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여야가 오늘(23일)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협상을 전격 타결했습니다.
국민의힘 주호영,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가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해 국정조사를 실시한다는 내용의 합의문을 발표했습니다.
국정조사는 내일(24일)부터 시작되며 기간은 45일입니다. 기간은 본회의 의결로 연장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다만, 자료 제출 등 준비 기간을 거쳐 내년도 예산안을 처리한 직후에 기관보고와 현장검증, 청문회 등을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국정조사를 진행할 '국정조사특별위원회'는 민주당 9명, 국민의힘 7명, 비교섭단체 2명의 의원으로 구성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위원장은 민주당이 맡습니다.
국정조사 대상 기관은 대통령실 국정상황실과 국가위기관리센터, 국무총리실,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중앙응급의료상황실 포함), 대검찰청, 경찰청 및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소방청 및 서울소방재난본부와 용산소방서, 서울시 및 용산구 등입니다.
국민의힘 주호영,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가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해 국정조사를 실시한다는 내용의 합의문을 발표했습니다.
국정조사는 내일(24일)부터 시작되며 기간은 45일입니다. 기간은 본회의 의결로 연장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다만, 자료 제출 등 준비 기간을 거쳐 내년도 예산안을 처리한 직후에 기관보고와 현장검증, 청문회 등을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국정조사를 진행할 '국정조사특별위원회'는 민주당 9명, 국민의힘 7명, 비교섭단체 2명의 의원으로 구성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위원장은 민주당이 맡습니다.
국정조사 대상 기관은 대통령실 국정상황실과 국가위기관리센터, 국무총리실,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중앙응급의료상황실 포함), 대검찰청, 경찰청 및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소방청 및 서울소방재난본부와 용산소방서, 서울시 및 용산구 등입니다.
- [속보영상] 여야,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실시 합의…내일부터 45일간
-
- 입력 2022-11-23 17:29:56
- 수정2022-11-23 17:30:05

여야가 오늘(23일)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협상을 전격 타결했습니다.
국민의힘 주호영,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가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해 국정조사를 실시한다는 내용의 합의문을 발표했습니다.
국정조사는 내일(24일)부터 시작되며 기간은 45일입니다. 기간은 본회의 의결로 연장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다만, 자료 제출 등 준비 기간을 거쳐 내년도 예산안을 처리한 직후에 기관보고와 현장검증, 청문회 등을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국정조사를 진행할 '국정조사특별위원회'는 민주당 9명, 국민의힘 7명, 비교섭단체 2명의 의원으로 구성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위원장은 민주당이 맡습니다.
국정조사 대상 기관은 대통령실 국정상황실과 국가위기관리센터, 국무총리실,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중앙응급의료상황실 포함), 대검찰청, 경찰청 및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소방청 및 서울소방재난본부와 용산소방서, 서울시 및 용산구 등입니다.
국민의힘 주호영,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가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해 국정조사를 실시한다는 내용의 합의문을 발표했습니다.
국정조사는 내일(24일)부터 시작되며 기간은 45일입니다. 기간은 본회의 의결로 연장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다만, 자료 제출 등 준비 기간을 거쳐 내년도 예산안을 처리한 직후에 기관보고와 현장검증, 청문회 등을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국정조사를 진행할 '국정조사특별위원회'는 민주당 9명, 국민의힘 7명, 비교섭단체 2명의 의원으로 구성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위원장은 민주당이 맡습니다.
국정조사 대상 기관은 대통령실 국정상황실과 국가위기관리센터, 국무총리실,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중앙응급의료상황실 포함), 대검찰청, 경찰청 및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소방청 및 서울소방재난본부와 용산소방서, 서울시 및 용산구 등입니다.
- 기자 정보
-
-
조용호 기자 silentcam@kbs.co.kr
조용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는 건전한 댓글 문화와 원활한 운영을 위해 댓글사용이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