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보건소장 모두 재난대응교육 안 받았다

입력 2022.12.12 (19:13) 수정 2022.12.12 (22: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태원 참사 당시 관련 책임자들이 제 역할을 다 했는지 경찰 수사가 진행 중이지만, 책임 소재를 가리는 것에 더해 되돌아볼 대목이 많습니다.

용산구 보건소장은 현장에서 의료 대응을 지휘해야 하지만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참사 전 재난 대응교육을 받은 서울지역의 보건소장은 단 한 명도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신지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재난 현장의 의료 대응 지휘자는 보건소장.

정부 매뉴얼엔 평소 '대응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규정돼 있습니다.

참사 전 상황은 어땠을까.

전국 보건소 255곳 중 재난의료 대응교육을 수료한 보건소장은 교육이 시작된 2018년 6명, 2019년엔 5명, 2020년 1명이었습니다.

인구 밀집도가 높아 대형 참사 가능성이 큰 서울지역의 보건소장은 수료자가 '0명'.

지난해엔 코로나19 확산을 이유로 대면 교육도, 온라인 교육도 없었습니다.

[한정애/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 : "위기 상황이라고 하는 것은 예고하고 달려드는 것이 아니고 예고한 상태에서 날아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항상 (매뉴얼이) 숙지가 되어 있어야 하는 상태거든요. 그래서 교육을 반드시 좀 받아야 하고요."]

필수 이수가 아니란 점이 저조한 참가율의 가장 큰 이유입니다.

재난의료 대응교육은 매뉴얼을 만든 보건복지부가 산하 공공기관에 의뢰해 진행하는데, 지자체에 교육을 독려하지도, 수료 현황을 점검하고 있지도 않습니다.

교육 내용도 부실하단 지적이 나옵니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시간표, 복사한 듯 비슷한데 전체 12시간가량 가운데 국가정책의 방향 등을 3~5시간 배우고 대응매뉴얼 4시간, 현장서 필요한 심리지원, 모의훈련 등은 4~5시간에 그칩니다.

[문현철/숭실대 대학원 재난안전관리학과 겸임교수 : "기관장·중간관리자·실무자의 역할이 다 다르고 거기에 맞는 교육들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형식적인 교육이라는 거예요. 그리고 교육 내용이 너무 중복돼요. 시스템 가동 중심의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고, 그러고 나서 그것을 반드시 시뮬레이션해봐야 합니다."]

최재원 용산구 보건소장은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현장서 우왕좌왕했던 자신의 모습을 "초보 운전자"에 빗대기도 했습니다.

또다시 '초보처럼' 재난 현장에서 대응하지 않기 위해선 교육과 훈련보다 더 필요한 준비는 없을 겁니다.

KBS 뉴스 신지원입니다.

촬영기자:김종우 조승연/영상편집:서정혁/그래픽:고석훈 이경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 보건소장 모두 재난대응교육 안 받았다
    • 입력 2022-12-12 19:13:55
    • 수정2022-12-12 22:13:00
    뉴스 7
[앵커]

이태원 참사 당시 관련 책임자들이 제 역할을 다 했는지 경찰 수사가 진행 중이지만, 책임 소재를 가리는 것에 더해 되돌아볼 대목이 많습니다.

용산구 보건소장은 현장에서 의료 대응을 지휘해야 하지만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참사 전 재난 대응교육을 받은 서울지역의 보건소장은 단 한 명도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신지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재난 현장의 의료 대응 지휘자는 보건소장.

정부 매뉴얼엔 평소 '대응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규정돼 있습니다.

참사 전 상황은 어땠을까.

전국 보건소 255곳 중 재난의료 대응교육을 수료한 보건소장은 교육이 시작된 2018년 6명, 2019년엔 5명, 2020년 1명이었습니다.

인구 밀집도가 높아 대형 참사 가능성이 큰 서울지역의 보건소장은 수료자가 '0명'.

지난해엔 코로나19 확산을 이유로 대면 교육도, 온라인 교육도 없었습니다.

[한정애/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 : "위기 상황이라고 하는 것은 예고하고 달려드는 것이 아니고 예고한 상태에서 날아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항상 (매뉴얼이) 숙지가 되어 있어야 하는 상태거든요. 그래서 교육을 반드시 좀 받아야 하고요."]

필수 이수가 아니란 점이 저조한 참가율의 가장 큰 이유입니다.

재난의료 대응교육은 매뉴얼을 만든 보건복지부가 산하 공공기관에 의뢰해 진행하는데, 지자체에 교육을 독려하지도, 수료 현황을 점검하고 있지도 않습니다.

교육 내용도 부실하단 지적이 나옵니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시간표, 복사한 듯 비슷한데 전체 12시간가량 가운데 국가정책의 방향 등을 3~5시간 배우고 대응매뉴얼 4시간, 현장서 필요한 심리지원, 모의훈련 등은 4~5시간에 그칩니다.

[문현철/숭실대 대학원 재난안전관리학과 겸임교수 : "기관장·중간관리자·실무자의 역할이 다 다르고 거기에 맞는 교육들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형식적인 교육이라는 거예요. 그리고 교육 내용이 너무 중복돼요. 시스템 가동 중심의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고, 그러고 나서 그것을 반드시 시뮬레이션해봐야 합니다."]

최재원 용산구 보건소장은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현장서 우왕좌왕했던 자신의 모습을 "초보 운전자"에 빗대기도 했습니다.

또다시 '초보처럼' 재난 현장에서 대응하지 않기 위해선 교육과 훈련보다 더 필요한 준비는 없을 겁니다.

KBS 뉴스 신지원입니다.

촬영기자:김종우 조승연/영상편집:서정혁/그래픽:고석훈 이경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KBS는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위해 자유로운 댓글 작성을 지지합니다.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수신료 수신료