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영상] “강남역도 매일 13만 명” 뭇매 맞은 이유는?

입력 2022.11.08 (17:26) 수정 2022.11.08 (17: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문규 국무조정실장이 이태원 참사 당일 현장에 혼잡 경비를 담당하는 경찰 배치가 부족했다는 지적에 서울 강남역 출퇴근 인파를 비교해 언급했다가 뭇매를 맞았습니다.

방 실장은 오늘(8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집회·시위 현장 등에는 경력이 과잉 배치돼 있으면서 정작 혼잡 경비가 필요한 지역엔 경비 경찰이 하나도 배치되지 않았다'는 민주당 황운하 의원 지적에 "일상에서 강남역에 하루 통행하는 인원이 13만 명이 넘는다"고 답변했습니다.

이어 "이태원이 아니고 매일의 우리 일상이, 강남역에 하루 다니는 인파가 13만 8천 명이다. 우리가 그만큼 그거(인파)에 둔감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황 의원은 "출퇴근 러시아워 인파와 이것(이태원)을 어떻게 비교하느냐"고 지적했습니다.

민주당 소속 백혜련 정무위원장도 "제가 봐도 적절한 비유가 전혀 아니다"라며 "이태원은 핼러윈이라는 특정한 날에 더욱 많은 사람이 몰리는 특수성이 있는 것 아닌가. 국가와 경찰이 나서서 대비하고 안전조치를 취했어야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방 실장은 "우리 일상의 위험이 너무 많이 있는데 거기에 무감각했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며 "일상의 위험에도 그런 관리인력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해명했습니다.

황 의원은 "경찰관을 열 배 백 배 늘리자는 말인가"라고 꼬집었고, 같은 당 이용우 의원은 "어디 국민들을 탓하고 있나"라고 쏘아붙였습니다.

비판이 이어지자 방 실장은 "이번 사태를 반면교사 삼아서 일상 곳곳의 위험을 철저히 관리하겠다는 취지"라고 재차 해명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장영상] “강남역도 매일 13만 명” 뭇매 맞은 이유는?
    • 입력 2022-11-08 17:26:26
    • 수정2022-11-08 17:27:15
    현장영상

방문규 국무조정실장이 이태원 참사 당일 현장에 혼잡 경비를 담당하는 경찰 배치가 부족했다는 지적에 서울 강남역 출퇴근 인파를 비교해 언급했다가 뭇매를 맞았습니다.

방 실장은 오늘(8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집회·시위 현장 등에는 경력이 과잉 배치돼 있으면서 정작 혼잡 경비가 필요한 지역엔 경비 경찰이 하나도 배치되지 않았다'는 민주당 황운하 의원 지적에 "일상에서 강남역에 하루 통행하는 인원이 13만 명이 넘는다"고 답변했습니다.

이어 "이태원이 아니고 매일의 우리 일상이, 강남역에 하루 다니는 인파가 13만 8천 명이다. 우리가 그만큼 그거(인파)에 둔감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황 의원은 "출퇴근 러시아워 인파와 이것(이태원)을 어떻게 비교하느냐"고 지적했습니다.

민주당 소속 백혜련 정무위원장도 "제가 봐도 적절한 비유가 전혀 아니다"라며 "이태원은 핼러윈이라는 특정한 날에 더욱 많은 사람이 몰리는 특수성이 있는 것 아닌가. 국가와 경찰이 나서서 대비하고 안전조치를 취했어야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방 실장은 "우리 일상의 위험이 너무 많이 있는데 거기에 무감각했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며 "일상의 위험에도 그런 관리인력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해명했습니다.

황 의원은 "경찰관을 열 배 백 배 늘리자는 말인가"라고 꼬집었고, 같은 당 이용우 의원은 "어디 국민들을 탓하고 있나"라고 쏘아붙였습니다.

비판이 이어지자 방 실장은 "이번 사태를 반면교사 삼아서 일상 곳곳의 위험을 철저히 관리하겠다는 취지"라고 재차 해명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KBS는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위해 자유로운 댓글 작성을 지지합니다.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