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뜨거워지는 바다…양식업 ‘적신호’
입력 2022.10.10 (07:39) 수정 2022.10.10 (09:07) 뉴스광장(전주)
[앵커]
기후위기로 해양 온난화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더구나 우리나라 해역의 수온 상승 폭은 전 세계 바다 평균보다 훨씬 큰데요,
이 추세대로라면, 독성 해파리는 더 자주, 패류독소는 더 일찍 생기는데, 미래 양식업에 나쁜 영향을 미치진 않을지 걱정입니다.
이 소식은 부산총국 이이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기장 앞바다 미역 양식장으로 어선이 출발합니다.
다음 달 미역 심기를 앞두고 양식장 상태를 확인하는 겁니다.
수확철이 다가왔지만, 양식 어민의 마음은 무겁습니다.
수확 시기가 늦어지고, 생산성이 떨어져 미역 양식이 예전 같지 않기 때문입니다.
바다 수온이 높아진 탓입니다.
[이방훈/부산광역시 기장군 : "동해 쪽 끝자락의 기장 미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생산이 자꾸 늦어져서 채산성이 없어진다는 거고, 경쟁력이 약해진다는…."]
국립수산과학원이 지난 54년간의 바다 기후와 수산 자원의 변화를 분석했습니다.
실크 우리나라 해역의 수온은 1.35도 올랐는데, 같은 기간, 전 세계 해역의 평균 수온은 0.52도 상승해 국내 앞바다가 2.5배 더 뜨거워졌습니다.
수온 상승으로 바닷속 염분과 영양염 농도는 낮아졌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식물 플랑크톤은 늘었습니다.
먹이사슬 생태계가 바뀌어 생육 환경도 나빠졌습니다.
3~4월 봄철에 나오던 마비성 패류독소 발생 시기가 1~2월로 앞당겨졌고, 독성 해파리 출몰은 잦아졌습니다.
양식업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한인성/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연구관 : "우리나라가 굉장히 해양 온난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양식 적지를 찾거나 고수온에 적합한 품종을 개발하는 부분이 선행돼야 할 것 같습니다."]
2050년, 우리나라 연근해 수온은 지금보다 1~2도 더, 2100년에는 2~4도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가 수산업에 미칠 영향에 앞서 대비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됩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그래픽:김명진
기후위기로 해양 온난화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더구나 우리나라 해역의 수온 상승 폭은 전 세계 바다 평균보다 훨씬 큰데요,
이 추세대로라면, 독성 해파리는 더 자주, 패류독소는 더 일찍 생기는데, 미래 양식업에 나쁜 영향을 미치진 않을지 걱정입니다.
이 소식은 부산총국 이이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기장 앞바다 미역 양식장으로 어선이 출발합니다.
다음 달 미역 심기를 앞두고 양식장 상태를 확인하는 겁니다.
수확철이 다가왔지만, 양식 어민의 마음은 무겁습니다.
수확 시기가 늦어지고, 생산성이 떨어져 미역 양식이 예전 같지 않기 때문입니다.
바다 수온이 높아진 탓입니다.
[이방훈/부산광역시 기장군 : "동해 쪽 끝자락의 기장 미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생산이 자꾸 늦어져서 채산성이 없어진다는 거고, 경쟁력이 약해진다는…."]
국립수산과학원이 지난 54년간의 바다 기후와 수산 자원의 변화를 분석했습니다.
실크 우리나라 해역의 수온은 1.35도 올랐는데, 같은 기간, 전 세계 해역의 평균 수온은 0.52도 상승해 국내 앞바다가 2.5배 더 뜨거워졌습니다.
수온 상승으로 바닷속 염분과 영양염 농도는 낮아졌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식물 플랑크톤은 늘었습니다.
먹이사슬 생태계가 바뀌어 생육 환경도 나빠졌습니다.
3~4월 봄철에 나오던 마비성 패류독소 발생 시기가 1~2월로 앞당겨졌고, 독성 해파리 출몰은 잦아졌습니다.
양식업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한인성/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연구관 : "우리나라가 굉장히 해양 온난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양식 적지를 찾거나 고수온에 적합한 품종을 개발하는 부분이 선행돼야 할 것 같습니다."]
2050년, 우리나라 연근해 수온은 지금보다 1~2도 더, 2100년에는 2~4도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가 수산업에 미칠 영향에 앞서 대비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됩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그래픽:김명진
- 뜨거워지는 바다…양식업 ‘적신호’
-
- 입력 2022-10-10 07:39:37
- 수정2022-10-10 09:07:31

[앵커]
기후위기로 해양 온난화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더구나 우리나라 해역의 수온 상승 폭은 전 세계 바다 평균보다 훨씬 큰데요,
이 추세대로라면, 독성 해파리는 더 자주, 패류독소는 더 일찍 생기는데, 미래 양식업에 나쁜 영향을 미치진 않을지 걱정입니다.
이 소식은 부산총국 이이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기장 앞바다 미역 양식장으로 어선이 출발합니다.
다음 달 미역 심기를 앞두고 양식장 상태를 확인하는 겁니다.
수확철이 다가왔지만, 양식 어민의 마음은 무겁습니다.
수확 시기가 늦어지고, 생산성이 떨어져 미역 양식이 예전 같지 않기 때문입니다.
바다 수온이 높아진 탓입니다.
[이방훈/부산광역시 기장군 : "동해 쪽 끝자락의 기장 미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생산이 자꾸 늦어져서 채산성이 없어진다는 거고, 경쟁력이 약해진다는…."]
국립수산과학원이 지난 54년간의 바다 기후와 수산 자원의 변화를 분석했습니다.
실크 우리나라 해역의 수온은 1.35도 올랐는데, 같은 기간, 전 세계 해역의 평균 수온은 0.52도 상승해 국내 앞바다가 2.5배 더 뜨거워졌습니다.
수온 상승으로 바닷속 염분과 영양염 농도는 낮아졌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식물 플랑크톤은 늘었습니다.
먹이사슬 생태계가 바뀌어 생육 환경도 나빠졌습니다.
3~4월 봄철에 나오던 마비성 패류독소 발생 시기가 1~2월로 앞당겨졌고, 독성 해파리 출몰은 잦아졌습니다.
양식업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한인성/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연구관 : "우리나라가 굉장히 해양 온난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양식 적지를 찾거나 고수온에 적합한 품종을 개발하는 부분이 선행돼야 할 것 같습니다."]
2050년, 우리나라 연근해 수온은 지금보다 1~2도 더, 2100년에는 2~4도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가 수산업에 미칠 영향에 앞서 대비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됩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그래픽:김명진
기후위기로 해양 온난화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더구나 우리나라 해역의 수온 상승 폭은 전 세계 바다 평균보다 훨씬 큰데요,
이 추세대로라면, 독성 해파리는 더 자주, 패류독소는 더 일찍 생기는데, 미래 양식업에 나쁜 영향을 미치진 않을지 걱정입니다.
이 소식은 부산총국 이이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기장 앞바다 미역 양식장으로 어선이 출발합니다.
다음 달 미역 심기를 앞두고 양식장 상태를 확인하는 겁니다.
수확철이 다가왔지만, 양식 어민의 마음은 무겁습니다.
수확 시기가 늦어지고, 생산성이 떨어져 미역 양식이 예전 같지 않기 때문입니다.
바다 수온이 높아진 탓입니다.
[이방훈/부산광역시 기장군 : "동해 쪽 끝자락의 기장 미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생산이 자꾸 늦어져서 채산성이 없어진다는 거고, 경쟁력이 약해진다는…."]
국립수산과학원이 지난 54년간의 바다 기후와 수산 자원의 변화를 분석했습니다.
실크 우리나라 해역의 수온은 1.35도 올랐는데, 같은 기간, 전 세계 해역의 평균 수온은 0.52도 상승해 국내 앞바다가 2.5배 더 뜨거워졌습니다.
수온 상승으로 바닷속 염분과 영양염 농도는 낮아졌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식물 플랑크톤은 늘었습니다.
먹이사슬 생태계가 바뀌어 생육 환경도 나빠졌습니다.
3~4월 봄철에 나오던 마비성 패류독소 발생 시기가 1~2월로 앞당겨졌고, 독성 해파리 출몰은 잦아졌습니다.
양식업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한인성/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연구관 : "우리나라가 굉장히 해양 온난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양식 적지를 찾거나 고수온에 적합한 품종을 개발하는 부분이 선행돼야 할 것 같습니다."]
2050년, 우리나라 연근해 수온은 지금보다 1~2도 더, 2100년에는 2~4도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가 수산업에 미칠 영향에 앞서 대비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됩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그래픽:김명진
뉴스광장(전주)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이이슬 기자 eslee31@kbs.co.kr
이이슬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