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담] 아직도 신고 못한 4·3 희생자들…사형선고 피해자들은?

입력 2022.11.07 (19:30) 수정 2022.11.07 (20: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제주4·3 도민연대에서 의미있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죠, 4·3당시 군법회의에서 사형 선고를 받은 희생자들에 대해 처음 실태를 조사해 그 결과를 공개한 건데요,

4·3이 대한민국의 역사로 조명을 받고 있지만, 아직도 우리가 가야할 길이 멀다는 것을 이번 조사 결과가 보여주고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이 자리에 제주4·3 도민연대 양동윤 대표 자리했습니다.

어서 오세요.

지난해 군법회의 사형선고 피해자들의 실태를 조사해서 최근 발표하셨는데요,

이번 조사, 어떻게 진행하시게 됐습니까?

[앵커]

4·3 당시 군법회의에서 재판을 받은 분은 몇 분이나 되는지, 이 가운데 사형선고를 받은 분들은 몇 분이나 되는지 궁금한데요?

[앵커]

당시 사형선고를 받은 희생자들은 대부분 돌아가셨을 텐데요,

조사는 어떤 분들을 대상으로 이뤄졌습니까?

[앵커]

가장 안타까웠던 대목이, 사형선고를 받은 희생자 가운데 17명이나 희생자 신고조차 못했다는 사실인데요,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

[앵커]

이번 조사에서 왜곡된 역사를 담고 있는 국가기록원의 수형인 명부를 무효화 하자는 질문도 있었는데, 반대 의견이 많았다고요,

어떤 이유 때문입니까?

[앵커]

군법회의 피해자 대부분이 국가에 의해 희생자로 결정됐는데요,

이런 조치들로 희생자 명예가 회복됐는지도 물으셨죠, 어떤 답변이 많았습니까?

[앵커]

명예회복이 완전하지 못하다는 의견이 많았는데, 그 이유는 어떤 겁니까?

[앵커]

그렇다면 이렇게 억울하게 희생된 피해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해 남은 과제,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앵커]

최근 정부의 첫 희생자 보상금 지급결정이 나왔죠,

그런데 후유장애 피해자들에게는 장해등급에 따라 차등 지급이 결정돼 비판의 목소리가 큽니다.

어떻게 보세요?

[앵커]

그렇다면 정부의 보상금 지급, 어떤 점을 감안해 지급 결정이 이뤄져야 한다고 보세요?

[앵커]

끝으로 전하고 싶은 말씀은?

[앵커]

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양동윤 제주4·3도민연대 대표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출연 감사드립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담] 아직도 신고 못한 4·3 희생자들…사형선고 피해자들은?
    • 입력 2022-11-07 19:30:58
    • 수정2022-11-07 20:26:48
    뉴스7(제주)
[앵커]

최근 제주4·3 도민연대에서 의미있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죠, 4·3당시 군법회의에서 사형 선고를 받은 희생자들에 대해 처음 실태를 조사해 그 결과를 공개한 건데요,

4·3이 대한민국의 역사로 조명을 받고 있지만, 아직도 우리가 가야할 길이 멀다는 것을 이번 조사 결과가 보여주고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이 자리에 제주4·3 도민연대 양동윤 대표 자리했습니다.

어서 오세요.

지난해 군법회의 사형선고 피해자들의 실태를 조사해서 최근 발표하셨는데요,

이번 조사, 어떻게 진행하시게 됐습니까?

[앵커]

4·3 당시 군법회의에서 재판을 받은 분은 몇 분이나 되는지, 이 가운데 사형선고를 받은 분들은 몇 분이나 되는지 궁금한데요?

[앵커]

당시 사형선고를 받은 희생자들은 대부분 돌아가셨을 텐데요,

조사는 어떤 분들을 대상으로 이뤄졌습니까?

[앵커]

가장 안타까웠던 대목이, 사형선고를 받은 희생자 가운데 17명이나 희생자 신고조차 못했다는 사실인데요,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

[앵커]

이번 조사에서 왜곡된 역사를 담고 있는 국가기록원의 수형인 명부를 무효화 하자는 질문도 있었는데, 반대 의견이 많았다고요,

어떤 이유 때문입니까?

[앵커]

군법회의 피해자 대부분이 국가에 의해 희생자로 결정됐는데요,

이런 조치들로 희생자 명예가 회복됐는지도 물으셨죠, 어떤 답변이 많았습니까?

[앵커]

명예회복이 완전하지 못하다는 의견이 많았는데, 그 이유는 어떤 겁니까?

[앵커]

그렇다면 이렇게 억울하게 희생된 피해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해 남은 과제,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앵커]

최근 정부의 첫 희생자 보상금 지급결정이 나왔죠,

그런데 후유장애 피해자들에게는 장해등급에 따라 차등 지급이 결정돼 비판의 목소리가 큽니다.

어떻게 보세요?

[앵커]

그렇다면 정부의 보상금 지급, 어떤 점을 감안해 지급 결정이 이뤄져야 한다고 보세요?

[앵커]

끝으로 전하고 싶은 말씀은?

[앵커]

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양동윤 제주4·3도민연대 대표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출연 감사드립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제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