천 명 정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농도가 높을 때만 대책이 이뤄지는 미세먼지 정책을 평소 관리 체계로 바꿔야 하는 이유입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촬영기자:강승혁 서다은/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이경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