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 엿새째…삭발 결의 맞불

입력 2022.11.29 (21:45) 수정 2022.11.29 (22: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사상 첫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하며 강경 대응에 나선 가운데 화물연대도 대전과 충남 등 각 지역 거점에서 '삭발투쟁'을 하며 강력 대응을 천명했습니다.

파업이 엿새째 접어들면서 산업계 피해도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조정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화물연대 충남지역본부 조합원 8백여 명이 차량을 멈추고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입구에 모였습니다.

["물류를 멈춰, 세상을 바꾸자!"]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 등을 요구하며 파업에 나선 지 엿새째, 정부가 사상 첫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하며 압박했지만 조합원들은 집단 삭발식을 하며 오히려 투쟁 수위를 높였습니다.

[유문덕/화물연대 충남지역본부장 : "안전운임 요구에 대해서 교섭을 하지 않고 화물 노동자들 탄압을 하기 위해서 하는 행태에 대해서 분노하는 마음으로..."]

파업이 장기화되면서 우려했던 물류 차질도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현대제철 당진제철소는 하루 5만 톤씩 물량이 적체되면서 출하량이 평소의 47%에 머물렀고 한국타이어 대전공장 역시 하루 출하 물량인 화물차 80대의 절반 이하 수준으로 출하되면서 재고가 급격히 늘고 있습니다.

[정문영/한국타이어 대전공장 문화홍보팀장 : "평상시의 40% 수준으로 입출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에는 타이어 생산에도 차질이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정부의 업무개시명령서가 내일까지 대전과 충남지역 시 멘트 운송업체 11곳에 전달될 예정인 가운데 노동계는 내일도 거점별 결의대회를 예고했습니다.

지역 산업계는 파업이 더 장기화되면 지난 6월 파업 때와 같은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정아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화물연대 파업 엿새째…삭발 결의 맞불
    • 입력 2022-11-29 21:45:27
    • 수정2022-11-29 22:21:20
    뉴스9(대전)
[앵커]

정부가 사상 첫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하며 강경 대응에 나선 가운데 화물연대도 대전과 충남 등 각 지역 거점에서 '삭발투쟁'을 하며 강력 대응을 천명했습니다.

파업이 엿새째 접어들면서 산업계 피해도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조정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화물연대 충남지역본부 조합원 8백여 명이 차량을 멈추고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입구에 모였습니다.

["물류를 멈춰, 세상을 바꾸자!"]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 등을 요구하며 파업에 나선 지 엿새째, 정부가 사상 첫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하며 압박했지만 조합원들은 집단 삭발식을 하며 오히려 투쟁 수위를 높였습니다.

[유문덕/화물연대 충남지역본부장 : "안전운임 요구에 대해서 교섭을 하지 않고 화물 노동자들 탄압을 하기 위해서 하는 행태에 대해서 분노하는 마음으로..."]

파업이 장기화되면서 우려했던 물류 차질도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현대제철 당진제철소는 하루 5만 톤씩 물량이 적체되면서 출하량이 평소의 47%에 머물렀고 한국타이어 대전공장 역시 하루 출하 물량인 화물차 80대의 절반 이하 수준으로 출하되면서 재고가 급격히 늘고 있습니다.

[정문영/한국타이어 대전공장 문화홍보팀장 : "평상시의 40% 수준으로 입출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에는 타이어 생산에도 차질이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정부의 업무개시명령서가 내일까지 대전과 충남지역 시 멘트 운송업체 11곳에 전달될 예정인 가운데 노동계는 내일도 거점별 결의대회를 예고했습니다.

지역 산업계는 파업이 더 장기화되면 지난 6월 파업 때와 같은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정아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