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사 당시 재난단말기 있었지만…“기관 간 소통 제때 안됐다”

입력 2022.11.04 (21:16) 수정 2022.11.04 (21: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세월호 참사 당시 소방과 해경 등이 서로 다른 통신망을 쓰면서 희생이 커졌다는 지적에 정부는 지난해 관계 기관들이 함께 쓰는 '재난안전통신망'을 만들었습니다.

예산만 1조 5천억 원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정작 '이태원 참사' 때 기관들은 제때, 제대로 소통하지 않았습니다.

전현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4세대 무선통신기술이 적용된 재난안전통신망 전용 단말기입니다.

'이태원 참사' 당시 통신 내역을 확인해봤습니다.

먼저 재난안전 주무 부처 행안부 중앙재난상황실 통신을 보니, 실제 통신을 했는지 의심이 되는 '0초'짜리만 기록돼 있습니다.

용산구 재난상황실도 0초 또는 1초 통신이 대부분입니다.

그나마 서울시 재난상황실 통신 기록이 많지만 첫 참사 신고가 접수된 지 1시간 반 뒤에야 '1초 통신'이 기록돼 있습니다.

다시 2시간 뒤에야 4~5초 이상 실제 통신이 오갔을 것으로 보이는 기록들이 나옵니다.

[서울 용산구청 관계자/음성변조 : "부서마다 하나씩 있으면 통신 운영을 하겠지만은 지금 그런 상황은 아니고 지금 보급 중인 거죠."]

용산구 관계자는 이태원 참사 당시 소방과 경찰이 보내온 통신은 전혀 없었다고 말합니다.

[서울 용산구청 관계자/음성변조 : "소방이나 경찰로부터 전파를 받아야 되잖아요. 이거(단말기)를 통해가지고, 근데 이걸로는 온 게 없었습니다."]

실제 용산구청에는 21개의 단말기가 지급됐고, 용산소방서에는 81개 단말기가 지급됐지만 사실상 무용지물이었습니다.

[서울 용산소방서 관계자/음성변조 : "아직 구축이 안 돼 있어요. 지금 이제 하고 있는 중인데… 저희는 훈련만 하고 있어요. 사용법 같은 경우도 익혀야 하니까."]

경찰도 현장에 1,500대의 단말기를 갖고 있었지만, 내부 통신용이었을 뿐 원래 취지인 다른 기관과의 단일 통신기구로는 활용되지 못했습니다.

[방문규/국무조정실장 : "효과적으로 구축된 재난통신망이 이런 재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한 것에 대해서 참으로 안타깝다고 생각이 되고..."]

1조 5천억 원을 들여 전국에 보급한 단말기만 20만 대, 정부는 왜 실제 현장에선 쓰이지 못했는지 조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전현우입니다.

촬영기자:안민식/영상편집:고응용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참사 당시 재난단말기 있었지만…“기관 간 소통 제때 안됐다”
    • 입력 2022-11-04 21:16:50
    • 수정2022-11-04 21:25:48
    뉴스 9
[앵커]

세월호 참사 당시 소방과 해경 등이 서로 다른 통신망을 쓰면서 희생이 커졌다는 지적에 정부는 지난해 관계 기관들이 함께 쓰는 '재난안전통신망'을 만들었습니다.

예산만 1조 5천억 원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정작 '이태원 참사' 때 기관들은 제때, 제대로 소통하지 않았습니다.

전현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4세대 무선통신기술이 적용된 재난안전통신망 전용 단말기입니다.

'이태원 참사' 당시 통신 내역을 확인해봤습니다.

먼저 재난안전 주무 부처 행안부 중앙재난상황실 통신을 보니, 실제 통신을 했는지 의심이 되는 '0초'짜리만 기록돼 있습니다.

용산구 재난상황실도 0초 또는 1초 통신이 대부분입니다.

그나마 서울시 재난상황실 통신 기록이 많지만 첫 참사 신고가 접수된 지 1시간 반 뒤에야 '1초 통신'이 기록돼 있습니다.

다시 2시간 뒤에야 4~5초 이상 실제 통신이 오갔을 것으로 보이는 기록들이 나옵니다.

[서울 용산구청 관계자/음성변조 : "부서마다 하나씩 있으면 통신 운영을 하겠지만은 지금 그런 상황은 아니고 지금 보급 중인 거죠."]

용산구 관계자는 이태원 참사 당시 소방과 경찰이 보내온 통신은 전혀 없었다고 말합니다.

[서울 용산구청 관계자/음성변조 : "소방이나 경찰로부터 전파를 받아야 되잖아요. 이거(단말기)를 통해가지고, 근데 이걸로는 온 게 없었습니다."]

실제 용산구청에는 21개의 단말기가 지급됐고, 용산소방서에는 81개 단말기가 지급됐지만 사실상 무용지물이었습니다.

[서울 용산소방서 관계자/음성변조 : "아직 구축이 안 돼 있어요. 지금 이제 하고 있는 중인데… 저희는 훈련만 하고 있어요. 사용법 같은 경우도 익혀야 하니까."]

경찰도 현장에 1,500대의 단말기를 갖고 있었지만, 내부 통신용이었을 뿐 원래 취지인 다른 기관과의 단일 통신기구로는 활용되지 못했습니다.

[방문규/국무조정실장 : "효과적으로 구축된 재난통신망이 이런 재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한 것에 대해서 참으로 안타깝다고 생각이 되고..."]

1조 5천억 원을 들여 전국에 보급한 단말기만 20만 대, 정부는 왜 실제 현장에선 쓰이지 못했는지 조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전현우입니다.

촬영기자:안민식/영상편집:고응용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KBS는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위해 자유로운 댓글 작성을 지지합니다.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