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한 총리 “SNS에 사상자 혐오 발언 등 공유…절대 자제해야”

입력 2022.10.31 (09:13) 수정 2022.10.31 (09: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일부에서 인터넷, SNS 등을 통해 사상자들을 혐오하는 발언이나 허위 조작 정보, 자극적인 사고 장면을 공유하고 있다”며 “이러한 행동은 절대 자제해 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밝혔습니다.

한 총리는 오늘(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사상자 구조에 애쓴 구조 인력들의 노고와 현장에서 자발적으로 도움을 주신 시민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한 총리는 ‘이태원 압사 참사’로 숨진 154명 가운데 1명을 제외하고 신원 확인이 마무리됐고, 이제는 장례 절차 등 후속 조치가 본격적으로 이뤄져야 하는 시점이라며 “유가족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해 필요한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정부는 사고 발생 이후 ‘이태원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즉시 가동하고, 서울시 용산구를 특별재난지역으로 하는 등 사고 수습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지방에 거주하는 유가족에 대한 지원과 외국인 사망자 가족들의 입국 지원 등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대통령 지시에 따라 어제부터 11월 5일 24시까지를 국가 애도 기간으로 정했고, 합동분향소도 오늘 아침부터 운영에 들어간다”며 “서울시와 용산구는 합동분향소 운영과 사상자 지원 등 사고 수습에 더욱 박차를 가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한 총리는 “정부는 이번 사고의 원인을 철저히 조사해 이와 같은 불행한 사고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필요한 제도 개선에도 최선을 다하겠다”며 “정부와 지자체, 관계기관, 의료기관은 함께 힘을 모아 마지막 순간까지 사고 수습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영상] 한 총리 “SNS에 사상자 혐오 발언 등 공유…절대 자제해야”
    • 입력 2022-10-31 09:13:02
    • 수정2022-10-31 09:13:26
    정치
한덕수 국무총리가 “일부에서 인터넷, SNS 등을 통해 사상자들을 혐오하는 발언이나 허위 조작 정보, 자극적인 사고 장면을 공유하고 있다”며 “이러한 행동은 절대 자제해 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밝혔습니다.

한 총리는 오늘(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사상자 구조에 애쓴 구조 인력들의 노고와 현장에서 자발적으로 도움을 주신 시민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한 총리는 ‘이태원 압사 참사’로 숨진 154명 가운데 1명을 제외하고 신원 확인이 마무리됐고, 이제는 장례 절차 등 후속 조치가 본격적으로 이뤄져야 하는 시점이라며 “유가족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해 필요한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정부는 사고 발생 이후 ‘이태원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즉시 가동하고, 서울시 용산구를 특별재난지역으로 하는 등 사고 수습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지방에 거주하는 유가족에 대한 지원과 외국인 사망자 가족들의 입국 지원 등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대통령 지시에 따라 어제부터 11월 5일 24시까지를 국가 애도 기간으로 정했고, 합동분향소도 오늘 아침부터 운영에 들어간다”며 “서울시와 용산구는 합동분향소 운영과 사상자 지원 등 사고 수습에 더욱 박차를 가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한 총리는 “정부는 이번 사고의 원인을 철저히 조사해 이와 같은 불행한 사고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필요한 제도 개선에도 최선을 다하겠다”며 “정부와 지자체, 관계기관, 의료기관은 함께 힘을 모아 마지막 순간까지 사고 수습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KBS는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위해 자유로운 댓글 작성을 지지합니다.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