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사고’ 악용 해킹메일·문자메시지 주의

입력 2022.11.01 (18:00) 수정 2022.11.01 (18: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이태원 사고를 틈타 이를 악용한 해킹 메일이나 악성 코드 등을 유포하는 시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용자들의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습니다.

인터넷진흥원은 최근 ‘이태원 사고 대처상황 보고서’란 내용으로 위장한 악성문서를 발견했다면서 사고로 인한 혼란을 틈타 정부나 공공기관 등을 사칭한 해킹 메일이나 문자메시지 등을 유포해 악성코드 설치를 시도가 경우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인터넷진흥원은 발신자의 주소를 정확히 확인하고 확인되지 않은 이메일과 첨부파일은 열어보지 않을 것을 권고했습니다.

또, 출처가 불분명한 사이트 주소나 첨부 파일은 클릭 또는 다운로드를 자제하고 바로 삭제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아울러 PC나 스마폰의 보안을 강화하고 운영체제는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할 것과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을 활용해 수시로 PC 등의 검사를 진행해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인터넷진흥원은 해킹 시도가 의심되는 메일이나 메시지를 받은 경우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인터넷 보호나라 홈페이지(www.boho.or.kr), 또는 신고센터(국번없이 118)를 통해 바로 신고해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과기정통부 재난문자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태원 사고’ 악용 해킹메일·문자메시지 주의
    • 입력 2022-11-01 18:00:06
    • 수정2022-11-01 18:04:01
    IT·과학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이태원 사고를 틈타 이를 악용한 해킹 메일이나 악성 코드 등을 유포하는 시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용자들의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습니다.

인터넷진흥원은 최근 ‘이태원 사고 대처상황 보고서’란 내용으로 위장한 악성문서를 발견했다면서 사고로 인한 혼란을 틈타 정부나 공공기관 등을 사칭한 해킹 메일이나 문자메시지 등을 유포해 악성코드 설치를 시도가 경우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인터넷진흥원은 발신자의 주소를 정확히 확인하고 확인되지 않은 이메일과 첨부파일은 열어보지 않을 것을 권고했습니다.

또, 출처가 불분명한 사이트 주소나 첨부 파일은 클릭 또는 다운로드를 자제하고 바로 삭제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아울러 PC나 스마폰의 보안을 강화하고 운영체제는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할 것과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을 활용해 수시로 PC 등의 검사를 진행해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인터넷진흥원은 해킹 시도가 의심되는 메일이나 메시지를 받은 경우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인터넷 보호나라 홈페이지(www.boho.or.kr), 또는 신고센터(국번없이 118)를 통해 바로 신고해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과기정통부 재난문자 캡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KBS는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위해 자유로운 댓글 작성을 지지합니다.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