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인터뷰] 미 선거, 경제 영향은?
입력 2022.11.09 (23:50)
수정 2022.11.10 (00: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의 중간선거, 현재까지는 완승도 완패도 없다는 평가입니다.
하지만 공화당의 하원 선거 승리는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될 텐데요.
중간선거 이후, 세계 경제의 흐름은 어떻게 바뀔지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연구실장과 분석해보겠습니다.
지난 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 참석 차 미국에 다녀오셨었죠.
중간선거를 앞두고 당시 미국 분위기는 좀 어땠습니까?
[앵커]
그렇다면 선거 과정을 지켜본 우리 시장 반응, 먼저 살펴보죠.
일단 코스피는 올랐고, 환율 역시 두 달 전 가격으로 떨어졌습니다.
방금 개장한 뉴욕증시는 하락세로 출발을 했는데, 시장이 중간선거 결과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 겁니까?
[앵커]
그렇다면 미국 경제정책에 어떤 변화가 예상될지 살펴보죠.
공화당이 하원을 차지한 만큼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에 제동을 걸 것이라는 전망이 높죠.
일단 공화당은 재정지출을 줄이겠다고 강조했는데, 어떤 의밉니까?
[앵커]
우리에게 관심이 높은 건 아무래도 '인플레이션 감축법'이죠.
새 의회에서 수정될 가능성이 있습니까?
[앵커]
또 하나 살펴봐야 할 게 '미중 패권경쟁'입니다.
중간선거 이후 '미중 경쟁'의 흐름도 좀 달라질까요?
[앵커]
미국의 중간 선거만큼이나 관심이 높은 게, 우리 시각으로 내일 밤 발표될 미국 소비자물가지숩니다.
여전히 8%에 육박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한데요.
미국의 금리인상 기조 계속되는 겁니까?
[앵커]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에도 변화가 예상되고 또 금리인상 속도도 조절되면, '강달러 기조'에도 변화가 생기겠네요?
미국의 중간선거, 현재까지는 완승도 완패도 없다는 평가입니다.
하지만 공화당의 하원 선거 승리는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될 텐데요.
중간선거 이후, 세계 경제의 흐름은 어떻게 바뀔지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연구실장과 분석해보겠습니다.
지난 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 참석 차 미국에 다녀오셨었죠.
중간선거를 앞두고 당시 미국 분위기는 좀 어땠습니까?
[앵커]
그렇다면 선거 과정을 지켜본 우리 시장 반응, 먼저 살펴보죠.
일단 코스피는 올랐고, 환율 역시 두 달 전 가격으로 떨어졌습니다.
방금 개장한 뉴욕증시는 하락세로 출발을 했는데, 시장이 중간선거 결과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 겁니까?
[앵커]
그렇다면 미국 경제정책에 어떤 변화가 예상될지 살펴보죠.
공화당이 하원을 차지한 만큼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에 제동을 걸 것이라는 전망이 높죠.
일단 공화당은 재정지출을 줄이겠다고 강조했는데, 어떤 의밉니까?
[앵커]
우리에게 관심이 높은 건 아무래도 '인플레이션 감축법'이죠.
새 의회에서 수정될 가능성이 있습니까?
[앵커]
또 하나 살펴봐야 할 게 '미중 패권경쟁'입니다.
중간선거 이후 '미중 경쟁'의 흐름도 좀 달라질까요?
[앵커]
미국의 중간 선거만큼이나 관심이 높은 게, 우리 시각으로 내일 밤 발표될 미국 소비자물가지숩니다.
여전히 8%에 육박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한데요.
미국의 금리인상 기조 계속되는 겁니까?
[앵커]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에도 변화가 예상되고 또 금리인상 속도도 조절되면, '강달러 기조'에도 변화가 생기겠네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인터뷰] 미 선거, 경제 영향은?
-
- 입력 2022-11-09 23:50:03
- 수정2022-11-10 00:05:34

[앵커]
미국의 중간선거, 현재까지는 완승도 완패도 없다는 평가입니다.
하지만 공화당의 하원 선거 승리는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될 텐데요.
중간선거 이후, 세계 경제의 흐름은 어떻게 바뀔지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연구실장과 분석해보겠습니다.
지난 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 참석 차 미국에 다녀오셨었죠.
중간선거를 앞두고 당시 미국 분위기는 좀 어땠습니까?
[앵커]
그렇다면 선거 과정을 지켜본 우리 시장 반응, 먼저 살펴보죠.
일단 코스피는 올랐고, 환율 역시 두 달 전 가격으로 떨어졌습니다.
방금 개장한 뉴욕증시는 하락세로 출발을 했는데, 시장이 중간선거 결과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 겁니까?
[앵커]
그렇다면 미국 경제정책에 어떤 변화가 예상될지 살펴보죠.
공화당이 하원을 차지한 만큼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에 제동을 걸 것이라는 전망이 높죠.
일단 공화당은 재정지출을 줄이겠다고 강조했는데, 어떤 의밉니까?
[앵커]
우리에게 관심이 높은 건 아무래도 '인플레이션 감축법'이죠.
새 의회에서 수정될 가능성이 있습니까?
[앵커]
또 하나 살펴봐야 할 게 '미중 패권경쟁'입니다.
중간선거 이후 '미중 경쟁'의 흐름도 좀 달라질까요?
[앵커]
미국의 중간 선거만큼이나 관심이 높은 게, 우리 시각으로 내일 밤 발표될 미국 소비자물가지숩니다.
여전히 8%에 육박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한데요.
미국의 금리인상 기조 계속되는 겁니까?
[앵커]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에도 변화가 예상되고 또 금리인상 속도도 조절되면, '강달러 기조'에도 변화가 생기겠네요?
미국의 중간선거, 현재까지는 완승도 완패도 없다는 평가입니다.
하지만 공화당의 하원 선거 승리는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될 텐데요.
중간선거 이후, 세계 경제의 흐름은 어떻게 바뀔지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연구실장과 분석해보겠습니다.
지난 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 참석 차 미국에 다녀오셨었죠.
중간선거를 앞두고 당시 미국 분위기는 좀 어땠습니까?
[앵커]
그렇다면 선거 과정을 지켜본 우리 시장 반응, 먼저 살펴보죠.
일단 코스피는 올랐고, 환율 역시 두 달 전 가격으로 떨어졌습니다.
방금 개장한 뉴욕증시는 하락세로 출발을 했는데, 시장이 중간선거 결과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 겁니까?
[앵커]
그렇다면 미국 경제정책에 어떤 변화가 예상될지 살펴보죠.
공화당이 하원을 차지한 만큼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에 제동을 걸 것이라는 전망이 높죠.
일단 공화당은 재정지출을 줄이겠다고 강조했는데, 어떤 의밉니까?
[앵커]
우리에게 관심이 높은 건 아무래도 '인플레이션 감축법'이죠.
새 의회에서 수정될 가능성이 있습니까?
[앵커]
또 하나 살펴봐야 할 게 '미중 패권경쟁'입니다.
중간선거 이후 '미중 경쟁'의 흐름도 좀 달라질까요?
[앵커]
미국의 중간 선거만큼이나 관심이 높은 게, 우리 시각으로 내일 밤 발표될 미국 소비자물가지숩니다.
여전히 8%에 육박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한데요.
미국의 금리인상 기조 계속되는 겁니까?
[앵커]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에도 변화가 예상되고 또 금리인상 속도도 조절되면, '강달러 기조'에도 변화가 생기겠네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