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돈 침대’ 태우는데 정부 지원금 주고 ‘밀실 협의’?
입력 2022.12.09 (07:36)
수정 2022.12.09 (09: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환경부가 군산에서 이른바 '라돈 침대'를 태운 뒤 묻을 계획을 세우고 시범 소각까지 했다는 내용 앞서 보도했습니다.
군산시도 모르게 벌인 일이라 문제가 더 커졌는데, 환경부가 주민단체와 협의해왔다고 반박했습니다.
그런데 KBS가 확인해보니, 협의했다는 주민단체는 환경부가 돈을 지원하는 곳이었고, 시범 소각을 참관한 사람들 역시 해당 단체의 임원들이었습니다.
오정현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방사성 물질이자 1급 발암물질 라돈이 나온 제품은 침대와 베개 등 11만 5천 개.
모두 군산으로 가져와 태워 묻겠다는 게 환경부 계획입니다.
전체 560톤 가운데 14톤을 지난 9월 사흘에 걸쳐 시범 소각했는데, 이 모든 일이 군산시, 군산시민 모르게 진행돼 논란입니다.
그러자 환경부는 오해가 있다고 설명 자료를 냈습니다.
그간 '공식 주민단체'와 만나 주민들 우려와 요청을 반영하려 노력해왔다는 내용입니다.
취재진은 환경부가 말한 단체를 찾아가 봤습니다.
1994년 군산에 폐기물 공공처리장을 만들면서 꾸려진 주민지원협의회였습니다.
그런데 이 협의회를 만들 때 출연금을 댄 곳이 환경부입니다.
당시 출연금 규모는 6억 원, 취재 결과 지금도 해마다 1억 1천만 원씩 받고 있습니다.
[주민지원협의회 관계자/음성변조 : "1년에 두 번 해서 협약으로 상반기, 하반기 이렇게 (지원금이) 나옵니다. 인건비하고 운영비 이런 거죠."]
시범 소각 역시 환경부는 주민들이 참관한 공개적 자리였다고 강조했는데, 이때도 일반 주민이 아닌 협의회 임원들이 참석했고, 인원 또한 5명에 불과했던 것으로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주민지원협의회 관계자/음성변조 : "그때 코로나도 있고 그래서 임원진들만 좀 많이 참석했고요. (라돈 제품) 들어오는 것도 확인하고 폐기물 넣는 것도 확인하고 그랬죠."]
군산시는 라돈 침대 소각과 관련해 주민지원협의회로부터 그간 어떤 통보도 받은 적 없다고 밝혔습니다.
또 군산시민을 대표할 수도 없다고 잘라 말했습니다.
[군산시 관계자/음성변조 : "저희 군산시는 아니죠. 환경부 입장에서는 (주민) 대표일지라도. 자기들이 운영비 주고 하니까."]
해마다 억대 지원금을 대는 단체와의 '협의'를, 주민 소통인 듯 꾸민 환경부.
해명은 논란만 더 키운 꼴이 됐습니다.
KBS 뉴스 오정현입니다.
촬영기자:김동균
환경부가 군산에서 이른바 '라돈 침대'를 태운 뒤 묻을 계획을 세우고 시범 소각까지 했다는 내용 앞서 보도했습니다.
군산시도 모르게 벌인 일이라 문제가 더 커졌는데, 환경부가 주민단체와 협의해왔다고 반박했습니다.
그런데 KBS가 확인해보니, 협의했다는 주민단체는 환경부가 돈을 지원하는 곳이었고, 시범 소각을 참관한 사람들 역시 해당 단체의 임원들이었습니다.
오정현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방사성 물질이자 1급 발암물질 라돈이 나온 제품은 침대와 베개 등 11만 5천 개.
모두 군산으로 가져와 태워 묻겠다는 게 환경부 계획입니다.
전체 560톤 가운데 14톤을 지난 9월 사흘에 걸쳐 시범 소각했는데, 이 모든 일이 군산시, 군산시민 모르게 진행돼 논란입니다.
그러자 환경부는 오해가 있다고 설명 자료를 냈습니다.
그간 '공식 주민단체'와 만나 주민들 우려와 요청을 반영하려 노력해왔다는 내용입니다.
취재진은 환경부가 말한 단체를 찾아가 봤습니다.
1994년 군산에 폐기물 공공처리장을 만들면서 꾸려진 주민지원협의회였습니다.
그런데 이 협의회를 만들 때 출연금을 댄 곳이 환경부입니다.
당시 출연금 규모는 6억 원, 취재 결과 지금도 해마다 1억 1천만 원씩 받고 있습니다.
[주민지원협의회 관계자/음성변조 : "1년에 두 번 해서 협약으로 상반기, 하반기 이렇게 (지원금이) 나옵니다. 인건비하고 운영비 이런 거죠."]
시범 소각 역시 환경부는 주민들이 참관한 공개적 자리였다고 강조했는데, 이때도 일반 주민이 아닌 협의회 임원들이 참석했고, 인원 또한 5명에 불과했던 것으로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주민지원협의회 관계자/음성변조 : "그때 코로나도 있고 그래서 임원진들만 좀 많이 참석했고요. (라돈 제품) 들어오는 것도 확인하고 폐기물 넣는 것도 확인하고 그랬죠."]
군산시는 라돈 침대 소각과 관련해 주민지원협의회로부터 그간 어떤 통보도 받은 적 없다고 밝혔습니다.
또 군산시민을 대표할 수도 없다고 잘라 말했습니다.
[군산시 관계자/음성변조 : "저희 군산시는 아니죠. 환경부 입장에서는 (주민) 대표일지라도. 자기들이 운영비 주고 하니까."]
해마다 억대 지원금을 대는 단체와의 '협의'를, 주민 소통인 듯 꾸민 환경부.
해명은 논란만 더 키운 꼴이 됐습니다.
KBS 뉴스 오정현입니다.
촬영기자:김동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라돈 침대’ 태우는데 정부 지원금 주고 ‘밀실 협의’?
-
- 입력 2022-12-09 07:36:26
- 수정2022-12-09 09:49:57
[앵커]
환경부가 군산에서 이른바 '라돈 침대'를 태운 뒤 묻을 계획을 세우고 시범 소각까지 했다는 내용 앞서 보도했습니다.
군산시도 모르게 벌인 일이라 문제가 더 커졌는데, 환경부가 주민단체와 협의해왔다고 반박했습니다.
그런데 KBS가 확인해보니, 협의했다는 주민단체는 환경부가 돈을 지원하는 곳이었고, 시범 소각을 참관한 사람들 역시 해당 단체의 임원들이었습니다.
오정현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방사성 물질이자 1급 발암물질 라돈이 나온 제품은 침대와 베개 등 11만 5천 개.
모두 군산으로 가져와 태워 묻겠다는 게 환경부 계획입니다.
전체 560톤 가운데 14톤을 지난 9월 사흘에 걸쳐 시범 소각했는데, 이 모든 일이 군산시, 군산시민 모르게 진행돼 논란입니다.
그러자 환경부는 오해가 있다고 설명 자료를 냈습니다.
그간 '공식 주민단체'와 만나 주민들 우려와 요청을 반영하려 노력해왔다는 내용입니다.
취재진은 환경부가 말한 단체를 찾아가 봤습니다.
1994년 군산에 폐기물 공공처리장을 만들면서 꾸려진 주민지원협의회였습니다.
그런데 이 협의회를 만들 때 출연금을 댄 곳이 환경부입니다.
당시 출연금 규모는 6억 원, 취재 결과 지금도 해마다 1억 1천만 원씩 받고 있습니다.
[주민지원협의회 관계자/음성변조 : "1년에 두 번 해서 협약으로 상반기, 하반기 이렇게 (지원금이) 나옵니다. 인건비하고 운영비 이런 거죠."]
시범 소각 역시 환경부는 주민들이 참관한 공개적 자리였다고 강조했는데, 이때도 일반 주민이 아닌 협의회 임원들이 참석했고, 인원 또한 5명에 불과했던 것으로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주민지원협의회 관계자/음성변조 : "그때 코로나도 있고 그래서 임원진들만 좀 많이 참석했고요. (라돈 제품) 들어오는 것도 확인하고 폐기물 넣는 것도 확인하고 그랬죠."]
군산시는 라돈 침대 소각과 관련해 주민지원협의회로부터 그간 어떤 통보도 받은 적 없다고 밝혔습니다.
또 군산시민을 대표할 수도 없다고 잘라 말했습니다.
[군산시 관계자/음성변조 : "저희 군산시는 아니죠. 환경부 입장에서는 (주민) 대표일지라도. 자기들이 운영비 주고 하니까."]
해마다 억대 지원금을 대는 단체와의 '협의'를, 주민 소통인 듯 꾸민 환경부.
해명은 논란만 더 키운 꼴이 됐습니다.
KBS 뉴스 오정현입니다.
촬영기자:김동균
환경부가 군산에서 이른바 '라돈 침대'를 태운 뒤 묻을 계획을 세우고 시범 소각까지 했다는 내용 앞서 보도했습니다.
군산시도 모르게 벌인 일이라 문제가 더 커졌는데, 환경부가 주민단체와 협의해왔다고 반박했습니다.
그런데 KBS가 확인해보니, 협의했다는 주민단체는 환경부가 돈을 지원하는 곳이었고, 시범 소각을 참관한 사람들 역시 해당 단체의 임원들이었습니다.
오정현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방사성 물질이자 1급 발암물질 라돈이 나온 제품은 침대와 베개 등 11만 5천 개.
모두 군산으로 가져와 태워 묻겠다는 게 환경부 계획입니다.
전체 560톤 가운데 14톤을 지난 9월 사흘에 걸쳐 시범 소각했는데, 이 모든 일이 군산시, 군산시민 모르게 진행돼 논란입니다.
그러자 환경부는 오해가 있다고 설명 자료를 냈습니다.
그간 '공식 주민단체'와 만나 주민들 우려와 요청을 반영하려 노력해왔다는 내용입니다.
취재진은 환경부가 말한 단체를 찾아가 봤습니다.
1994년 군산에 폐기물 공공처리장을 만들면서 꾸려진 주민지원협의회였습니다.
그런데 이 협의회를 만들 때 출연금을 댄 곳이 환경부입니다.
당시 출연금 규모는 6억 원, 취재 결과 지금도 해마다 1억 1천만 원씩 받고 있습니다.
[주민지원협의회 관계자/음성변조 : "1년에 두 번 해서 협약으로 상반기, 하반기 이렇게 (지원금이) 나옵니다. 인건비하고 운영비 이런 거죠."]
시범 소각 역시 환경부는 주민들이 참관한 공개적 자리였다고 강조했는데, 이때도 일반 주민이 아닌 협의회 임원들이 참석했고, 인원 또한 5명에 불과했던 것으로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주민지원협의회 관계자/음성변조 : "그때 코로나도 있고 그래서 임원진들만 좀 많이 참석했고요. (라돈 제품) 들어오는 것도 확인하고 폐기물 넣는 것도 확인하고 그랬죠."]
군산시는 라돈 침대 소각과 관련해 주민지원협의회로부터 그간 어떤 통보도 받은 적 없다고 밝혔습니다.
또 군산시민을 대표할 수도 없다고 잘라 말했습니다.
[군산시 관계자/음성변조 : "저희 군산시는 아니죠. 환경부 입장에서는 (주민) 대표일지라도. 자기들이 운영비 주고 하니까."]
해마다 억대 지원금을 대는 단체와의 '협의'를, 주민 소통인 듯 꾸민 환경부.
해명은 논란만 더 키운 꼴이 됐습니다.
KBS 뉴스 오정현입니다.
촬영기자:김동균
-
-
오정현 기자 ohhh@kbs.co.kr
오정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