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한순간도 걷지 않았다”…정확한 책임자 처벌 요구

입력 2022.11.10 (06:11) 수정 2022.11.10 (06: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경찰이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용산소방서장을 피의자로 입건하고, 압수수색 등 강도 높은 수사를 이어가고 있는데요.

어제 60주년 소방의 날 현장에 출동했던 소방대원들이 당시 상황을 하나하나 설명하며 경찰 수사를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섰습니다.

이정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민들이 쓰러져 가던 이태원 참사 현장, 가장 먼저 도착해 구하고 또 구했습니다.

한 명이라도 더 구하기 위해 몸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최성범/서울 용산소방서장/지난달 30일 : "46명은 원효로 다목적 실내 체육관으로..."]

이태원 참사 12일째, 올해로 꼭 60년이 된 소방의 날, 소방관들은 침통한 표정으로 고개를 숙였습니다.

이태원 참사에 출동한 소방 공무원 천여 명이 심리상담을 받았고 이 중 10~15%가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상황.

건의사항 대신 할 말이 있다는 구급대원의 목소리는 떨렸습니다.

[이은주/서울 용산소방서 구급팀장 : "저희 구급대원이 단 한순간도 걷지 않았습니다. 계속 뛰어다녔어요. 차분한 목소리로 의료진들한테 인계할 때, 다른 구급대원들한테 이송 지시를 요구할 때 이럴 때를 제외하고는 단 한순간도 걷지 않고 뛰어다녔습니다."]

참사를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며 진행된 경찰의 압수수색과 간부들의 피의자 입건에 대해 억울함을 호소했습니다.

[김진철/서울 용산소방서 행정팀장 : "제가 간단하게 질문을 드리려고... 나름대로 이렇게 작성하는데요. 쓰다가 저도 막 눈물이 복받쳐서요. 그 누구보다 제일 먼저 가셨고요. 현장 제일 먼저, 제일 마지막까지 현장을 지키셨던 두 분입니다."]

재난의 최일선을 묵묵히 지켜온 소방관들.

이번 참사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꼬리자르기식 희생양을 만들고 있는 것'이라며, 철저한 진상규명과 제대로 된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촬영기자:조승연/영상편집:한찬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 한순간도 걷지 않았다”…정확한 책임자 처벌 요구
    • 입력 2022-11-10 06:11:53
    • 수정2022-11-10 06:21:19
    뉴스광장 1부
[앵커]

경찰이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용산소방서장을 피의자로 입건하고, 압수수색 등 강도 높은 수사를 이어가고 있는데요.

어제 60주년 소방의 날 현장에 출동했던 소방대원들이 당시 상황을 하나하나 설명하며 경찰 수사를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섰습니다.

이정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민들이 쓰러져 가던 이태원 참사 현장, 가장 먼저 도착해 구하고 또 구했습니다.

한 명이라도 더 구하기 위해 몸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최성범/서울 용산소방서장/지난달 30일 : "46명은 원효로 다목적 실내 체육관으로..."]

이태원 참사 12일째, 올해로 꼭 60년이 된 소방의 날, 소방관들은 침통한 표정으로 고개를 숙였습니다.

이태원 참사에 출동한 소방 공무원 천여 명이 심리상담을 받았고 이 중 10~15%가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상황.

건의사항 대신 할 말이 있다는 구급대원의 목소리는 떨렸습니다.

[이은주/서울 용산소방서 구급팀장 : "저희 구급대원이 단 한순간도 걷지 않았습니다. 계속 뛰어다녔어요. 차분한 목소리로 의료진들한테 인계할 때, 다른 구급대원들한테 이송 지시를 요구할 때 이럴 때를 제외하고는 단 한순간도 걷지 않고 뛰어다녔습니다."]

참사를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며 진행된 경찰의 압수수색과 간부들의 피의자 입건에 대해 억울함을 호소했습니다.

[김진철/서울 용산소방서 행정팀장 : "제가 간단하게 질문을 드리려고... 나름대로 이렇게 작성하는데요. 쓰다가 저도 막 눈물이 복받쳐서요. 그 누구보다 제일 먼저 가셨고요. 현장 제일 먼저, 제일 마지막까지 현장을 지키셨던 두 분입니다."]

재난의 최일선을 묵묵히 지켜온 소방관들.

이번 참사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꼬리자르기식 희생양을 만들고 있는 것'이라며, 철저한 진상규명과 제대로 된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촬영기자:조승연/영상편집:한찬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KBS는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위해 자유로운 댓글 작성을 지지합니다.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