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기호 없어 ‘난감’…“누굴 찍을지 모르겠어요”

입력 2022.06.01 (07:09) 수정 2022.06.01 (07: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1일)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선 17개 시도의 지방 교육을 책임지는 교육감도 함께 뽑습니다.

막대한 예산과 인사권은 물론 아이들의 미래인 교육을 책임져야 할 중요한 자리지만, 교육감 선거 때마다 어떤 후보가 나왔고 정책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제대로 알지 못한다는 유권자들이 많습니다.

왜 그런지, 대안은 없는지 김민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7개 시도 교육감 후보는 모두 57명.

경기와 부산, 대구 등 7개 시도에선 양자 대결인 반면 서울에서는 6명의 후보가 출마했습니다.

진보 진영은 단일화를 이뤘지만 중도, 보수 진영 후보들은 단일화가 무산됐습니다.

단일화 논의에 묻혀 고교학점제와 자율형사립고의 일반고 전환 등 정책 이슈는 빛을 바랬고, 시민들의 관심도 그리 크지 않았습니다.

[이기성/서울 양천구 : "(선거 공보물) 내용들이 이렇게 좀 들어오진 않더라고요. 어떤 정책이 어떻게 펼쳐지는지 확실하게 체감을 잘 못해 가지고..."]

[정유진/서울 용산구 : "저한테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시는 분들이 아니시니까 잘 모르기도 하고 해서 좀 어려움이 있는 것 같아요."]

실제 여론조사 결과를 봐도 지지 후보가 없거나 모르겠단 응답 비율이 서울에선 열에 4명이 넘고, 경기에선 5명이 넘습니다.

선거 제도도 유권자들의 선택을 어렵게 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교육감 투표 용지에는 기호나 정당이 없습니다.

후보자 이름들이 나열돼 있고, 선거구마다 순서도 다릅니다.

지지하는 후보 이름을 모르면 투표가 쉽지 않은 상황.

그럼에도 지금과 같은 무관심이 계속된다면, '지방교육 자치'라는 교육감 직선제의 도입 취지가 퇴색될 거란 지적이 나옵니다.

이때문에 앞으로 학부모나 교사 등 교육 이해관계자들이 투표하는 제한적인 주민 직선제와 전문가들의 간접 선출 방안도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송기창/숙명여대 교육학과 교수 : "교육감 선거가 왜 중요한지, 선거 전에 그 지역 주민들한테 알릴 그런 기회가 필요한 것 같고요. 후보들의 공약을 찬찬히 읽어 보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17개 시도 교육감이 한해 집행하는 예산은 82조 원, 교사와 공무원 등 45만여 명의 인사권도 갖고 있습니다.

미래 교육을 결정할 교육감 선거가 오늘(1일) 실시됩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영상편집:신남규/그래픽:서수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당·기호 없어 ‘난감’…“누굴 찍을지 모르겠어요”
    • 입력 2022-06-01 07:09:28
    • 수정2022-06-01 07:54:41
    뉴스광장
[앵커]

오늘(1일)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선 17개 시도의 지방 교육을 책임지는 교육감도 함께 뽑습니다.

막대한 예산과 인사권은 물론 아이들의 미래인 교육을 책임져야 할 중요한 자리지만, 교육감 선거 때마다 어떤 후보가 나왔고 정책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제대로 알지 못한다는 유권자들이 많습니다.

왜 그런지, 대안은 없는지 김민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7개 시도 교육감 후보는 모두 57명.

경기와 부산, 대구 등 7개 시도에선 양자 대결인 반면 서울에서는 6명의 후보가 출마했습니다.

진보 진영은 단일화를 이뤘지만 중도, 보수 진영 후보들은 단일화가 무산됐습니다.

단일화 논의에 묻혀 고교학점제와 자율형사립고의 일반고 전환 등 정책 이슈는 빛을 바랬고, 시민들의 관심도 그리 크지 않았습니다.

[이기성/서울 양천구 : "(선거 공보물) 내용들이 이렇게 좀 들어오진 않더라고요. 어떤 정책이 어떻게 펼쳐지는지 확실하게 체감을 잘 못해 가지고..."]

[정유진/서울 용산구 : "저한테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시는 분들이 아니시니까 잘 모르기도 하고 해서 좀 어려움이 있는 것 같아요."]

실제 여론조사 결과를 봐도 지지 후보가 없거나 모르겠단 응답 비율이 서울에선 열에 4명이 넘고, 경기에선 5명이 넘습니다.

선거 제도도 유권자들의 선택을 어렵게 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교육감 투표 용지에는 기호나 정당이 없습니다.

후보자 이름들이 나열돼 있고, 선거구마다 순서도 다릅니다.

지지하는 후보 이름을 모르면 투표가 쉽지 않은 상황.

그럼에도 지금과 같은 무관심이 계속된다면, '지방교육 자치'라는 교육감 직선제의 도입 취지가 퇴색될 거란 지적이 나옵니다.

이때문에 앞으로 학부모나 교사 등 교육 이해관계자들이 투표하는 제한적인 주민 직선제와 전문가들의 간접 선출 방안도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송기창/숙명여대 교육학과 교수 : "교육감 선거가 왜 중요한지, 선거 전에 그 지역 주민들한테 알릴 그런 기회가 필요한 것 같고요. 후보들의 공약을 찬찬히 읽어 보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17개 시도 교육감이 한해 집행하는 예산은 82조 원, 교사와 공무원 등 45만여 명의 인사권도 갖고 있습니다.

미래 교육을 결정할 교육감 선거가 오늘(1일) 실시됩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영상편집:신남규/그래픽:서수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패럴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